오늘 3월 20일 목요일은 3부를 마무리합니다. 3부 4장 '여성' 부분을 읽는 일정입니다.
어제(3월 19일)도 말씀드렸듯이, 이 장에서는 '유관순의 고난'으로 대표되는 1919년 3월 1일에서 여성의 역할을 다채로운 주체와 시선으로 살펴보고 있어요. 저는 당대의 연예인이었던 기생 출신 여성의 활약과 변신이 아주 흥미로웠습니다.
이 책에서는 이름만 간략하게 언급된 여성 독립운동가 가운데 주세죽(1901년생)이 있습니다. 박헌영, 김단야와의 로맨스로도 유명한 독립운동가이자 사회주의 운동가인데요. 그 주세죽과 젊은 시절의 박헌영, 김단야의 이야기가 앞에서 언급했던 임경석 선생님의 책에 생생하게 들어 있어요. 저는 박헌영, 김단야보다도 주세죽의 이야기가 더 대단했답니다.

잊을 수 없는 혁명가들에 대한 기록남과 북으로 분단된 후, 반공이데올로기에 휘둘려 우리 현대사에서 은폐되고 왜곡된 사회주의운동사를 복원하는 데 전력하는 역사학자 임경석이 혁명가들의 초상을 그린다. 일제하 조선노동당을 주축으로 민족해방운동과 사회주의운동을 전개한 윤자영(1장), 박헌영, 김단야, 임원근(2장), 강달영(3장) 등이 그들이다.
책장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