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주먼지님의 블로그
한 권의 책은 우리 안의 얼어붙은 바다를 부수는 도끼다이때부터 문학 속에서 변주되는 부조리를 더 사랑하게 된거 같다. 정확히 말하면 부조리 앞에 선 사람을.


지브리 덕후들을 알아보려면 ‘지브리 영화 중 최애’를 물어보면 된다. 극한의 덕후들의 답은 대체로 같다.


페스트는 이 사회, 개개인 곳곳에 존재한다. 병적인 요소를 대입하면 이 소설은 언제든 다르게 읽을 수 있다. 페스트는 하나의 알레고리다


그는 천재와 병자를 넘나든다. 그것이 이상 선생의 묘한 매력이라는 패러독스


당시 희곡론을 들으며 비극에 한창 빠져있을 때였다. 오이디푸스가 자신의 눈 을 찌르는 장면은 언제나 봐도 최고다. 비극적 미로 카타르시스를 극대화했달까. 비극으로 위로를 받을 수도 있다는 걸 깨달았다


담백하고 산뜻한 맛이 그리울 때 펴면 가슴이 맑아진다 산뜻!


런던 테이트 미술관에서 ‘오필리아’를 한참 들여다봤었다. 미술관에 가기 전날 시내 어느 서점에서 ‘햄릿’ 영문판을 샀었다. 그 책을 들고선 그림을 보는데, 그림의 오필리아는 도무지 죽은 사람 같지가 않았다. 두볼이 빨갛게 생기가 있었다 죽느냐 사느냐 그것보다 난 이게 아직도 의문이다


‘살인자의 장난감’을 보면서 다시 떠올랐다. 어쩌면 그 드라마는 죄와 벌을 변주한 것일지도 모르겠다는 생각. 그리고 도 선생의 '죄와 벌'은 수많은 이야기, 심지어는 오늘날 사회에서도 반복되고 있다.


충격적인 첫문장으로 유명한 책들이 몇권 있는데, 이방인은 그중 하나다. 어쩌면 이 첫문장이 곧 카뮈 철학이다


“바람꽃이 일고 봄은 속절없이 지나갔다”
불국사 템플스테이를 간 기억이 있다. 탑돌이를 하던 늦은 밤 공기에는 아사달과 아사녀의 숨결이 남아 있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