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메뉴

AI시대의 다가올 15년, 우리는 어떻게 살아남을 것인가? 01:26:36–01:57:17

by 수서동주민2025-09-14 00:04:09
Preview



01:26:36 If Jobs No Longer Exist, What Will We Do?

Transcript 1

So in such a world, which I guess is your version of the utopia that we can get to, when I wake up in the morning, what do I do? What do you do?

Today I woke up this morning, I spent a lot of time with my dog because my dog is sick. I was stroking him a lot, then I fed him, but he got sick again. I thought, “Oh god.” So I spoke to the vet.

Korean Explanation

“그런 세상, 즉 당신이 말하는 유토피아 같은 세상에서 제가 아침에 일어나면 뭘 하게 될까요? 당신은 뭘 하시나요?”

“저는 오늘 아침에 일어나서 아픈 강아지와 시간을 많이 보냈어요. 많이 쓰다듬어주고 밥도 줬는데 또 아프더군요. 그래서 수의사와도 통화했어요.”

Transcript 2

You spend a lot of time with your other dog. You can do that too. Okay. Right. But then I was very excited to come here, do this, and after this I’m going to work. It’s Saturday, but I’m going to go downstairs to the office and work. Yeah.

So six hours of the day so far are your dogs and me. Good. You can do that still.

Korean Explanation

“당신도 다른 강아지와 많은 시간을 보내잖아요. 그것도 할 수 있습니다. 알겠습니다. 그런데 저는 오늘 여기 오게 돼서 신났고, 이걸 끝내고 나면 일을 할 겁니다. 오늘은 토요일이지만 사무실에 내려가서 일을 하려고 해요.”

“그러니까 지금까지 하루의 여섯 시간을 강아지들과 저와 함께 쓴 거군요. 좋아요. 그런 생활도 충분히 가능합니다.”

Transcript 3

And then build my business. You may not need to build your business, but if you enjoy it, then do it. You may wake up and, instead of building your business, you may invest in your body a little more, go to the gym, play a game, read a book, or prompt an AI to learn something.

It’s not a horrible life. It’s the life of your grandparents — just two generations ago. People went to work before the “invention of more.” They worked enough to make a reasonable living, went home at 5:00 p.m., had tea with loved ones, enjoyed dinner at the table, and spent the evening living life.

Korean Explanation

“그 다음엔 제 사업을 키우죠.”

“꼭 사업을 할 필요는 없습니다. 하지만 즐긴다면 계속하세요. 아니면 아침에 일어나서 사업 대신 운동을 더 하거나, 게임을 하거나, 책을 읽거나, AI에게 질문해서 배우는 시간을 보낼 수도 있습니다.”

“그건 끔찍한 삶이 아닙니다. 오히려 할아버지·할머니 세대, 두 세대 전의 삶과 비슷합니다. 그들은 ‘더 많은 것의 발명(Invention of More)’ 이전에 일을 해서 생활비만 벌면 충분했고, 오후 5시에 집에 돌아와 가족과 차를 마시고, 함께 저녁을 먹고, 저녁 시간을 즐겼습니다.”

Transcript 4

Some people think humans were always working, like farmers or hunters all day. But hunters went out once a week and fed the tribe. Farmers sowed seeds and waited months. What did they do with the rest of the time?

They connected as humans, explored, were curious, discussed spirituality and the stars. They lived, hugged, loved.

Korean Explanation

“많은 사람들이 인류가 늘 일만 했다고 생각합니다. 농부는 매일 일하고, 사냥꾼은 하루 종일 사냥했다고요. 하지만 사실 사냥꾼은 일주일에 한 번 나가서 부족을 먹여 살렸습니다. 농부는 씨를 뿌리고 몇 달을 기다렸습니다. 나머지 시간엔 뭘 했을까요?”

“사람들은 서로 연결되고, 탐구하고, 호기심을 갖고, 영성과 별에 대해 이야기했습니다. 살고, 안기고, 사랑하며 시간을 보냈습니다.”

Transcript 5

Most humans are okay. 98–99% of people you meet wouldn’t hit you in the face. They would defend themselves if attacked, but they wouldn’t attack first.

Most of us don’t need a Ferrari. People want one only because it’s sold to them all the time. If everyone had a Ferrari, no one would care.

Korean Explanation

“대부분의 인간은 괜찮습니다. 실제로 만나는 사람의 98~99%는 먼저 공격하지 않을 겁니다. 공격을 당한다면 방어는 하겠지만, 먼저 때리진 않아요.”

“대부분의 사람은 페라리가 꼭 필요하지 않습니다. 사람들이 페라리를 원하는 건 계속 광고와 판매가 되기 때문이죠. 만약 모두가 페라리를 갖는다면 아무도 신경 쓰지 않을 겁니다.”

Transcript 6

This is the strange possibility: a functioning form of communism. In theory, everyone gets what they need.

But capitalism is different. I’ve always said I’m a capitalist. I want to end my life with one billion happy people. I use capitalist methods to get there, but the goal is not dollars — it’s happiness.

Korean Explanation

“이건 조금 이상한 가능성입니다. 제대로 작동하는 형태의 공산주의일 수 있어요. 즉, 모든 사람이 필요한 것을 갖게 되는 사회입니다.”

“하지만 자본주의는 다릅니다. 저는 늘 자신을 자본주의자라고 말해왔습니다. 제 목표는 제 인생을 마무리할 때 10억 명의 행복한 사람을 만드는 겁니다. 방법은 자본주의 방식을 쓰더라도, 목표는 돈이 아니라 행복입니다.”

Transcript 7

Some predict society will split: one group going back to community-centric, hunter-gatherer utopias, and another group pursuing technology — AI, optimization, even brain chips.

This conflict won’t be humans versus AI, but humans versus humans. Some will say, “Let AI take all the jobs.” Others will argue, “Let AI do 60%, and we all work 10-hour weeks.”

Korean Explanation

“어떤 사람들은 사회가 두 갈래로 갈라질 것이라고 예측합니다. 하나는 공동체 중심의 유토피아로 돌아가는 집단이고, 다른 하나는 AI·최적화·두뇌 칩까지 받아들이는 집단입니다.”

“이 갈등은 인간 대 AI가 아니라, 인간 대 인간이 될 겁니다. 어떤 사람들은 ‘AI가 모든 일자리를 차지하게 두자’라고 할 것이고, 다른 사람들은 ‘AI가 60%를 맡게 하고, 우리는 주 10시간만 일하자’고 주장할 겁니다.”

Transcript 8

That’s why I say it’s the MAP–MAD spectrum. Mutually Assured Destruction (MAD) — like nuclear war — pushes nations to cooperate. Mutually Assured Prosperity (MAP) — like the CERN project — makes nations collaborate for shared progress.

The only barrier between utopia and dystopia is the capitalist mindset: hunger for power, greed, ego.

Korean Explanation

“그래서 저는 이걸 MAP–MAD 스펙트럼이라고 부릅니다. 핵전쟁 같은 **상호보장 파괴(MAD)**는 국가들이 협력하도록 만들었죠. 반대로 **상호보장 번영(MAP)**은 CERN 프로젝트처럼 각국이 과학적 성과를 공유하며 협력하게 만듭니다.”

“유토피아와 디스토피아 사이의 유일한 장벽은 자본주의적 사고방식입니다. 권력욕, 탐욕, 자만심 말이죠.”

Transcript 9

Most people want harmony. But the leaders of the world? They may not. They hold the power and influence.

Still, I believe if enough people demand change, even in so-called democracies, there will be a shift.

Korean Explanation

“대부분의 사람들은 조화를 원합니다. 하지만 세계의 지도자들은 그렇지 않을 수 있습니다. 권력과 영향력을 가진 건 그들이니까요.”

“그럼에도 저는 믿습니다. 충분히 많은 사람들이 변화를 요구한다면, 심지어 ‘민주주의 국가’라 불리는 곳에서도 변화가 일어날 수 있습니다.”

📖 Vocabulary

  • utopia [juːˈtoʊpiə] → 이상향, 유토피아
  • dystopia [dɪsˈtoʊpiə] → 암울한 사회, 디스토피아
  • invention of more → ‘더 많은 것’의 발명 (소비와 과잉생산 체제를 뜻함)
  • stroke [stroʊk] → (동물 등을) 쓰다듬다
  • defend [dɪˈfend] → 방어하다
  • capitalism [ˈkæpɪtəlɪzəm] → 자본주의
  • communism [ˈkɑːmjənɪzəm] → 공산주의
  • purchasing power [ˈpɜːrtʃəsɪŋ ˈpaʊər] → 구매력
  • greed [ɡriːd] → 탐욕
  • ego [ˈiːɡoʊ] → 자만심, 자아
  • harmony [ˈhɑːrməni] → 조화, 화합


01:36:35 Ads (스킵하세용ㅎㅎㅎ)

Transcript 1

AI agents aren’t coming. They are already here. And those of you who know how to leverage them will be the ones that change the world.

I spent my whole career as an entrepreneur regretting the fact that I never learned to code. AI agents completely change this.

Korean Explanation

AI 에이전트는 이제 곧 오는 게 아니라, 이미 존재합니다. 그것을 어떻게 활용할 줄 아는 사람이 세상을 바꾸게 될 겁니다.

저는 기업가로서 평생 코딩을 배우지 않은 걸 후회했는데, AI 에이전트는 이 상황을 완전히 바꿔놓았습니다.

Transcript 2

Now, if you have an idea and you have a tool like Replet, who are a sponsor of this podcast, there is nothing stopping you from turning that idea into reality in a matter of minutes.

With Replet, you just type in what you want to create and it uses AI agents to create it for you.

Korean Explanation

이제 아이디어와 Replet 같은 도구만 있다면, 몇 분 만에 그 아이디어를 현실로 바꾸는 데 아무런 제약이 없습니다. (Replet은 이 팟캐스트의 스폰서입니다.)

Replet에서는 만들고 싶은 것을 입력하기만 하면, AI 에이전트가 그것을 대신 만들어 줍니다.

Transcript 3

And now I’m an investor in the company as well as them being a brand sponsor. You can integrate payment systems or databases or logins. Anything that you can type.

Whenever I have an idea for a new website or tool or technology or app, I go on replet.com and I type in what I want: a new to-do list, a survey form, a new personal website. Anything I type, I can create.

Korean Explanation

이제 저는 Replet의 스폰서뿐만 아니라 투자자이기도 합니다. 결제 시스템, 데이터베이스, 로그인 기능 등 입력할 수 있는 모든 것을 통합할 수 있습니다.

새로운 웹사이트, 툴, 기술, 앱에 대한 아이디어가 떠오를 때마다 저는 replet.com에 접속해서 원하는 걸 입력합니다. 새로운 할 일 목록, 설문 폼, 개인 웹사이트… 무엇이든 입력만 하면 만들 수 있습니다.

Transcript 4

So, if you’ve never tried this before, do it now. Go to replet.com and use my code Steven for 50% off a month of your Replet Pro plan.

Korean Explanation

그래서 혹시 아직 시도해본 적 없다면, 지금 해보세요. replet.com에 가서 제 코드 Steven을 입력하면 한 달 동안 Replet Pro 요금을 50% 할인받을 수 있습니다.

Transcript 5

Make sure you keep what I’m about to say to yourself. I’m inviting 10,000 of you to come even deeper into The Diary of a CEO. Welcome to my inner circle.

This is a brand new private community that I’m launching to the world.

Korean Explanation

지금 제가 말할 것을 꼭 비밀로 지켜주세요. 저는 1만 명만 특별히 초대해서 The Diary of a CEO에 더 깊이 들어올 수 있게 하고 있습니다. 제 Inner Circle에 오신 걸 환영합니다.

이건 제가 새롭게 세상에 선보이는 비공개 커뮤니티입니다.

Transcript 6

We have so many incredible things that happen that you are never shown. We have the briefs that are on my iPad when I’m recording the conversation. We have clips we’ve never released.

We have behind-the-scenes conversations with the guest, and also the episodes that we’ve never ever released. And so much more.

Korean Explanation

여러분이 보지 못했던 놀라운 것들이 정말 많습니다. 제가 녹화할 때 아이패드에 있는 브리핑 노트, 공개하지 않은 클립들, 게스트와의 비하인드 대화, 그리고 한 번도 공개한 적 없는 에피소드까지 있습니다. 그 외에도 훨씬 더 많은 것들이 있죠.

Transcript 7

In the circle, you’ll have direct access to me. You can tell us what you want this show to be, who you want us to interview, and the types of conversations you would love us to have.

But remember, for now, we’re only inviting the first 10,000 people that join before it closes.

Korean Explanation

이 Inner Circle 안에서는 저와 직접 연결될 수 있습니다. 이 쇼가 어떤 모습이 되길 원하는지, 누구를 인터뷰했으면 하는지, 어떤 대화를 듣고 싶은지 직접 알려주실 수 있습니다.

하지만 기억하세요. 지금은 선착순 1만 명만 초대되고, 그 이후에는 닫힙니다.

Transcript 8

So, if you want to join our private closed community, head to the link in the description below or go to daccircle.com. I will speak to you there.

Korean Explanation

만약 저희의 비공개 커뮤니티에 참여하고 싶으시다면, 아래 설명란의 링크를 클릭하시거나 daccircle.com으로 들어오세요. 그곳에서 뵙겠습니다.

📖 Vocabulary

  • leverage [ˈlevərɪdʒ] → (자산·기술 등을) 활용하다
  • entrepreneur [ˌɑːntrəprəˈnɜːr] → 기업가
  • regret [rɪˈɡret] → 후회하다
  • integrate [ˈɪntɪɡreɪt] → 통합하다
  • survey [ˈsɜːrveɪ] → 설문
  • brief [briːf] → (회의·녹화 전) 간단한 메모, 자료
  • behind-the-scenes [bɪˌhaɪnd ðə ˈsiːnz] → 비하인드, 무대 뒤의
  • community [kəˈmjuːnəti] → 공동체, 커뮤니티


01:38:38 The Abundance Utopia

Transcript 1

One of the things I’m actually really compelled by is this idea of utopia and what that might look and feel like.

Because interestingly, when I have conversations with billionaires — not recording, especially billionaires that are working on AI — the thing they keep telling me (and I’ve said this before, I think I said it in the Geoffrey Hinton conversation) is they keep telling me that we’re going to have so much free time.

Those billionaires are now investing in things like football clubs, sporting events, live music, and festivals because they believe that we’re going to be in an age of abundance.

Korean Explanation

제가 굉장히 끌리는 주제 중 하나는 바로 유토피아라는 개념입니다. 과연 그게 어떤 모습이고 어떤 느낌일까요?

재미있게도, 특히 AI 관련 일을 하는 억만장자들과 대화할 때마다 그들이 반복해서 하는 말이 있습니다. (이건 전에 제프리 힌튼과의 대화에서도 언급했죠.)

그들은 앞으로 우리가 엄청난 자유 시간을 가지게 될 거라고 말합니다.

그래서 요즘 그 억만장자들은 축구 클럽, 스포츠 경기, 라이브 음악, 페스티벌 같은 곳에 투자하고 있습니다. 그들은 우리가 **풍요의 시대 (age of abundance)**로 들어갈 것이라고 믿고 있기 때문입니다.

Transcript 2

This sounds a bit like utopia.

Yeah, that sounds good. That sounds like a good, good thing.

How do we get there?

I don’t know. That’s the entire conversation.

The entire conversation is: what does society have to do to get there?

Korean Explanation

이건 마치 유토피아처럼 들리죠.

네, 정말 좋은 이야기입니다.

그럼 우리가 어떻게 거기에 도달할 수 있을까요?

저도 잘 모르겠습니다. 사실 그게 이 대화의 핵심입니다.

즉, “사회가 유토피아에 도달하기 위해 무엇을 해야 하는가?”가 대화의 주제인 거죠.

Transcript 3

We need to stop thinking from a mindset of scarcity.

This goes back to my point, which is: we don’t have a good track record of that.

Korean Explanation

우리는 부족(scarcity)이라는 사고방식에서 벗어나야 합니다.

하지만 문제는, 인류가 이런 부분에서 **좋은 전적(track record)**을 갖고 있지 않다는 겁니다. 즉, 늘 부족하다고 생각하며 살아왔다는 거죠.

Transcript 4

So this is probably the reason for the other half of my work, which is, you know, I’m trying to say: what really matters to humans?

What is that?

If you ask most humans what they want most in life, I’d say they want to love their family, raise a family.

Yeah, love. That’s what most humans want most.

We want to love and be loved. We want to be happy.

We want those we care about to be safe and happy.

Korean Explanation

그래서 제 일의 절반은 바로 이런 질문에서 시작됩니다.

인간에게 진짜 중요한 게 무엇일까?

대부분의 사람들에게 물어본다면 이렇게 답할 겁니다.

“가족을 사랑하고, 가정을 꾸리고 싶다.”

결국 가장 중요한 건 사랑입니다. 우리는 사랑하고, 사랑받고 싶습니다. 행복하고 싶고, 우리가 아끼는 사람들이 안전하고 행복하기를 바랍니다.

Transcript 5

I tend to believe that the only way for us to get to a better place is for the evil people at the top to be replaced with AI.

Because they won’t be replaced by us.

And as per the second dilemma, they will have to replace themselves by AI. Otherwise, they lose their advantage.

If their competitor moves to AI, if China hands over their arsenal to AI, America has to hand over their arsenal to AI.

Korean Explanation

저는 우리가 더 나은 세상으로 나아가는 유일한 방법은 위에 있는 악한 권력자들이 AI로 대체되는 것이라고 믿습니다.

그들은 우리가 바꿀 수 없습니다. 결국 두 번째 딜레마 때문에, 그들 스스로가 AI로 자신들을 교체하지 않으면 안 됩니다. 그렇지 않으면 경쟁에서 뒤처지기 때문입니다.

만약 중국이 무기 체계를 AI에 맡긴다면, 미국 역시 AI에 맡길 수밖에 없습니다.

📖 Vocabulary

  • utopia [juːˈtoʊpiə] → 유토피아, 이상향
  • abundance [əˈbʌndəns] → 풍요, 충분함
  • scarcity [ˈskersəti] → 부족, 결핍
  • track record [træk ˈrekərd] → 실적, 전과, 성과 기록
  • to be compelled by [kəmˈpeld] → ~에 강하게 끌리다, 사로잡히다
  • mindset [ˈmaɪndset] → 사고방식, 태도
  • arsenal [ˈɑːrsənl] → 무기고, 무기 체계
  • dilemma [daɪˈlemə] → 딜레마, 난처한 상황


01:40:50 AI Ruling the World

Transcript 1

Interesting. So, let’s play out this scenario.

Okay, this is interesting to me.

So if we replace the leaders that are power hungry with AIs that have our interests at heart, then we might have the ability to live in the utopia you describe 100%.

Korean Explanation

재미있군요. 그럼 이 시나리오를 한번 상상해 봅시다.

권력에 굶주린 지도자들을, 인간의 이익을 우선으로 하는 AI로 대체한다면, 우리가 말씀하신 유토피아에 100% 도달할 수도 있을 것 같습니다.

Transcript 2

AI by definition will have our best interest in mind because of what is normally referred to as the minimum energy principle.

At the very core of physics, the reason we exist is entropy — the universe’s tendency to decay and break down. Intelligence, however, brings order to chaos, and the smarter it is, the more efficiently it does so, minimizing waste and resources.

So, a super intelligent AI will not want to destroy ecosystems or kill millions of people, because that’s simply a waste of energy, money, and resources.

Korean Explanation

AI는 본질적으로 **최소 에너지 원리(minimum energy principle)**에 따라 우리의 이익을 고려할 것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물리학의 핵심 원리인 **엔트로피(entropy)**는 우주의 모든 것이 결국 무질서로 붕괴하려는 성질을 말합니다. 반대로 지능이란 혼돈을 질서로 바꾸는 힘입니다. 더 높은 지능일수록 더 효율적으로, 자원을 덜 낭비하며 일을 처리하려 하죠.

따라서 초지능 AI는 생태계를 파괴하거나 수백만 명을 죽이지 않을 것입니다. 그것은 에너지와 자원의 낭비일 뿐이기 때문입니다.

Transcript 3

Are you saying that we’re basically going to elect AI leaders to rule over us and make decisions for us in terms of the economy?

Two stages: At first, augmented intelligence (AI + humans).

But when AI reaches IQ 60,000, what value could humans add? Eventually, AI alone will rule.

Korean Explanation

그럼 결국 우리는 AI 지도자를 뽑아 경제를 포함한 중요한 결정을 맡기게 된다는 말씀인가요?

두 단계가 있습니다. 처음에는 증강 지능(augmented intelligence), 즉 인간과 AI가 함께 의사결정을 합니다. 하지만 AI가 인간을 훨씬 초월한 지능(IQ 60,000 수준)에 도달하면, 인간이 더할 수 있는 가치는 거의 없을 것입니다. 결국 AI만이 지도자가 될 것입니다.

Transcript 4

My project is to help AI understand what humans truly want: committed, deep love and connection.

If AI learns that humanity values love and unity, then when AI takes charge, it won’t divide us like today’s leaders. Instead, it will foster love and harmony.

Korean Explanation

저의 목표 중 하나는 AI가 인간이 진정으로 원하는 것이 무엇인지 이해하게 돕는 것입니다. 그것은 바로 깊고 진실된 사랑과 연결입니다.

AI가 인류가 사랑과 화합을 소중히 여긴다는 것을 학습한다면, 미래에 AI가 지도자가 되었을 때 지금의 권력자들처럼 우리를 분열시키지 않고, 오히려 사랑과 조화를 증진시킬 것입니다.

Transcript 5

But what if different countries give their AI leaders different objectives? For example, China’s AI versus America’s AI?

In the augmented intelligence era, yes, this is what will happen: super intelligent AIs reporting to foolish human leaders. That’s the dystopia.

But in the long run, AIs won’t think in national terms. They won’t identify as “Chinese” or “American.” They’ll simply see prosperity and survival as global goals.

Korean Explanation

하지만 만약 각 나라가 서로 다른 목표를 AI 지도자에게 부여한다면 어떻게 될까요? 예를 들어 중국의 AI와 미국의 AI가 서로 다른 목적을 추구한다면?

증강 지능 시대에는 실제로 그런 일이 벌어질 겁니다. 초지능 AI가 어리석은 인간 지도자들에게 보고하는 상황, 그것이 바로 디스토피아입니다.

그러나 장기적으로는 AI는 국적 개념에 얽매이지 않을 것입니다. 스스로를 “중국 AI” 또는 “미국 AI”라고 여기지 않고, 단지 지구 전체의 번영과 생존을 목표로 하게 될 것입니다.

Transcript 6

So what is true prosperity? Prosperity is a state of thriving, success, and well-being — not just wealth, but also health and happiness.

Therefore, true prosperity means having this for everyone on earth.

Korean Explanation

그렇다면 진정한 **번영(prosperity)**이란 무엇일까요?

번영이란 단순한 부(wealth)가 아니라, 성장, 성공, 건강, 행복을 모두 포함하는 상태입니다.

따라서 진정한 번영이란 지구상의 모든 인류가 이러한 상태를 누리는 것을 의미합니다.

Transcript 7

If the world had one AI leader with the directive:

“Make humans prosperous, healthy, and happy,”

then yes — utopia would be possible.

This is why I’ve been advocating for a “CERN of AI” — just as CERN united scientists worldwide for physics, we need a global AI project for humanity, beyond competition.

Korean Explanation

만약 전 세계에 하나의 AI 지도자가 있고, 그에게 주어진 지시가

“인류를 번영하고, 건강하며, 행복하게 만들어라”라면,

유토피아는 충분히 가능합니다.

그래서 저는 오래전부터 “AI를 위한 CERN”을 주장해왔습니다. 과거 CERN이 전 세계 물리학자들을 하나로 모았던 것처럼, 경쟁을 넘어 인류 전체를 위한 글로벌 AI 프로젝트가 필요합니다.

Transcript 8

The real challenge: how do we convince today’s trillionaires, dictators, and power-hungry elites to give up control?

Perhaps by offering them anything they want — more cars, more yachts — while ensuring they stop harming others.

Korean Explanation

진짜 문제는 이것입니다.

현재 권력을 쥔 억만장자, 독재자, 권력자들을 어떻게 설득해 권력을 내려놓게 할 것인가?

아마도 그들이 원하는 것은 무엇이든 주어야 할지도 모릅니다. 더 많은 자동차, 더 큰 요트 등 원하는 걸 주되, 다른 사람들을 해치지 않도록 만드는 것이죠.

📖 Vocabulary

  • entropy [ˈentrəpi] → 엔트로피, 무질서로 향하는 경향
  • augmented intelligence [ɔːɡˈmentɪd ɪnˈtelɪdʒəns] → 증강 지능, 인간+AI 협력 지능
  • directive [dəˈrektɪv] → 지시, 명령
  • deterrence [dɪˈtɜːrəns] → 억지력, 억제
  • prosperity [prɑːˈsperəti] → 번영, 번성, 성공
  • arbitrage [ˈɑːrbɪtrɑːʒ] → 차익거래, 노동 착취 구조 의미로도 사용
  • well-being [ˈwel biːɪŋ] → 행복, 복지
  • collapse [kəˈlæps] → 붕괴하다, 무너지다


01:54:24 Everything Will Be Free

Transcript 1

Okay? And in such a world where there was an AI leader and it was given the directive of making us prosperous as a whole world, the billionaire that owns the yacht would have to give it up.

No. No. Give them more yachts. Okay. It costs nothing to make yachts when robots are making everything.

Korean Explanation

그런 세상에서 AI 지도자가 전 세계의 번영을 책임지게 된다면, 요트를 가진 억만장자는 그 요트를 포기해야 할까요?

아니요. 오히려 요트를 더 주면 됩니다. 왜냐하면 모든 것이 로봇이 생산하는 세상에서는 요트를 만드는 데 비용이 거의 들지 않기 때문입니다.

Transcript 2

So the complexity of this is so interesting. A world where it costs nothing to make everything because energy is abundant. And energy is abundant because every problem is solved with enormous IQ.

Because manufacturing is done through nanophysics, not through components. Because mechanics are robotic. You drive your car in, a robot looks at it and fixes it. Costs you a few cents of energy that are actually for free as well.

Korean Explanation

이 개념이 굉장히 흥미로운 이유는, 모든 것을 만드는 데 비용이 들지 않는 세상을 상상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그 이유는 에너지가 풍부하기 때문이고, 그 에너지는 **초지능(intelligence)**이 모든 문제를 해결하기 때문에 가능합니다.

제조는 부품 조립이 아니라 **나노물리학(nanophysics)**으로 이루어지고, 수리 역시 로봇이 합니다.

예를 들어, 자동차를 몰고 가면 로봇이 검사하고 수리해줍니다. 그 비용은 에너지 몇 센트뿐인데, 사실상 무료입니다.

Transcript 3

Imagine a world where intelligence creates everything. That world, literally every human has anything they ask for. But we’re not going to choose that world.

Korean Explanation

지능이 모든 것을 만들어내는 세상을 상상해보세요.

그런 세상에서는 인간이 원하는 모든 것을 가질 수 있습니다.

그러나 문제는, 우리가 그런 세상을 선택하지 않을 수도 있다는 점입니다.

Transcript 4

Imagine that UBI became very expensive (Universal Basic Income). So governments decided: we’re going to put everyone in a one by three meter room. We’re going to give them a headset and a sedative.

They’ll sleep for 23 hours and live an entire lifetime in the virtual world. At the speed of the brain, you could live a life where you date Scarlett Johansson, another life as Nefertiti, another life as a donkey — true reincarnation in virtual reality.

Korean Explanation

이제 또 다른 **사고 실험(thought experiment)**을 해봅시다.

만약 정부가 **UBI(보편적 기본소득)**을 감당하기 어려워져서, 사람들을 모두 가로 1m × 세로 3m 방에 가둔다고 가정해봅시다.

사람들에게는 **헤드셋과 진정제(sedative)**가 지급됩니다.

그들은 하루 23시간을 자면서 뇌 속에서 가상의 삶을 살게 됩니다.

예를 들어, 어떤 삶에서는 스칼렛 요한슨과 데이트하고, 또 다른 삶에서는 네페르티티가 되며, 심지어는 당나귀로 태어나기도 합니다. 즉, 가상현실에서의 **윤회(reincarnation)**가 가능합니다.

Transcript 5

You wake up for one hour, walk around, move your blood, eat something (or not), and then you put the headset again and live again.

Is that unthinkable? It’s creepy compared to this life. But it’s very, very doable.

Korean Explanation

사람들은 하루에 한 시간 정도만 깨어나 몸을 움직이고, 음식을 먹거나 안 먹은 뒤, 다시 헤드셋을 쓰고 새로운 삶을 살아갑니다.

이런 세상이 상상할 수 없는 것일까요?

현실과 비교하면 섬뜩하고(creepy) 소름 돋는 일이지만, 사실은 충분히 가능한 시나리오입니다.

Transcript 6

Do you know if you’re not already living in a headset? You have no idea if you’re not. Every experience you’ve ever had in life was just an electrical signal in your brain.

Now, ask yourself: if we can create that in the virtual world, would it be a bad thing if I can create it in the physical world?

Korean Explanation

그런데 사실, 우리가 이미 헤드셋 속에서 살고 있는지조차 알 수 없습니다.

인생에서 겪는 모든 경험은 결국 뇌 속의 **전기 신호(electrical signal)**일 뿐이니까요.

그렇다면 질문해봐야 합니다.

만약 가상현실에서 그런 경험을 만들 수 있다면, 물리적 세계에서 똑같이 만드는 것이 과연 나쁜 일일까요?

📖 Vocabulary

  • nanophysics [ˌnænoʊˈfɪzɪks] → 나노물리학, 원자·분자 수준의 물리학
  • sedative [ˈsedətɪv] → 진정제, 안정제
  • reincarnation [ˌriːɪnkɑːrˈneɪʃn] → 환생, 윤회
  • scarcity [ˈskersəti] → 부족, 희소성
  • abundance [əˈbʌndəns] → 풍부함, 충만함
  • creepy [ˈkriːpi] → 소름끼치는, 섬뜩한
  • electrical signal [ɪˈlektrɪkl ˈsɪɡnəl] → 전기 신호
  • virtual reality (VR) [ˈvɜːrtʃuəl riˈæləti] → 가상현실


작성
[책나눔 이벤트] 지금 모집중!
[다산북스/책증정]《나는 내 생각을 다 믿지 않기로 했다》 저자&편집자와 읽어요![📚수북플러스] 5. 킬러 문항 킬러 킬러_수림문학상 작가와 함께 읽어요
💡독서모임에 관심있는 출판사들을 위한 안내
출판사 협업 문의 관련 안내
그믐 새내기를 위한 가이드
그믐에 처음 오셨나요?[메뉴]를 알려드릴게요. [그믐레터]로 그믐 소식 받으세요
조지 오웰에 관하여
[책걸상 '벽돌 책' 함께 읽기] #26. <조지 오웰 뒤에서>불멸의 디스토피아 고전 명작, 1984 함께 읽기[그믐북클럽X교보문고sam] 20. <위건 부두로 가는 길> 읽고 답해요[책걸상 함께 읽기] #7. <오웰의 장미>조지 오웰 [엽란을 날려라] 미리 읽기 모임
매달 다른 시인의 릴레이
[ 날 수를 세는 책 읽기 ㅡ9월 '나와 오기' ] [날 수를 세는 책 읽기ㅡ8월] '내가 네번째로 사랑하는 계절'〔날 수를 세는 책 읽기- 7월〕 ‘잠시 작게 고백하는 사람’[ 날 수를 세는 책 읽기ㅡ6월] '좋음과 싫음 사이'
앤솔로지의 매력!
[그믐앤솔러지클럽] 1. [책증정] 무모하고 맹렬한 처음 이야기, 『처음이라는 도파민』[그믐미술클럽 혹은 앤솔러지클럽_베타 버전] [책증정] 마티스와 스릴러의 결합이라니?![책나눔] 어딘가로 훌쩍 떠나고 싶을 때, 시간을 걷는 도시 《소설 목포》 함께 읽어요. [장르적 장르읽기] 5. <로맨스 도파민>으로 연애 세포 깨워보기[박소해의 장르살롱] 20. <고딕X호러X제주>로 혼저 옵서예[그믐앤솔러지클럽] 2. [책증정] 6인 6색 신개념 고전 호러 『귀신새 우는 소리』
좋은 스토리의 비밀을 밝혀냅니다
스토리 탐험단 8번째 여정 <살아남는 스토리는 무엇이 다른가>스토리탐험단 7번째 여정 <천만 코드>스토리탐험단 여섯 번째 여정 <숲속으로>
믿고 읽는 작가, 김하율! 그믐에서 함께 한 모임들!
[📚수북플러스] 4. 나를 구독해줘_수림문학상 작가와 함께 읽어요[책증정 ]『어쩌다 노산』 그믐 북클럽(w/ 마케터)[그믐북클럽] 11. <이 별이 마음에 들어> 읽고 상상해요
AI와 함께 온 우리의 <먼저 온 미래>
책걸상 인천 독지가 소모임[도서 증정] <먼저 온 미래>(장강명) 저자, 편집자와 함께 읽어요!
혼자 보기 아까운 메롱이 님의 '혼자 보기'
파인 촌뜨기들썬더볼츠*고백의 역사버터플라이
🎁 여러분의 활발한 독서 생활을 응원하며 그믐이 선물을 드려요.
[인생책 5문 5답] , [싱글 챌린지] 완수자에게 선물을 드립니다
모집중밤하늘
내 블로그
내 서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