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메뉴
타자는 잃어버렸거나 외면했던 자아의 한 부분
2025-10-07 00:09:32“ To understand that I was longing for and missing some aspect of myself, and that there are no strangers. There are only versions of ourselves, many of which we have not embraced, most of which we wish to protect ourselves from. For the stranger is not foreign, she is random; not alien but remembered; and it is the randomness of the
encounter with our already known—although unacknowledged selves that summons a ripple of alarm. ”
『타인의 기원』 토니 모리슨 지음, 이다희 옮김
그 여성에게 내가 품었던 부당한 기대를 이해하는 데는 시간이 좀 걸렸다. 내가 그리워하고 놓치고 있었던 것은 사실 내 안의 어떤 측면이었다는 것, 그리고 세상에 진정한 ‘낯선 이’란 없다는 것을 깨닫기까지. 낯선 이는 단지 우리가 아직 받아들이지 못한 여러 모습의 ‘나’일 뿐이며, 대부분은 우리가 스스로로부터 지키고 싶어 하는 모습들이다. 낯선 이는 외부에서 온 이방인이 아니라, 우연히 마주친 존재다. 낯선 존재가 아니라, 기억된 존재다. 그리고 그 우연한 만남이 불러오는 불안의 파동은, 이미 알고 있었지만 인정하지 않았던 자기 자신과의 조우에서 비롯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