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임
블로그
글 쓰기
보름 뒤에 출간할...

보름쯤 뒤에 출간할 산문집 표지입니다. 예쁜가요? 제목도 괜찮은가요? ^^


경제학자의 시대

꽤 오랫동안 New York Times 디지털 구독자였지만 Binyamin Appelbaum은 낯선 이름입니다. 그나마 『렉서스와 올리브나무』 저자인 Thomas Friedman 정도의 이름을 기억하는데, 보통 신문을 다 읽어도 경제관련 뉴스를 잘 읽지 않았죠.


우연히 강양구기자가 주도하는 “벽돌 책 함께 읽기”에 참여해 『경제학자의 시대』를 독파했습니다. 주거래 책방 알라딘에서는 번역본의 가격이 31,500원인데 Amazon Kindle Edition은 단 $10.46, 당연히 경제적인 선택을 했습니다.


친절한 제목만으로도 내용을 짐작하게 만듭니다. “The Economists’ Hour: False Prophets, Free Markets, and the Fracture of Society” 뭐 이정도면 다 준 거죠.


1960년대까지 미국 정부 관료 세계에서 경제학자들의 존재감은 미미했습니다. 그런데 또 찾아온 경제위기, 그리고 그 해결책을 관철시키는 경제학자와 그 관점에 귀 기울인 대통령이 등장하며 경제학자의 시대가 1969년에 시작됩니다.


그리고 신자유주의의 진원지인 시카고대학 경제학과의 거두 밀턴 프리드먼이 미국을 시작으로, 세게 많은 국가 정책 결정에 큰 영향력을 휘두르게 됩니다. 진격의 프리드먼을 보면서 왜 이 책이 선택됐는지에 대한 느낌이 대충 옵니다. 2006년 죽은 밀턴 프리드먼이 윤석열 대통령을 통해 우리나라에서 부활했죠. 2023년 경제성장율이 일본에도 뒤처졌다는 소식을 분석하며 정부의 역할 부재가 많이 언급된 걸 기억합니다.


제목을 『경제학자의 시대』라 쓰고 『프리드먼과 아이들의 시대』라 읽어도 무방해 보입니다. 그의 존재감은 이 벽돌책 전체를 관통합니다. 경제 위기 때문에 시작된 존 메이너드 케인스의 시대가 가고 프리드먼의 시대가 도래한 개기는 결국 그 당시 산적된 경제위기입니다. 다수의 경제학자가 소개되는데 저자가 소개하는 방식은 일관됩니다. “A was born in …” 언제 어디서 태어났고 어떤 경제적 환경이 그 사람의 사상에 영향을 미쳤는가를 꼼꼼하게 다룹니다.


경제를 모르는 제가 읽은 바로는 프리드먼은 시장 자유주의자입니다. 그의 대처법은 “시장에 맡기자”로 요약됩니다. 관료가 손을 때면 결국 시장이 알아서 가장 “efficient”한 선택을 합니다. 그런데 문제는 “equality”죠. 시장은 전자를 선택하고 후자에 관심을 기울이지 않습니다. 부제에 언급된 “False Prophets”는 프리드먼을 필두로 한 신자유주의 경제학자이고, “Free Market”는 그들이 제시한 만병통치약 “panacea”였으며, 그 결과는 “the Fracture of Society” 깨져버린 (불평등한) 사회입니다.


그렇다고 저자는 경제학자 없이 정책을 만들자 식의 극단적인 주장을 하지 않습니다. 그들이 잘한 정책을, 예를 들어 낮은 인플레이션, 인정합니다. 하지만, 과도하게 정책결정을 경제학자의 손에 맡긴 후유증으로 세계 경제는 시장만능, 시장자유로 빠져버렸습니다. 미국뿐 아니라 칠레, 아일랜드 상황을 소개하며 그 폐해를 책 끄트머리에 저술합니다.


열 개의 단원으로 나누어 각각 다른 주제를 다루며 이를 하나로 모으는데 각 단원을 따로 읽어도 괜찮을 듯합니다.


미국 경제사를 다루기 때문에 미국 정치를 너무 모르면 좀 어려울 수 있을 듯합니다. 하지만 처음 듣는 경제학자가 다수 등장함에도 놀라울 정도로 잘 읽히는 책입니다.


1969년에 시작된 경제학자의 작은 혁명은 2008년 리먼 브라더스 파산으로 시작된 금융위기로 끝났습니다.

 

인상적인 구절을 공유합니다.


“Alchemists promised to make gold from lead; economists said they could do it ex nihilo, through better policy making” (5). 


“In the four decades between 1969 and 2008, a period I call the “Economists’ Hour,” borrowing a phrase from the historian Thomas McCraw, economists played a leading role in curbing taxation and public spending, deregulating large sectors of the economy, and clearing the way for globalization” (5)


“But the market revolution went too far. In the United States and in other developed nations, it has come at the expense of economic equality, of the health of liberal democracy, and of future generations” (6).


“American economists are sometimes divided into two camps, one of which is said to be headquartered in Chicago and to favor markets in everything, while the other is said to be headquartered in Cambridge, Massachusetts, and to favor the heavy hand of government. These camps are sometimes referred to as “freshwater” and “saltwater.” Far too much is made of such distinctions; the leading members of both groups favored the key shifts described in this book” (16).


“The triumph of free-market economics is sometimes illustrated by a satellite image of the Korean peninsula at night, the southern half illuminated by electricity, the northern half black as the surrounding ocean. It is a powerful image, but its significance has often been misrepresented. South Korea, like other wealthy nations, rose to prosperity by carefully steering its economy. This is the story of what happened when nations decided to take both hands off the wheel” (18).


“One of the most striking shifts was his emphasis on Americans as consumers, rather than Americans as workers” (170).


“Milton Friedman said of John Maynard Keynes that if he had lived long enough, he would have been at the forefront of the free-market counterrevolution. Perhaps if Friedman had lived a few years longer, even he would have recognized that the counterrevolution had gone too far. “The idea that the markets were always right was mad,” said French president Nicolas Sarkozy. “Laissez-faire is finished”” (316)


“A strong social safety net is necessary to sustain a market economy, just as a market economy is necessary to sustain a strong safety net. The economic historian Karl Polanyi observed that these imperatives—the reliance on markets and the commitment to provide a minimum standard of living—rose together in a “double movement” in the nineteenth century. Polanyi described the two forces as opposed: fairness eroding capitalism; capitalism eroding fairness.36 A more optimistic view is that these forces can exist in productive tension, as during the mid-twentieth century, when the United States simultaneously expanded its safety net and its market economy. By contrast, in recent decades, America has pursued economic growth without sufficient regard to the strength of the safety net, and it is the imbalance that has proven destructive” (328)


“Our problem is too many markets, and too much walking away. If you have taken anything from this book, I hope it is the knowledge markets are constructed by people, for purposes chosen by people” (332) 


“But the measure of a society is the quality of life at the bottom of the pyramid, not the top” (332)


All quotes drawn from:


Appelbaum, Binyamin. The Economists' Hour: False Prophets, Free Markets, and the Fracture of Society. Little, Brown and Company. Kindle Edition.

경제학자의 시대 - 그들은 성공한 혁명가인가, 거짓 예언자인가
경제학자의 시대 - 그들은 성공한 혁명가인가, 거짓 예언자인가
과학이 가져다주는 희망과 기쁨

기운을 내고 싶어도 그게 참 안 되는 시간도 있다. 위로에 오히려 더 괴로울 수도 있어서 입을 다물게 되고, 그냥 시간이 해결해주길 기다리는 게 보통이다. 그 와중에 전혀 뜻밖의 무언가가 머리를 확 흔들어주는 일도 있는데, 이번에는 이 책이었다.


뇌과학 서적이 한창 유행 중인 가운데 뒤늦게 좀 읽어보자 싶어서, 추천사도 많고 얇고 글자도 큰 이 책을 선택했는데 참 뿌듯하다. 뇌의 진화라는 기존 통념의 오류, 네트워크, 성장과 세부조정 등을 큼지막한 각주까지 동원해서 설명해주니 처음 접하는데도 흥미진진하다. 물론 그렇다고 여기 소개된 모든 용어를 한 번에 다 외우기는 무리겠지만, 다른 뇌과학 책들까지 보면 익숙해지지 않을까.


이 책이 단순히 재미가 있어서 스트레스를 낮춰준 것은 아니다. 4강에서 나오는 말들은, 어디선가 비슷한 말을 들어봤으면서도 과학을 통한 이야기라는 점에서 와닿는 느낌이 정말 다르다. 자신의 뇌가 가진 학습을 통한 예측 기능을 이용해서 스스로의 행동을 이끌 수 있고, 어른이 된 후 나의 뇌를 바꿀 수 있는 유일한 사람은 나이기 때문에, '잘못했기 때문이 아니라 바꿀 수 있기 때문에' 책임을 가진다는 것...저자의 질문을 나도 계속 곰씹게 된다. 조금씩이라도 내가 뇌의 예측을 내가 원하는 식으로 바꿀 수 있다면 내 삶이 어떤 모습이 될 수 있을까? 다른 뇌과학 책들도 보면서, 오랫동안 생각해보고 싶다.

이토록 뜻밖의 뇌과학 - 뇌가 당신에 관해 말할 수 있는 7과 1/2가지 진실
이토록 뜻밖의 뇌과학 - 뇌가 당신에 관해 말할 수 있는 7과 1/2가지 진실
930. 파시스트 거짓말의 역사 (페데리코 핀첼스타인)

파시즘이라는 단어는 명확히 정의내리기 어려운데, 그것은 파시즘이 본질적으로 논리 체계를 갖춘 이념이라기보다는 들끓는 정념에 가깝기 때문이다. 오늘날 파시스트라는 단어는 그저 정적에 대한 욕설에 불과하지 않나 하는 생각도 한다. 이 책은 파시즘이 권위주의적 포퓰리즘이며, 그 프로젝트의 핵심에 역사를 다시 쓰는 작업이 있다고 풀이한다. 사실을 무시하고 그 자리에 일종의 신화를 대체한다는 것.

파시스트 거짓말의 역사
파시스트 거짓말의 역사
929. 권력과 진보 (대런 아세모글루, 사이먼 존슨)

기술을 어떻게 통제할 것인가 하는 논의가 본격적으로 시작되는 걸까. 같은 주제를 다루는 신간들을 자주 본다. 이 책에서는 두 MIT 경제학자가 기술의 발전 방향은 공공선을 향할 수도 있고, 그 기술을 개발하거나 소유한 특정 계층의 이익을 향할 수도 있다고 주장한다. 기술 발전 방향을 둘러싸고 의제를 설정하고 사람들의 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힘이 중요한데, 저자들은 이를 ‘설득 권력’이라고 칭한다.

권력과 진보 - 기술과 번영을 둘러싼 천년의 쟁투
권력과 진보 - 기술과 번영을 둘러싼 천년의 쟁투
강원국X김민식 말하기의 태도

개인적으로 늘 재미없는 글쓰기를 한다고 생각하는 강원국, 김민식 두 작가가 공동 집필한 말하기에 관한 에세이.


반복해서 언급되는 김민식의 '2020년 한겨례 컬럼 사태'라는 개인적인 트라우마가 흥미로웠다. '사태'라는 워딩을 쓸만큼 개인에게는 너무 크고 중차대한 사건이었고 이를 계기로 평생 몸담은 MBC에서 명예퇴직을 선택했으리라 미루어 짐작.


검색해보니 관련해서 반성문도 쓰고 뭔가 각종 소셜 미디어에서 이슈가 되었던 거 같다. 그런데 나도 그렇고 일반 대중의 상당수는 의외로 별 관심이 없다. 정말이지 너무 관심이 없어서 미안한 기분마저 들었다.  

강원국X김민식 말하기의 태도
강원국X김민식 말하기의 태도
나의 세월호

친구 죽음과 겹쳐 그려내기 힘들기도 했지만.

928. 진보의 진화 (C. 오웬 패프케)

기존의 경제 성장에 한계가 왔으며, 신경생물학과 유전공학의 발전으로 인간 자체가 변화하는 방향으로 세상이 발전할 거라고 한다. 트랜스휴먼이라는 용어만 나오지 않았을 뿐 트랜스휴머니즘 초창기 서적이다. 물질적인 진보의 한계가 왔다는 주장의 근거로 임금과 생산성 정체를 드는데, 책이 나오고 몇 년 뒤 인터넷이 보급되었다.

진보의 진화
진보의 진화
927. 도시의 과학자들 (제임스 트레필)

저자는 글 잘 쓰는 물리학자. 도시를 선도 악도 아닌, 우리가 긍정해야 할 하나의 생태계라는 관점으로 보면서 현대 도시를 만든 과학적 발견과 기술을 소개한다. 도시를 떠받치는 근본 요소는 재료, 에너지, 정보이며, 비둘기나 바퀴벌레 같은 동물은 도시 덕분에 번성했다. 궤도 엘리베이터, 우주 개척지 등 미래의 도시에 대해서도 이야기한다.

도시의 과학자들 - 과학자의 눈으로 본 도시 이야기
도시의 과학자들 - 과학자의 눈으로 본 도시 이야기
24-033 | 안미옥, 힌트 없음

현대문학 (240224~240225)


❝ 별점: ★★★★

❝ 한줄평: 힌트 없음, 그러나 희망은 있음

❝ 키워드: 사람 | 미래 | 시간 | 빛 | 희망 | 삶 | 벽 | 질문 | 대답 | 의문

❝ 추천: 힌트는 없어도 질문과 의문을 던질 수 있는 삶에 관해 알고 싶은 사람


❝ 나는 이제 ‘나’라는 프리즘을 통과한 부분을 세상의 전부라고 착각하며 살고 싶지 않다. 내가 어디와 연결되어 있는지 가지를 뻗어나가는 나무의 방식으로, 연결되고 확장되는 지점을 볼 줄 아는 사람. 그리고 그런 시를 쓰는 사람이고 싶다. ❞

/ 에세이 | 후추 (p.107)


———······———······———


✦ ‘가장 마지막’에 있는 희망. 그렇지만 ‘가장 마지막이 어디인지 알 수 없어서 무거운 사람들의 뒤통수’(「가장 마지막 수업」 부분, p.39). 판도라의 상자에 가장 마지막에 남아 있던 것이 희망이었던 게 떠올랐어요. ‘가장 마지막’은 어디일까, 또 희망이 정말 ‘가장 마지막’ 순간에 찾을 수 있는 것이기는 할까. 우리에겐 그 답에 관한 아무런 힌트도 없지만 그래도 희망이 있다고 믿고 나아가야겠죠. 


✦ 시도 시지만 에세이가 참 좋았던 시집입니다. ‘나무’처럼 가지를 뻗어나가며 연결되고 확장되는 지점을 보고, 또 그런 시를 쓰는 사람이고 싶다는 시인의 에세이가 좋아서 시인의 다른 시집이 궁금해졌어요. 문학동네의 시 뉴스레터 ‘우리는 시를 사랑해’로 알게 된 시인인데, 핀시리즈에 안미옥 시인의 시집이 있길래 이 시집을 먼저 읽게 되었는데요. 더없이 좋은 선택이었습니다. 『힌트 없음』 다음에 출간된 시집인 문학동네시인선 187 『저는 많이 보고 있어요』가 엄청 궁금해졌고 빨리 읽어보고 싶어졌어요! [📝 24/02/27]


———······———······———


✴︎

 사람이 사람을 향해 복을 빌어주는 일을 배워서

 너의 시간을 축복해야지 

  

 네가 어딘가에 도달할 때까지 

  

 너의 흰 재의 시간

 마른 장미의 시간을

/ 「애프터」 (p.21-22)


✴︎

 낭독이 끝나고 사람들이 일어서려 할 때

 대체 희망은 어디 있는 거지? 물음이 들려올 때 

  

 옆에 앉은 사람이 작게 말했다

 희망은 가장 마지막에 있다고 

  

 가장 마지막은 어디일까 알 수 없어서

 돌아가려던 사람들의 뒤통수가 무거워졌다

/ 「가장 마지막 수업」 (p.39)


✴︎

 나는

 1초. 오랫동안 삶은 밀고 나가는 무엇이라고 생각했고. 1초. 왜 한 방향의 질문만 갖고 있었을까 생각했고. 1초. 이제부터 삶은 밀려들어오는 것을 막아서지 않는 방식으로도.

 가능하다. 가능하고 무섭다.

/ 「렌탈 테이블」 (p.44-45)


✴︎

 나는 미래라는 말을 자주 쓰는 사람이 되고 싶었는데 내가 쓰는 미래는 언제나 과거에 있었다 마치 태어나는 일처럼

/ 「공 던지는 사람들」 (p.61)


✴︎

 진짜 옆에 있는 것은 가짜가 아니다. 진짜 옆엔 아무것도 없다. 부를 이름이 부족해서 진짜라고 하는 것. 진짜는 무수한 다른 것들의 이름. 안으로 들어가면 넓고 깊다. 알게 된다. 커지는 알갱이. 많아지는 알갱이.

/ 「힌트 없음— 질문과 대답」 (p.86)


✴︎

 좋은 사람이 되고 싶다는 말은 좋은 후추가 되고 싶다는 말과 얼마나 다를까. 예전엔 무턱대고 좋은 것이라고 생각했던 어떤 단어나 문장에 대해 더 깊이 고민하게 된다. 위선은 아닐까. 그 문장이 나의 테두리가 되어 나를 가두고 다른 것을 보지 못하게 한 것은 아닐까. 그 테두리를 만든 것은 다른 누구도 아니고 나 자신이다. 매일 만들고 깨닫고 그리고 다시 부수면서 살고 싶다. 말에 갇히지 않고. 내가 옳다고 믿는 것에 함몰되지 않고. 쓰는 일이 그것을 조금은 가능하게 해주지 않을까.

/ 에세이: 「후추」 (p.103)


———······———······———


🗒️ 좋았던 시


✎ 「조망」

✎ 「아주 오랫동안」 ⛤

✎ 「애프터」 ⛤

✎ 「모빌」

✎ 「펭귄 섬에 있다」

✎ 「가장 마지막 수업」 ⛤

✎ 「렌탈 테이블」 ⛤

✎ 「기시감」

✎ 「해운대」

✎ 「변천사」 ⛤

✎ 「공 던지는 사람들」 ⛤

✎ 「핀트」

✎ 「그런 것」

✎ 「파이프가 시작되는 곳」

✎ 「힌트 없음— 질문과 대답」 ⛤

✎ 「미래의 시」 ⛤


———······———······———

힌트 없음
힌트 없음
123456789101112131415161718192021222324252627282930313233343536373839404142434445464748495051525354555657585960616263646566676869707172737475767778798081828384858687888990919293949596979899100101102103104105106107108109110111112113114115116117118119120121122123124125126127128129130131132133134135136137138139140141142143144145146147148149150151152153154155156157158159160161162163164165166167168169170171172173174175176177178179180181182183184185186187188189190191192193194195196197198199200201202203204205206207208209210211212213214215216217218219220221222223224225226227228229230231232233234235236237238239240241242243244245246247248249250251252253254255256257258259260261262263264265266267268269270271272273274275276277278279280281282283284285286287288289290291292293294295296297298299300301302303304305306307308309310311312313314315316317318319320321322323324325326327328329330331332333334
[책 나눔 이벤트] 지금 모집중!
[책증정] 작가와 작가가 함께 등판하는 조영주 신작 <마지막 방화> 리디셀렉트로 함께 읽기[책 증정] 텍스티와 함께 『편지 가게 글월』 함께 읽어요![책 증정] <고전 스캔들> 읽고 나누는 Beyond Bookclub 5기 [책증정] 페미니즘의 창시자, 프랑켄슈타인의 창조자 《메리와 메리》 함께 읽어요!
💡독서모임에 관심있는 출판사들을 위한 안내
출판사 협업 문의 관련 안내
그믐 새내기를 위한 가이드
그믐에 처음 오셨나요?[그믐레터]로 그믐 소식 받으세요중간 참여할 수 있어요!
🎯"우리 골목을 광장으로 만드는 법" 떠오르는 책을 추천해주세요!
[성북구립도서관] 2024년 성북구 비문학 한 책을 추천해주세요. (~5/12)
세계적 사상가 조너선 하이트의 책, 지금 함께 읽을 사람 모집 중!
[책걸상 '벽돌 책' 함께 읽기] #05. <나쁜 교육>[그믐북클럽Xsam] 15. <바른 마음> 읽고 답해요
이 계절 그리고 지난 계절에 주목할 만한 장편소설 with 6인의 평론가들
다음 세대에도 읽힐 작품을 찾는 [이 계절의 소설] 네 번째 계절 #1다음 세대에도 읽힐 작품을 찾는 [이 계절의 소설] 세 번째 계절 #1다음 세대에도 읽힐 작품을 찾는 [이 계절의 소설] 세 번째 계절 #2
직장인이세요? 길 잃은 직장인을 위한 책들 여기 있어요.
[김영사/책증정] 천만 직장인의 멘토 신수정의 <커넥팅> 함께 읽어요![김영사/책증정] 《직장인에서 직업인으로》 편집자와 함께 읽기[직장인토크] 완생 향해 가는 직장인분들 우리 미생 얘기해요! | 우수참여자 미생 대본집🎈[생각의힘] 어렵지 않아요! 마케터와 함께 읽기 《커리어 그리고 가정》
어서 오세요. 연극 보고 이야기하는 모임은 처음이시죠?
[그믐연뮤클럽의 서막 & 도박사 번외편] "카라마조프 가의 형제들: 이반과 스메르자코프"[그믐밤] 10. 도박사 3탄, 까라마조프 씨네 형제들@수북강녕
💌 여러분의 마지막 편지는 언제인가요?
[책 증정] 텍스티와 함께 『편지 가게 글월』 함께 읽어요![그믐밤] 6. 편지 읽고, 편지 쓰는 밤 @무슨서점[이 편지는 제주도로 가는데, 저는 못가는군요](안온북스, 2022) 읽기 모임
🍵 따스한 녹차처럼 깊이 있는 독후감
종의 기원(동서문화사)브로카의 뇌도킨스, 내 인생의 책들코스믹 컨넥션
딱 하루, 24시간만 열리는 모임
[온라인 번개] ‘책의 날’이 4월 23일인 이유! 이 사람들 이야기해 봐요![온라인 번개] 2회 도서관의 날 기념 도서관 수다
🌸 봄에 어울리는 화사한 표지의 책 3
[책증정/굿즈] 소설 《화석을 사냥하는 여자들》을 마케터와 함께 읽어요![책 증정] 블라섬 셰어하우스 같이 읽어 주세요최하나 작가와 <반짝반짝 샛별야학>을 함께 읽어요.
<이 별이 마음에 들어>김하율 작가가 신작으로 돌아왔어요.
[책증정 ]『어쩌다 노산』 그믐 북클럽(w/ 마케터)[그믐북클럽] 11. <이 별이 마음에 들어> 읽고 상상해요
줌으로 함께 책 이야기하고 싶은 분들은 여기로 👇
함께 책 이야기 해봐요!
모집중
내 블로그
내 서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