쓰담쓰담

D-29
시에 대한 의미와 의의를 함축적으로 잘 표현해낸 문장이라고 생각했습니다. 뒤에 이어서 나오는 소설가의 능력과 그에 대한 의미도 저의 의견과 공통점이 있었고 또 새롭게 생각하게 해주는 부분도 있었습니다.
장면을 시로 포착하는 건, 시인만이 할 수 있는 걸까? 일반인이 하긴 힘들겠지? 일반인이 장면을 시로 포착할 수 있다면, 아마 시인이 되고 싶을지도 몰라~~
결정적인 장면을 포착하는!!! 이게 제일 어려운 일인 거 같은데!!! 이걸 키우기 위해 '박준' 시인이 했던 방법도 생각이 난다.
짧은 단어들이 긴 문장을 이루듯이, 시인의 몇 줄의 문장이 우리 세계를 그려낸다는 것이 즐거운 작업이라고 느껴져서 다함께 해보고 싶어요.
이런점이 문학의 아름다움이 아닐까 하는 생각이 드네요
현대인의 고통의 뿌리를 파헤치면서 단지 힐링만을 외치지 않고 아픔의 근원을 직시하고 치유하는 길을 모색하는 글을 써보고 싶습니다.
끝까지 쓰는 용기 p107, 정여울
단지 맹목적인 희망만을 말하지 않고 아픔의 이유를 깊게 들여다보려는 작가의 의지와 노력이 드러나는 듯하여 인상적이었습니다.
맞아!! 작가님도 자신의 상처를 대면하라고 했잖아!! 아마 융 심리학을 공부하셔서 그런 말씀을 하신 것 같아!! 샘도 융 심리학을 좀 더 알아보고 싶어졌어!! 자신의 상처와 대면하려면 엄청난 용기가 필요할 거 같아!! ^^
그래도~ 우선은 자신이 힐링이 되어야 하지 않을까^^?? 글쓰기로 힐링을 하고~ 그 다음에 나 자신이 비워지면.. 어쩌면 그 땐 아픔을 직시하고 치유하는 글이 써질지도 모른다..
스스로 회복이 되어야 자신이 비워져야 그 후에 다른 사람을 치유할 수 있다고 하는 것이 좋아요*^^*
아픔의 근원을 직시하고 치유한다는 말이 위로가 되네요. 희망을 봅니다.
고통의 뿌리를 파헤치고 아픔의 근원을 직시하는 것으로부터 치유가 시작된다는 것. 그 치유의 길을 모색하는 글을 써보겠다는 것. 작가가 이런 고백을 할 수 있다는 게 참 멋져요.
악평과 악플엔 대처 안 합니다. 대처하려다 더 크게 다칠 수 있어요. 악평과 악플은 말 그대로 악의를 가지고 있거든요. 악의를 향한 방어에도 필요 이상의 힘이 들어가지요. 악플을 남긴 사람은 생각을 전혀 바꾸지 않을 가능성이 높거든요. 그럼 악플을 생각하는 순간 너무 심한 스트레스를 받아요. 생각하는 시간 자체를 극도로 줄여야 '그럼에도 전진하는 나'를 지킬 수 있지요. 저는 악플에 신경 쓰는 힘을 아껴서 더 좋은 일을 하거나 공부하는데 쓰고 싶어요. 어떻게 모든 사람이 나를 좋아해주기를 바랄 수있겠어요. (중략) 악플은 보지 않아도, 저에게 애정이 있어 비판해주시는 분들의 이야기는 잘 들어요. 아주 오랜 기간 신뢰를 쌓은 분들의말은 더 귀담아듣지요. 저를 진정으로 믿어주고 아껴주는 사람들의 비판에 적극적으로 공감하고 바꿔가려고 노력해요.
끝까지 쓰는 용기 52-53, 정여울
악플에 대한 작가들의 스트레스가 얼마나 심한지 알게 된 부분입니다. 작가뿐만 아니라 그 어떤 사람도 '나쁜 말'에는 상처입기 마련이죠. 그 사람이 진정 뭘 알고 있어 말하기 보다 그냥 악플을 쓰고 싶단 생각이 더 강할 거이기에!! 왜~ <미움받을 용기> 책에 보면 10명 중 2명은 내가 뭘해도 싫어하는 사람이라잖아요~~ 악플러는 그런 느낌입니다.
미움받을 용기 (반양장) - 자유롭고 행복한 삶을 위한 아들러의 가르침2015년 최다 판매 1위. 아들러 심리학에 관한 일본의 제1인자인 철학자 기시미 이치로의 명 해석과 베스트셀러 작가인 고가 후미타케의 맛깔스러운 글이 잘 결합되어 새로운 형식을 선보인다.
교원평가할때 도움을 받겠어요! ㅎㅎ
오!! 이 말을 응용하시다니!! 그런데 교원평가 때는 악플로 인해 상처받은 사람이 남지, 작품...(교사의 수업?) 이 남진 않을 거 같아요 ㅠㅠ 결국!! 악플은 안 읽은 사람이 현명한 사람!!
'악플'과 '비판'을 잘 구별할 수 있어야 하는데.. 그날 제 마음에 따라 비판이 악플처럼 다가올 때도 있더군요. 비판을 비판으로 받아들이는 차가운 이성이 필요한데 말이에요^^ ㅠㅠ 오늘도 저를 단련시켜봅니다..
^^ 비판을 비판으로 받아들이는 차가운 이성에 저도 공감합니다. ^^
앗!! 인간은 모두 완벽할 수 없으니, 누군가를 비판(?)할 땐 상당히 조심해야 할 거 같아요. 그래서 반대로 더 무관심해 지는 세상이 되는 거 같기도 하구요! 비판을 비판으로 받아들이는 차가운 이성이 있는지도 많은 대화를 해봐야 알텐데.. 우리에겐 그런 시간들이 부족하니까, 아예 입대지 않겠단 생각이 드는거죠 ㅠ
어떤 글을 쓸 것인가, 어떤 글을 통해 진정한 내 삶을 하루하루 조각할 것인가, 이 문제가 저에게 더 중요하기 때문에 브랜드가 될 시간이 없어요.
끝까지 쓰는 용기 p162, 정여울
작성
글타래
화제 모음
지정된 화제가 없습니다
[책나눔 이벤트] 지금 모집중!
[텍스티] 텍스티의 히든카드🔥 『당신의 잘린, 손』같이 읽어요🫴[도서증정][김세진 일러스트레이터+박숭현 과학자와 함께 읽는]<극지로 온 엉뚱한 질문들> [도서증정][작가와 함께]그리하여 사람은 사랑에 이르다-춤.명상.섹스를 통한 몸의 깨달음
💡독서모임에 관심있는 출판사들을 위한 안내
출판사 협업 문의 관련 안내
그믐 새내기를 위한 가이드
그믐에 처음 오셨나요?[메뉴]를 알려드릴게요. [그믐레터]로 그믐 소식 받으세요
[그믐클래식] 1월부터 꾸준히 진행중입니다. 함께 해요!
[그믐클래식 2025] 한해 동안 12권 고전 읽기에 도전해요! [그믐클래식 2025] 1월, 일리아스 [그믐클래식 2025] 2월, 소크라테스의 변명·크리톤·파이돈·향연[그믐클래식 2025] 3월, 군주론 [그믐클래식 2025] 4월, 프랑켄슈타인 [그믐클래식 2025] 5월, 월든[그믐클래식 2025] 6월, 마담 보바리 [그믐클래식 2025] 7월, 프로테스탄트 윤리와 자본주의 정신
7월 23일 그믐밤 낭독은 <리어 왕>
[그믐밤] 37. 달밤에 낭독, 셰익스피어 3탄 <리어 왕> [그믐연뮤클럽] 3. "리어왕" 읽고 "더 드레서" 같이 관람해요
수북탐독의 재미, 다시 한 번 더!
[📚수북플러스] 3. 깊은숨_수림문학상 작가와 함께 읽어요[📚수북플러스] 2. 귀하의 노고에 감사드립니다_수림문학상 작가와 함께 읽어요[📚수북플러스] 1. 두리안의 맛_수림문학상 작가와 함께 읽어요
우리가 몰랐던 냉전의 시대
[책걸상 '벽돌 책' 함께 읽기] #24. <소련 붕괴의 순간>[책걸상 '벽돌 책' 함께 읽기] #23. <냉전>[책걸상 '벽돌 책' 함께 읽기] #16. <마오주의>
바쁘지만 책은 읽고 싶어 by Oncoazim
올해 가을엔 산에 가야지 머리는 차갑게 좋아하는 것들을 찾기
💰 비트코인과 달러, 같이 공부해요!
『트럼프 시대의 비트코인과 지정학』 함께 읽기 (비트코인, 그리고 달러의 지정학의 개정판)책 [레이어드 머니 돈이 진화한다] 읽기 모임
극과 극은 통한다!
[도서증정][김세진 일러스트레이터+박숭현 과학자와 함께 읽는]<극지로 온 엉뚱한 질문들> [책걸상 '벽돌 책' 함께 읽기] #19. <호라이즌>
🎁 여러분의 활발한 독서 생활을 응원하며 그믐이 선물을 드려요.
[인생책 5문 5답] , [싱글 챌린지] 완수자에게 선물을 드립니다
서리북 아시나요?
<서리북 클럽> 두 번째_편집자와 함께 읽는 서리북 여름호(18호) 혼돈 그리고 그 너머서울리뷰오브북스 북클럽 파일럿 1_편집자와 함께 읽는 서리북 봄호(17호) 헌법의 시간 <서울리뷰오브북스> 7호 함께 읽기
문풍북클럽의 뒷북읽기
[문풍북클럽] 뒷BOOK읽기 : 7월의 책 <혼모노>, 성해나, 창비[문풍북클럽] 6월 : 한 달간 시집 한 권 읽기 [문풍북클럽] 뒷BOOK읽기 : 5월의 책 <죽이고 싶은 아이 1,2권>[문풍북클럽] 뒷BOOK읽기 : 4월의 책 <예술도둑>
모집중밤하늘
내 블로그
내 서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