술의 신 디오니소스 바쿠스의 여러 별칭들
2025-11-06 00:15:21
부모: 주신 제우스와 인간 공주 세멜레 사이에서 태어났다.
헤라의 질투: 제우스의 아내 헤라는 세멜레를 질투하여 유모로 변장하고 접근했다. 헤라는 세멜레에게 제우스에게 신의 본모습을 보여달라고 부탁하라고 꾀었다.
세멜레의 죽음: 제우스는 스튁스 강에 맹세했기 때문에 소원을 거절할 수 없었다. 제우스가 본모습인 번개와 빛을 드러내자, 인간인 세멜레는 타 죽었다.
두 번째 탄생: 제우스는 타 죽은 세멜레의 배 속에서 태아를 꺼내어 자신의 허벅지에 넣고 꿰맸다. 디오니소스는 허벅지에서 다시 태어났는데, 이 때문에 '두 번 태어난 자'로 불렸다.
성장: 헤라의 박해를 피해 디오니소스는 니사 산의 님프들에게 맡겨져 자랐다.
신으로서의 역할: 성인이 되어 포도 재배법과 포도주 양조법을 발견하고, 술과 광기, 풍요의 신이 되었다.
Dionysos (Διόνυσος) 그리스어 ‘제우스의 아들 + 니사의 신’ (Dios + Nysa) 본명. ‘니사 산에서 자란 제우스의 아들’이라는 뜻. 니사는 그를 키운 님프들의 거처.
Bacchus (Βάκχος / Bacchus) 그리스·라틴 ‘외침(Βάκχη)에서 유래’ 신의 추종자들이 광란 상태에서 외치는 “Evoe Bacche!”의 ‘Bacchus’에서 비롯. ‘황홀에 빠진 자’.
Iacchus (Ἴακχος) 그리스 엘레우시스 신비의 의례에서의 이름 디오니소스가 데메테르와 페르세포네의 신비에 참여할 때 불리던 이름. ‘빛나는 자’, ‘행진의 인도자’.
Liber / Liber Pater 라틴 ‘자유로운 자 / 자유를 주는 아버지’ 로마에서의 이름. 포도주가 인간을 자유롭게 한다는 관념에서. ‘리베르 파테르’는 바쿠스의 공식 제사명.
Euios / Euius (Εὔιος) 그리스 의식의 환호 “Evoe!”에서 바쿠스의 제자들이 환희 속에서 외치던 소리 “Evoe!”에서 파생. 황홀의 상징.
Lyaios (Λύαιος) 그리스 ‘풀어주는 자’ (λύω = 풀다) 인간의 근심과 억압을 ‘포도주와 황홀’로 풀어준다는 의미. 자유와 해방의 신.
Bromios (Βρόμιος) 그리스 ‘천둥치는 자’, ‘우레소리 같은 자’ 디오니소스가 출생할 때 제우스의 번개 속에서 태어났다는 전설에서. 열광과 소란의 상징.
Zagreus (Ζαγρεύς) 오르페우스파 전승 ‘사냥꾼’, ‘해체된 신’ 오르페우스 신비주의에서 디오니소스의 원초적 이름. 티탄에게 찢겨 죽고 재생함. 부활의 신.
Dithyrambos (Διθύραμβος) 그리스 ‘두 번 태어난 자’ (δις + θύρα) 제우스의 허벅지에서 재탄생했다는 신화에서. 또한 디오니소스 찬가(디튀람보스)의 이름이 됨.
Anthios (Ἄνθειος) 그리스 ‘꽃의 신’, ‘꽃 피우는 자’ 봄과 생명의 부활을 상징. 축제(Anthesteria)에서 특히 쓰임.
Erikryptos (Ἐρικρυπτός) 그리스 ‘숨겨진 자’ 헤라의 질투를 피해 몰래 길러진 신화를 반영. ‘비밀스러운 신’.
Nyseios (Νύσειος) 그리스 ‘니사의 신’ 그가 자란 곳 니사(Nysa)의 지명에서. ‘산의 신’, ‘자연의 아이’.
Eleutherios (Ἐλευθέριος) 그리스 ‘자유롭게 하는 자’ 로마의 Liber와 같은 의미. 영혼의 해방과 카타르시스를 상징.
Bassareus (Βασσαρεύς) 그리스(트라키아) ‘바사라(여사제의 가면/가죽옷) 입은 자’ 트라키아 지역에서 숭배될 때 쓰인 명칭. 광란 의식의 복장에서 유래. Eiraphiotes (Εἰραφιώτης) 그리스 ‘꿰매어진 자’ 제우스의 허벅지에 꿰매져 다시 태어났다는 점에서. 재생의 신의 은유.
Taurokeros / Tauromorphos (Ταυρόκερως / Ταυρόμορφος) 그리스 ‘황소뿔 가진 자’, ‘황소의 형상’ 포도주의 생명력과 황소의 번식력을 동일시. 제의에서 가면이나 황소피를 씀.
Lenaios (Ληναῖος) 그리스 ‘포도즙 틀(Lēnos)의 신’ 포도를 짜는 제의에서 쓰인 이름. 수확의 신.
Sabazios / Sabadius 트라키아-프리기아 ‘하늘의 신’, ‘디오니소스와 동일시된 제국적 태양신’ 프리기아의 토착신과 융합된 형태. 로마 후기에는 Bacchus Sabazius로 불림.
Thyoneus (Θυώνευς) 그리스 ‘세멜레의 아들’ 디오니소스의 어머니 세멜레의 신격화 이름(Thyone)에서 파생. 모성과 부활의 연결고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