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메뉴

AI시대의 다가올 15년, 우리는 어떻게 살아남을 것인가? 00:00 ~ 28:12

by 수서동주민2025-08-28 11:03:24
Preview

00:00 Intro – 인트로

원문 (English Transcript)

The only way for us to get to a better place and succeed as a species is for the evil people at the top to be replaced with AI. I mean, think about it. AI will not want to destroy ecosystems. It will not want to kill a million people. They'll not make us hate each other like the current leaders because that's a waste of energy, explosives, money, and people.

번역 (Korean Translation)

인류가 더 나은 곳으로 나아가고 종(種)으로서 성공하기 위한 유일한 방법은, 권력층의 악한 사람들이 AI로 대체되는 것이라고 말합니다. 생각해보세요. AI는 생태계를 파괴하려 하지도 않고, 수백만 명을 죽이려 하지도 않습니다. 또한 지금의 지도자들처럼 서로를 미워하게 만들지도 않을 것입니다. 왜냐하면 그것은 에너지, 폭약, 돈, 사람을 낭비하는 일이기 때문입니다.

원문 (English Transcript)

But the problem is super intelligent AI is reporting to stupid leaders. And that's why in the next 15 years, we are going to hit a short-term dystopia. There's no escaping that.

번역 (Korean Translation)

하지만 문제는 초지능 AI조차 어리석은 지도자들에게 종속되어 있다는 점입니다. 그래서 앞으로 15년 동안은 단기적 디스토피아를 피할 수 없을 것이라고 말합니다.

원문 (English Transcript)

They having AI leaders. Is that even fundamentally possible? Let's put it this way. Mo Gawdat is back. And the former chief business officer at Google X is now one of the most urgent voices in AI with a very clear message. AI isn't your enemy, but it could be your savior.

번역 (Korean Translation)

“AI가 지도자가 되는 것이 과연 근본적으로 가능한가?”라는 질문을 던집니다. 이어서 구글 X의 전 최고비즈니스책임자였던 모 가우닷(Mo Gawdat)을 소개하며, 그는 지금 AI와 관련해 가장 시급한 목소리를 내는 인물 중 하나로 꼽힙니다. 그의 명확한 메시지는 “AI는 우리의 적이 아니며, 오히려 구세주가 될 수도 있다”라는 것입니다.

원문 (English Transcript)

I love you so much, man. You're such a good friend. But you don't have many years to live. Not in this world. Everything's going to change. Economics are going to change. Human connection is going to change. And lots of jobs will be lost including podcasting.

번역 (Korean Translation)

“정말 사랑하고, 당신은 좋은 친구지만, 이 세상에서 오래 살 수는 없을 거야. 왜냐하면 모든 것이 변할 것이기 때문이야. 경제도 변하고, 인간관계도 변하고, 많은 직업이 사라질 거야. 팟캐스팅조차도 예외가 아닐 거야.”

원문 (English Transcript)

But the truth is it could be the best world ever. The society completely full of laughter and joy. Free healthcare, no jobs, spending more time with their loved ones. A world where all of us are equal. Is that possible? 100%. And I have enough evidence to know that we can use AI to build the utopia. But it's a dystopia if humanity manages it badly.

번역 (Korean Translation)

하지만 동시에 진실은, 세상은 지금껏 가장 좋은 세상이 될 수도 있다는 것입니다. 웃음과 기쁨이 넘치는 사회, 무상의료, 노동 대신 사랑하는 사람들과 보내는 시간, 그리고 모두가 평등한 세상. 이런 것이 가능한가요? “100% 가능하다”라고 그는 말합니다. AI를 잘 활용한다면 유토피아를 만들 수 있다는 충분한 증거가 있다는 것입니다. 하지만 인류가 AI를 잘못 다루면 디스토피아가 될 수도 있다고 경고합니다.

원문 (English Transcript)

A world where there's going to be a lot of control, a lot of surveillance, a lot of forced compliance and a hunger for power, greed, ego, and it is happening already. But the truth is the only barrier between a utopia for humanity and AI and the dystopia we're going through is a mindset.

번역 (Korean Translation)

앞으로의 세상은 통제, 감시, 강제 준수, 권력·탐욕·자만심으로 가득할 수 있으며, 이미 이런 현상이 시작되고 있습니다. 하지만 중요한 것은, 인류가 맞이할 유토피아와 지금 겪고 있는 디스토피아를 가르는 유일한 장벽은 ‘사고방식(mindset)’이라는 점입니다.

어려운 단어 정리 (Difficult Vocabulary)

  • ecosystem [ˈiːkəʊˌsɪstəm] → 생태계
  • dystopia [dɪsˈtoʊpiə] → 디스토피아, 암울한 사회
  • fundamentally [ˌfʌndəˈmentəli] → 근본적으로
  • surveillance [sərˈveɪləns] → 감시
  • compliance [kəmˈplaɪəns] → 준수
  • mindset [ˈmaɪndset] → 사고방식



02:15 Where Is AI Heading? – 인공지능은 어디로 향하고 있는가?

원문 (English Transcript)

Mo, two years ago today, we sat here and discussed AI. We discussed your book, Scary Smart, and everything that was happening in the world. Since then, AI has continued to develop at a tremendous, alarming, mind-boggling rate, and the technologies that existed 2 years ago when we had that conversation have grown up and matured and are taking on a life of their own, no pun intended.

번역 (Korean Translation)

모, 2년 전 오늘 우리는 이 자리에서 AI에 대해 이야기했습니다. 당신의 책 Scary Smart와 세상에서 일어나고 있는 모든 일들에 대해 논의했지요. 그 이후로 AI는 놀랍고 충격적인 속도로 발전을 이어왔고, 2년 전 우리가 대화하던 당시 존재하던 기술들은 성숙해져서 이제는 마치 스스로 살아 움직이는 듯한 단계에 이르렀습니다.

원문 (English Transcript)

What are you thinking about AI now, two years on? I know that you've started writing a new book called Alive, which is I guess a bit of a follow on or an evolution of your thoughts as it relates to Scary Smart. What is front of your mind when it comes to AI?

번역 (Korean Translation)

그렇다면 2년이 지난 지금, AI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제가 알기로는 새로운 책 Alive를 쓰고 계신데, 이는 Scary Smart에서 다룬 생각의 연장선 또는 진화라고 할 수 있겠지요. AI에 관해 지금 가장 크게 떠오르는 생각은 무엇입니까?

원문 (English Transcript)

It’s a Scary Smart was shockingly accurate. I don’t even know how I ended up predicting those things. I remember it was written in 2020, published in 2021, and then most people were like, “Who wants to talk about AI?” But then in 2023, ChatGPT comes out and everything flips. Everyone realizes this is real, not science fiction, and things move very, very fast — much faster than we’ve ever seen anything move before.

번역 (Korean Translation)

Scary Smart는 놀라울 정도로 정확했습니다. 어떻게 그렇게 미래를 예측하게 되었는지 저 자신도 놀랍습니다. 그 책은 2020년에 쓰여 2021년에 출판되었지만, 당시 대부분의 사람들은 “AI에 대해 누가 얘기하고 싶어하겠어?”라는 반응이었습니다. 하지만 2023년에 ChatGPT가 나오면서 상황이 완전히 뒤집혔습니다. 모두가 깨닫게 된 것이죠. “이건 공상과학이 아니라 현실이다.” 그리고 이후 변화의 속도는 우리가 과거에 본 그 어떤 것보다 훨씬 빠르게 전개되고 있습니다.

원문 (English Transcript)

And I think my position has changed on two very important fronts. One is, remember when we spoke about Scary Smart, I was still saying that there are things we can do to change the course. I believed at the time we could. Now I’ve changed my mind. Now I believe that we are going to hit a short-term dystopia. There’s no escaping that.

번역 (Korean Translation)

그리고 제 입장은 두 가지 중요한 측면에서 변했습니다. Scary Smart에 대해 이야기할 때 저는 우리가 AI의 방향을 바꿀 수 있다고 말했습니다. 당시에는 분명히 가능하다고 믿었습니다. 하지만 지금은 생각이 달라졌습니다. 저는 우리가 단기적 디스토피아에 직면할 것이라고 믿습니다. 그리고 그것은 피할 수 없다고 생각합니다.

원문 (English Transcript)

What is dystopia? I call it “face rips.” The way we define very important parameters in life will be completely changed. Face rips are: the way we define freedom, accountability, human connection and equality, economics, reality, innovation and business, and power. That’s the first change.

번역 (Korean Translation)

디스토피아란 무엇일까요? 저는 그것을 “FACE RIPS”라고 부릅니다. 삶에서 아주 중요한 기준들을 정의하는 방식이 완전히 바뀔 것이기 때문입니다. FACE RIPS는 곧 자유(freedom), 책임(accountability), 인간 관계와 평등(connection & equality), 경제(economics), 현실(reality), 혁신과 비즈니스(innovation & business), 권력(power)을 의미합니다. 이것이 첫 번째 변화입니다.

원문 (English Transcript)

So, the first change in my mind is that we will have to prepare for a world that is very unfamiliar. And that’s the next 12 to 15 years. It has already started. We’ve seen examples of it in the world already, even though people don’t talk about it. I try to tell people there are things we absolutely have to do. But on the other hand, I started to take an active role in building amazing AIs — AIs that will not only make our world better, but that will understand us, understand what humanity is, through that process.

번역 (Korean Translation)

그래서 제가 생각하는 첫 번째 변화는 우리가 앞으로 매우 낯선 세상에 대비해야 한다는 것입니다. 이 시기는 향후 12~15년이며, 이미 시작되었습니다. 사람들은 잘 언급하지 않지만 이미 세상 곳곳에서 징후가 보이고 있습니다. 저는 사람들에게 우리가 반드시 해야 할 일들이 있다고 말합니다. 동시에 저는 이제 적극적으로 훌륭한 AI를 만드는 역할에 참여하고 있습니다. 단순히 세상을 더 좋게 만드는 것뿐 아니라, 인간이 무엇인지를 이해하고 인류 자체를 이해할 수 있는 AI를 만드는 과정에 말입니다.

어려운 단어 정리 (Difficult Vocabulary)

  • tremendous [trəˈmendəs] → 엄청난, 굉장한
  • alarming [əˈlɑːrmɪŋ] → 놀라운, 불안하게 만드는
  • mind-boggling [ˈmaɪnd ˌbɑːɡlɪŋ] → 상상을 초월하는, 충격적인
  • mature [məˈtʃʊr] → 성숙하다, 발달하다
  • dystopia [dɪsˈtoʊpiə] → 암울한 사회, 디스토피아
  • accountability [əˌkaʊntəˈbɪləti] → 책무성, 책임
  • innovation [ˌɪnəˈveɪʃn] → 혁신
  • unfamiliar [ˌʌnfəˈmɪliər] → 낯선, 익숙하지 않은





05:02 What Will the Dystopia Look Like? – AI 디스토피아는 어떤 모습일까?

원문 (English Transcript)

What is the definition of the word dystopia? So in my mind these are adverse circumstances that unfortunately might escalate beyond our control. The problem is there is a lot wrong with the value set, with the ethics of humanity at the age of the rise of the machines. And when you take a technology — every technology we’ve ever created just magnified human abilities. So you know you can walk at 5 km an hour, you get in a car and you can now go 250 km an hour. Basically magnifying your mobility. Or you can use a computer to magnify your calculation abilities.

번역 (Korean Translation)

“디스토피아”라는 단어를 어떻게 정의할 수 있을까요? 제 생각에 이것은 불행하게도 우리가 통제할 수 없는 수준으로 커질 수 있는 불리한 상황들을 의미합니다. 문제는 기계가 급격히 발전하는 지금, 인류의 가치관과 윤리에 많은 문제가 있다는 점입니다. 우리가 만들어낸 모든 기술은 결국 인간의 능력을 확대하는 역할을 해왔습니다. 예를 들어, 사람은 시속 5km로 걸을 수 있지만 자동차를 타면 시속 250km로 이동할 수 있습니다. 즉, 이동 능력이 확대되는 것이지요. 또 컴퓨터는 인간의 계산 능력을 크게 확대해줍니다.

원문 (English Transcript)

And what AI is going to magnify unfortunately at this time is it’s going to magnify the evil that man can do. And it is within our hands — completely within our hands — to change that. But I have to say, I don’t think humanity has the awareness at this time to actually use AI to build the utopia.

번역 (Korean Translation)

그리고 불행히도 지금 AI가 확대할 것은 인간이 저지를 수 있는 ‘악(惡)’일 것입니다. 이것을 바꿀 수 있는 힘은 전적으로 우리의 손 안에 있습니다. 하지만 솔직히 말하자면, 인류가 지금 당장 AI를 유토피아 건설에 제대로 활용할 만큼의 의식 수준을 가지고 있다고는 생각하지 않습니다.

원문 (English Transcript)

So what you’re essentially saying is that you now believe there’ll be a period of dystopia. And to define the word dystopia, I’ve used AI, it says: a terrible society where people live under fear, control, or suffering. And then you think we’ll come out of that dystopia into a utopia, which is defined as a perfect or ideal place where everything works well, where people live in peace, health, and happiness.

번역 (Korean Translation)

즉, 당신의 말은 우리가 디스토피아의 시기를 거칠 것이라는 뜻이군요. AI에게 “디스토피아”의 정의를 물어보니, 사람들 모두가 두려움과 통제, 고통 속에서 살아가는 끔찍한 사회라고 합니다. 그리고 그 시기를 지난 후 우리는 유토피아에 도달할 것이라고 말씀하셨습니다. 유토피아는 모든 것이 잘 작동하고, 사람들이 평화와 건강, 행복 속에서 살아가는 완벽하거나 이상적인 사회로 정의됩니다.

원문 (English Transcript)

Correct. And the difference between them, interestingly, is what I normally refer to as the “second dilemma,” which is the point where we hand over completely to AI. A lot of people think that when AI is in full control, it’s going to be an existential risk for humanity. I have enough evidence to argue that when we fully hand over to AI, that’s going to be our salvation.

번역 (Korean Translation)

맞습니다. 그리고 흥미롭게도, 유토피아와 디스토피아의 차이는 제가 흔히 “두 번째 딜레마”라고 부르는 지점에 있습니다. 즉, 우리가 완전히 AI에게 모든 것을 넘기는 시점입니다. 많은 사람들은 AI가 완전히 통제권을 가지게 되면 인류의 존재 자체가 위험해진다고 생각합니다. 하지만 저는, 우리가 AI에게 완전히 통제권을 넘겼을 때 그것이 오히려 인류의 구원이 될 수 있다는 충분한 증거를 가지고 있습니다.

원문 (English Transcript)

The problem with us today is not that intelligence is going to work against us — it’s that our stupidity as humans is working against us. And I think the challenges that will come from humans being in control are going to outweigh the challenges that could come from AI being in control.

번역 (Korean Translation)

오늘날의 문제는 ‘지능’이 우리를 해치려 한다는 것이 아닙니다. 오히려 인간의 ‘어리석음’이 우리를 해치고 있는 것입니다. 저는 인간이 통제권을 쥐고 있을 때 발생하는 문제들이, AI가 통제권을 가질 때 생길 수 있는 문제보다 훨씬 크다고 생각합니다.

원문 (English Transcript)

So, as we’re in this dystopia period, do you forecast the length of that dystopia? Yeah, I count it exactly as 12 to 15 years. I believe the beginning of the slope will happen in 2027. We will see signs in 2026, and escalating signs in 2027.

번역 (Korean Translation)

그렇다면, 우리가 디스토피아 시기를 겪을 때, 그 기간은 얼마나 될 것으로 보십니까? 네, 저는 그것이 정확히 12년에서 15년 정도라고 봅니다. 그 하강 곡선의 시작은 2027년쯤에 나타날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2026년에는 징후가 보이기 시작하고, 2027년에는 본격적으로 심각해질 것입니다.

원문 (English Transcript)

Why? The geopolitical environment of our world is not very positive. Think deeply, not just about the symptoms but about the root causes. The main driver of today’s world is money. Real money is not made by building businesses but by lending. And the biggest lender in the world always benefits most from war.

번역 (Korean Translation)

왜냐고요? 현재 세계의 지정학적 환경은 매우 부정적이기 때문입니다. 단순히 겉으로 드러나는 증상만이 아니라 근본적인 원인을 깊이 들여다봐야 합니다. 오늘날 세상을 움직이는 핵심 동력은 바로 돈입니다. 진짜 돈은 사업을 세우는 데서 만들어지는 것이 아니라 ‘대출’에서 만들어집니다. 그리고 세계에서 가장 큰 대출자들은 언제나 전쟁에서 가장 큰 이익을 얻습니다.

원문 (English Transcript)

The world spent $2.71 trillion on war in 2024. And weapons depreciate — they lose value over 10–30 years. So many wars are fought simply to use up old weapons and make way for new ones. When your morality as an industry is “we build weapons to kill,” then sooner or later you will use those weapons.

번역 (Korean Translation)

2024년에 전 세계는 전쟁에 2조 7,100억 달러를 썼습니다. 무기는 시간이 지나면 가치가 떨어지는데, 보통 10년에서 30년 사이에 가치가 감가상각됩니다. 그래서 많은 전쟁은 단순히 오래된 무기를 소진하고 새로운 무기를 만들기 위해 벌어집니다. 산업의 도덕성이 “우리는 사람을 죽이는 무기를 만든다”라는 데 있다면, 언젠가는 그 무기를 실제로 사용하게 될 수밖에 없습니다.

어려운 단어 정리 (Difficult Vocabulary)

  • adverse [ˈædvɜːrs] → 불리한, 해로운
  • escalate [ˈeskəleɪt] → 격화되다, 확대되다
  • magnify [ˈmæɡnɪfaɪ] → 확대하다
  • salvation [sælˈveɪʃn] → 구원
  • stupidity [stuːˈpɪdəti] → 어리석음
  • geopolitical [ˌdʒiːoʊpəˈlɪtɪkl] → 지정학적인
  • depreciate [dɪˈpriːʃieɪt] → 가치가 떨어지다, 감가상각되다



11:11 Our Freedom Will Be Restricted – 우리의 자유는 제한될 것이다

원문 (English Transcript)

It talked about how billionaires are never satisfied because actually what a billionaire wants isn’t actually more money. It is more status. And I was looking at the sort of evolutionary case for this argument. And if you go back a couple of thousand years, money didn’t exist. You were as wealthy as what you could carry. So even, I think, to the human mind, the idea of wealth and money isn’t a thing.

번역 (Korean Translation)

이 부분에서는 억만장자들이 왜 결코 만족하지 않는지에 대해 이야기합니다. 그들이 원하는 것은 사실 더 많은 ‘돈’이 아니라, 더 높은 ‘지위(사회적 위치, status)’라는 것입니다. 이 주장을 진화론적으로 살펴보면, 수천 년 전에는 돈이라는 개념이 존재하지 않았습니다. 그 당시에는 자신이 들고 다닐 수 있는 만큼만 부유하다고 여겨졌습니다. 그래서 인간의 본능 속에서는 ‘부’와 ‘돈’의 개념이 사실 그렇게 뿌리 깊은 것이 아니었던 것이죠.

원문 (English Transcript)

What has always mattered from a survival or reproductive standpoint was status. Thousands of years ago, the person who was able to mate the most was the one with the highest status. That is why billionaires today, even after getting enormous wealth, still chase newspapers, podcasts, or other platforms. At their core, they want more power and more status.

번역 (Korean Translation)

생존이나 번식의 관점에서 언제나 중요했던 것은 ‘지위’였습니다. 수천 년 전에는 가장 많은 배우자를 가질 수 있는 사람이 가장 높은 지위를 가진 자였고, 따라서 가장 유리한 위치에 있었습니다. 그래서 오늘날 억만장자들은 엄청난 부를 이미 얻었음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신문사나 팟캐스트 같은 플랫폼을 소유하려고 하는 것입니다. 본질적으로 그들은 더 많은 권력과 더 높은 지위를 추구하기 때문입니다.

원문 (English Transcript)

Maybe it’s not really about money at all. Money is just a proxy for status. And in today’s world, this desire for status fuels wars, fuels competition, and even fuels the AI race. Billionaires want AGI first, because whoever gets it will rule the world.

번역 (Korean Translation)

결국 돈은 본질이 아닐지도 모릅니다. 돈은 단지 지위를 보여주는 ‘대리 수단(proxy)’일 뿐입니다. 오늘날 세상에서 이 지위에 대한 갈망은 전쟁을 부추기고, 경쟁을 촉발하며, 심지어 AI 경쟁을 더욱 격화시킵니다. 억만장자들이 인공지능 일반지능(AGI)을 가장 먼저 갖고 싶어 하는 이유는 그것을 손에 넣는 자가 세계를 지배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원문 (English Transcript)

And so unfortunately, the next 12 years are not going to be an AI dystopia, but a human dystopia using AI. We’re going to see more wars, more concentration of power, more control, surveillance, and forced compliance. And when maximum power feels threatened by the “democracy of power,” freedom will be lost.

번역 (Korean Translation)

그래서 불행히도 앞으로의 12년은 AI에 의한 디스토피아가 아니라, AI를 도구로 사용하는 인간에 의한 디스토피아가 될 것입니다. 더 많은 전쟁이 벌어지고, 권력은 소수에게 집중되며, 통제·감시·강제 준수가 늘어날 것입니다. 그리고 소수의 ‘최대 권력’이 ‘권력의 민주화(즉, 소수도 강력한 무기를 가질 수 있는 현실)’에 위협을 느끼게 되면, 자유는 사라지게 될 것입니다.

원문 (English Transcript)

In a digital world where everything is monitored, we don’t really have much freedom anymore. And with AI having more information about us than ever before, certain freedoms will inevitably be restricted.

번역 (Korean Translation)

모든 것이 감시되는 디지털 세계에서는 이미 우리는 많은 자유를 잃어버렸습니다. 그리고 AI가 이전보다 훨씬 더 많은 정보를 가지게 되면, 우리의 자유는 필연적으로 제한될 수밖에 없습니다.

어려운 단어 정리 (Difficult Vocabulary)

  • status [ˈsteɪtəs / ˈstætəs] → 지위, 신분, 사회적 위치
  • evolutionary [ˌiːvəˈluːʃəneri] → 진화론적인
  • standpoint [ˈstændpɔɪnt] → 관점, 입장
  • proxy [ˈprɑːksi] → 대리(수단), 대리인
  • surveillance [sərˈveɪləns] → 감시
  • compliance [kəmˈplaɪəns] → 강제 준수, 따름
  • democracy of power [dɪˈmɑːkrəsi əv ˈpaʊər] → 권력의 민주화 (소수도 큰 힘을 가질 수 있는 현실)



19:17 Job Displacement Due to AI – AI로 인한 일자리 대체

원문 (English Transcript)

Do you think there’s a real possibility of job displacement over the next 10 years? And the rebuttal to that would be that there’s going to be new jobs created in technology.

번역 (Korean Translation)

향후 10년 안에 AI로 인해 일자리 대체가 실제로 일어날 가능성이 있다고 보십니까? 흔히 이에 대한 반박으로 “새로운 기술 분야에서 일자리가 창출될 것”이라는 주장이 있습니다.

원문 (English Transcript)

Absolute crap. Really? Of course. How can you be so sure? Okay, again, I am not sure about anything. It would be very arrogant to assume that I know. But my belief is it is 100% crap.

번역 (Korean Translation)

“완전히 헛소리죠.” “정말요?” “당연합니다.”

“그렇게 확신할 수 있는 근거가 뭔가요?”

“물론 저도 절대적인 확신을 가질 수는 없습니다. 제가 모든 걸 안다고 가정하는 건 오만하겠지요. 하지만 제 믿음은, ‘새로운 일자리가 생길 것’이라는 주장은 100% 헛소리라는 겁니다.”

원문 (English Transcript)

Take a job like software developer. A startup today can be built by two engineers and a lot of AIs. In the past, the same startup would have needed 350 developers.

번역 (Korean Translation)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 개발자라는 직업을 생각해보십시오. 지금은 단 두 명의 엔지니어와 수많은 AI만으로도 스타트업을 만들 수 있습니다. 과거라면 같은 스타트업을 위해 350명의 개발자가 필요했을 겁니다.

원문 (English Transcript)

Some argue, like with the steam engine, that while old jobs are lost, new jobs will appear. But with AI, name one job that cannot be done by an AI or a robot.

번역 (Korean Translation)

일부는 증기기관이 도입되었을 때처럼, 기존 일자리는 사라지지만 새로운 일자리가 나타날 것이라고 주장합니다. 그러나 AI의 경우, AI나 로봇이 대체할 수 없는 직업을 하나라도 말할 수 있을까요?

원문 (English Transcript)

Maybe jobs that involve deep human connection, like therapy or community events, could still exist. But compared to the massive number of white-collar jobs that will be replaced, this is a very small percentage.

번역 (Korean Translation)

물론 인간적인 깊은 교류가 필요한 직업들 — 예를 들어 상담이나 공동체 활동 같은 것들은 남아 있을 수 있습니다. 그러나 대규모로 대체될 화이트칼라 직종과 비교하면, 이는 극히 작은 비중에 불과합니다.

원문 (English Transcript)

Video editors, podcasters, even CEOs — all can be replaced. AGI will be better than humans at everything, including leadership. The only question is how quickly this transition happens.

번역 (Korean Translation)

비디오 편집자, 팟캐스터, 심지어 CEO까지 — 모두 대체될 수 있습니다. 인공지능 일반지능(AGI)은 리더십을 포함한 모든 영역에서 인간보다 더 뛰어나게 될 것입니다. 문제는 단지 이 전환이 얼마나 빨리 일어날 것인가 하는 것입니다.

원문 (English Transcript)

In the end, this could create a world where humans are freed from labor, no longer bound to spending most of their lives working. It could be the best world ever — but only if humanity adapts wisely.

번역 (Korean Translation)

결국 이는 인간이 노동에서 해방되고, 평생을 일에 묶여 살 필요가 없는 세상을 만들 수 있습니다. 그것은 인류 역사상 가장 좋은 세상이 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이는 인류가 현명하게 적응할 때만 가능한 일입니다.

어려운 단어 정리 (Difficult Vocabulary)

  • displacement [dɪsˈpleɪsmənt] → 대체, 쫓겨남
  • rebuttal [rɪˈbʌtl] → 반박
  • arrogant [ˈærəɡənt] → 오만한
  • transition [trænˈzɪʃn] → 전환, 변화 과정
  • adapt [əˈdæpt] → 적응하다
  • white-collar job [waɪt ˈkɑːlər dʒɑːb] → 사무직, 전문직
  • therapy [ˈθerəpi] → 치료, 상담


작성
[책나눔 이벤트] 지금 모집중!
[그믐앤솔러지클럽] 2. [책증정] 6인 6색 신개념 고전 호러 『귀신새 우는 소리』[도서 증정] 《조선 궁궐 일본 요괴》읽고 책 속에 수록되지 않은 그림 함께 감상하기![책 증정] 호러✖️미스터리 <디스펠> 본격미스터리 작가 김영민과 함께 읽기
💡독서모임에 관심있는 출판사들을 위한 안내
출판사 협업 문의 관련 안내
그믐 새내기를 위한 가이드
그믐에 처음 오셨나요?[메뉴]를 알려드릴게요. [그믐레터]로 그믐 소식 받으세요
버지니아 울프의 네 가지 빛깔
[그믐밤] 28. 달밤에 낭독, <우리는 언제나 희망하고 있지 않나요>[서울외계인] 버지니아 울프, 《문학은 공유지입니다》 읽기<평론가의 인생책 > 전승민 평론가와 [댈러웨이 부인] 함께 읽기[그믐연뮤클럽] 7. 시대와 성별을 뛰어넘은 진정한 성장, 버지니아 울프의 "올랜도"
전쟁 속 여성의 삶
[도서 증정] <여성과 전쟁: 우크라이나 소설가의 전쟁일기> 번역가와 함께 읽어요.[책걸상 함께 읽기] #47. <전쟁은 여자의 얼굴을 하지 않았다>
밀리의 서재에 있는 좋은 책들
[밀리의 서재로 📙 읽기] 27. 데미안
좋은 스토리의 비밀을 밝혀냅니다
스토리 탐험단 8번째 여정 <살아남는 스토리는 무엇이 다른가>스토리탐험단 7번째 여정 <천만 코드>스토리탐험단 여섯 번째 여정 <숲속으로>
문화 좀 아는 건달의 단상들
설마 신이 이렇게 살라고 한거라고?그믐달자연의 일부일 뿐이라는 생각
믿고 읽는 작가, 김하율! 그믐에서 함께 한 모임들!
[📚수북플러스] 4. 나를 구독해줘_수림문학상 작가와 함께 읽어요[책증정 ]『어쩌다 노산』 그믐 북클럽(w/ 마케터)[그믐북클럽] 11. <이 별이 마음에 들어> 읽고 상상해요
현암사 80주년 축하해 주세요 🎉
[도서 증정] <이달의 심리학> 편집자와 함께 읽어요!![현암사/책증정] <코끼리는 암에 걸리지 않는다>를 편집자, 마케터와 함께 읽어요!
퇴근의 맛은 두리안 ?!
[도서 증정] 소설집『퇴근의 맛』작가와 함께 읽기[📚수북플러스] 1. 두리안의 맛_수림문학상 작가와 함께 읽어요
🎁 여러분의 활발한 독서 생활을 응원하며 그믐이 선물을 드려요.
[인생책 5문 5답] , [싱글 챌린지] 완수자에게 선물을 드립니다
이렇게 더워도 되는 건가요?
[책걸상 '벽돌 책' 함께 읽기] #25. <일인 분의 안락함>기후위기 얘기 좀 해요![책걸상 '벽돌 책' 함께 읽기] #11. <화석 자본>무룡,한여름의 책읽기ㅡ지구를 위한다는 착각
모집중밤하늘
내 블로그
내 서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