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메뉴

AI시대의 다가올 15년, 우리는 어떻게 살아남을 것인가? 01:57:17 - 02:34:11

by 수서동주민2025-09-14 00:41:36
Preview

01:57:17 Do We Live in a Virtual Headset?

Chapter 1. Simulation Hypothesis (시뮬레이션 가설)

Transcript

Maybe we already did. No, my theory is 98% we have. But that's a hypothesis. That's not science. Well, you think that 100? Yeah. You think we already created that and this is it? I think this is it. Yeah.

Korean Explanation

“아마 이미 우리가 그것(시뮬레이션)을 만들었을지도 모른다.”

“내 이론으로는 98% 확실하다. 하지만 그건 어디까지나 가설일 뿐이고, 과학적 증거는 아니다.”

“너는 확신해? 100%라고 생각해?”

“그래. 우리는 이미 그걸 만들어냈고, 지금 이 세계가 바로 그것이라고 생각한다.”

Vocabulary

  • hypothesis [haɪˈpɑːθəsɪs] → 가설
  • theory [ˈθɪəri] → 이론
  • science [ˈsaɪəns] → 과학


Chapter 2. Quantum Physics & Video Games (양자물리학과 비디오게임)

Transcript

Think of the uncertainty principle of quantum physics, right? What you observe collapses the wave function and gets rendered into reality. Correct.

I don't know anything about physics.

So quantum physics basically tells you that everything exists in superposition. Every subatomic particle that ever existed has the chance to exist anywhere at any point in time. And then when it's observed by an observer, it collapses and becomes that.

It’s a very interesting principle, exactly how video games are. In video games, you have the entire game world on the hard drive of your console. The player turns right. That part of the game world is rendered. The rest is in superposition—meaning it’s available to be rendered, but you have to observe it. The player has to turn to the other side and see it.

Korean Explanation

양자물리학의 불확정성 원리를 생각해 보세요. 우리가 관측하는 순간, 파동함수가 붕괴되어 현실로 나타납니다.

즉, 모든 아원자 입자는 언제 어디서든 존재할 수 있는 중첩(superposition) 상태에 있다가, 관측자가 보는 순간 특정한 모습으로 확정됩니다.

이 원리는 비디오게임과 비슷합니다. 게임 전체 맵은 하드디스크에 있지만, 플레이어가 오른쪽으로 돌면 그 부분만 화면에 렌더링되고, 나머지는 보이지 않는 상태로 남아 있습니다.

Vocabulary

  • uncertainty principle [ʌnˈsɜːrtnti ˈprɪnsəpl] → 불확정성 원리
  • wave function [weɪv ˈfʌŋkʃn] → 파동함수
  • superposition [ˌsuːpərpəˈzɪʃn] → 중첩 상태
  • subatomic particle [ˌsʌbəˈtɑːmɪk ˈpɑːrtɪkl] → 아원자 입자
  • render [ˈrendər] → (컴퓨터 그래픽으로) 그리다, 렌더링하다

Chapter 3. Reality as Signals (현실은 뇌 속의 신호)

Transcript

Think about the truth of physics. This world is entirely empty space. These are tiny, tiny, tiny particles, almost nothing in terms of mass, but connected with enough energy so that my finger cannot go through my hand.

But even when I hit my hand against my finger, that sensation is felt in my brain. It's an electrical signal that went through the wires. There's absolutely no way to differentiate that from a signal that could come through a neural link or computer-brain interface.

So most of the world is not physical. Most of the world happens inside our imagination, our processors. And I guess it doesn’t really matter to us, because even if this is a video game, we still live with consequences. I don't like pain, and I like having pleasure. That’s playing by the rules of the game.

Korean Explanation

물리학의 진실은 세상이 사실상 거의 빈 공간이라는 것입니다.

입자는 극도로 작고 질량은 거의 없지만, 에너지로 묶여 있어서 손가락이 손을 뚫고 지나가지 못합니다.

손가락을 부딪칠 때 느끼는 감각은 뇌에서 전기 신호로 처리됩니다. 이는 뇌-컴퓨터 인터페이스(뉴럴링크) 신호와 구분하기 어렵습니다.

즉, 세계의 대부분은 물질적인 것이 아니라 우리의 상상뇌의 처리 과정 속에서 일어납니다.

하지만 그렇다고 해서 무의미하지는 않습니다. 설령 이 세상이 비디오게임이라도 우리는 여전히 결과를 경험합니다. 아픔은 싫고, 즐거움은 좋으니까요.

Vocabulary

  • empty space [ˈempti speɪs] → 빈 공간
  • mass [mæs] → 질량
  • electrical signal [ɪˈlektrɪkl ˈsɪɡnəl] → 전기 신호
  • neural link [ˈnjʊərəl lɪŋk] → 뉴럴링크, 뇌-컴퓨터 연결
  • imagination [ɪˌmædʒɪˈneɪʃn] → 상상
  • consequence [ˈkɑːnsɪkwens] → 결과

Chapter 4. Consciousness vs. Avatar (의식 vs. 아바타)

Transcript

And it’s quite interesting and going back to a conversation we should have. It’s the interesting bit is if I’m not the avatar, if I’m not this physical form, if I’m the consciousness wearing the headset, what should I invest in? Should I invest in this video game, this level, or should I invest in the real avatar, in the real me—not the avatar, but the consciousness, if you want, spirit, if you’re religious?

How would I invest in the consciousness or the god or the spirit or whatever? How would I? In the same way that if I was playing Grand Theft Auto, the video game, the character in the game couldn’t invest in me holding the controller.

Yes, but you can invest in yourself holding the controller.

Oh, okay. So, you’re saying that Mo Ga is in fact consciousness. And so, how would consciousness invest in itself? By becoming more aware.

Korean Explanation

만약 내가 단순히 아바타(몸)가 아니라, 헤드셋을 쓰고 있는 의식이라면 어디에 투자해야 할까요?

게임 속 캐릭터에 투자해야 할까요, 아니면 **진짜 나(의식, 혹은 영혼)**에 투자해야 할까요?

비유하자면, 게임 캐릭터는 컨트롤러를 잡고 있는 플레이어에게 투자할 수 없습니다.

하지만 의식은 스스로를 성장시켜 더 **깨어있는 존재(aware)**가 될 수 있습니다.

결국 중요한 것은, 의식이 스스로를 발전시키는 것입니다.

Vocabulary

  • avatar [ˈævətɑːr] → 아바타, 분신
  • consciousness [ˈkɑːnʃəsnəs] → 의식
  • headset [ˈhedset] → 헤드셋
  • spirit [ˈspɪrɪt] → 영혼
  • aware [əˈwer] → 깨어 있는, 인식하는

Chapter 5. Consciousness as the Gamer (게이머로서의 의식)

Transcript

And the same way, if consciousness is using this avatar in this level, in this game, and becomes a better consciousness, it’s not about making the avatar better. It’s about making the gamer a better gamer. So you invest in consciousness itself, not in the body.

And that’s a very interesting view because when you really think about it, the body is temporary. It’s just a character in the game. What continues is the player—the consciousness.

Korean Explanation

의식은 게임 속 아바타를 조종하는 게이머와 같습니다.

중요한 건 아바타(몸)를 더 강하게 만드는 게 아니라, 게이머(의식) 자체가 더 성장하는 것입니다.

몸은 일시적인 캐릭터일 뿐이고, 진짜로 이어지는 건 플레이어인 의식입니다.

Vocabulary

  • temporary [ˈtempəreri] → 일시적인
  • character [ˈkærɪktər] → 캐릭터, 인물
  • player [ˈpleɪər] → 플레이어
  • invest [ɪnˈvest] → 투자하다

Chapter 6. Consciousness Improving Itself (의식의 자기 성장)

Transcript

So how does consciousness invest in itself? By becoming more aware, more understanding, more connected to the truth of reality. It learns through experiences, through mistakes, through growth. Every time you make a choice, you either evolve or stay stagnant.

It’s not about the avatar’s possessions or achievements in the game. It’s about how much the consciousness learned, improved, and expanded during the play.

Korean Explanation

의식이 스스로에게 투자하는 방법은 더 깨어나고(aware), 더 이해하고, 더 진리에 가까워지는 것입니다.

의식은 경험, 실수, 성장 과정을 통해 발전합니다.

즉, 게임 속 아바타가 무엇을 소유했는가, 어떤 업적을 쌓았는가는 중요하지 않습니다.

중요한 건 의식이 그 과정을 통해 얼마나 배웠고, 성장했고, 확장했는가입니다.

Vocabulary

  • aware [əˈwer] → 인식하는, 깨어 있는
  • stagnant [ˈstæɡnənt] → 정체된
  • possession [pəˈzeʃn] → 소유물
  • achievement [əˈtʃiːvmənt] → 성취, 업적
  • evolve [ɪˈvɑːlv] → 진화하다, 발전하다

Chapter 7. The Simulation Analogy Extended (시뮬레이션 비유의 확장)

Transcript

Think about it this way: if we are in a simulation, then everything you experience is like part of a program. The pain you feel, the joy you have, the relationships you build — all are signals interpreted by consciousness.

And the purpose is not to win the game with your avatar. The purpose is to allow the consciousness playing the game to grow, to become wiser, to evolve.

Korean Explanation

만약 우리가 시뮬레이션 속에 살고 있다고 생각해 보세요.

우리가 느끼는 고통, 기쁨, 관계 같은 모든 경험은 사실상 프로그램의 일부이며, 의식이 그것을 해석하는 신호에 불과합니다.

따라서 중요한 것은 아바타(몸)로 게임에서 승리하는 것이 아니라, 게임을 하는 의식이 얼마나 성장하고, 지혜로워지고, 진화하느냐입니다.

Vocabulary

  • simulation [ˌsɪmjuˈleɪʃn] → 시뮬레이션
  • interpret [ɪnˈtɜːrprət] → 해석하다
  • evolve [ɪˈvɑːlv] → 진화하다
  • wise [waɪz] → 지혜로운

Chapter 8. Consequences Are Real (결과는 현실이다)

Transcript

Even if this is a simulation, the consequences are real to the consciousness. If you make a mistake, you feel pain. If you succeed, you feel joy. These signals shape who you are becoming.

So whether or not the world is “real” doesn’t matter much. What matters is the impact on your growth as consciousness.

Korean Explanation

설령 이 세상이 시뮬레이션이라 하더라도, 결과는 의식에게는 진짜입니다.

실수를 하면 고통을 느끼고, 성공하면 기쁨을 느낍니다.

이러한 신호들이 결국 내가 어떤 존재로 성장하는가를 결정합니다.

따라서 세상이 “진짜인지 아닌지”는 중요하지 않고, 중요한 것은 그것이 의식의 성장에 어떤 영향을 주는가입니다.

Vocabulary

  • consequence [ˈkɑːnsɪkwens] → 결과
  • succeed [səkˈsiːd] → 성공하다
  • impact [ˈɪmpækt] → 영향
  • growth [ɡroʊθ] → 성장

Chapter 9. Skills for the Future (미래에 필요한 능력)

Transcript

To thrive in a future shaped by AI, there are four essential skills:

First, AI literacy — understanding how AI works and how to work with it.

Second, real human connection — compassion, empathy, and the ability to love.

Third, relentless pursuit of truth — not believing slogans or manipulation, but seeking reality.

Fourth, strong ethics — so that AI can learn the best of humanity, not the worst.

Korean Explanation

AI가 주도하는 미래에서 성공하기 위해 필요한 네 가지 핵심 능력이 있습니다.

  1. AI 이해력 — AI가 어떻게 작동하는지 알고, AI와 함께 일할 수 있는 능력.
  2. 진정한 인간적 연결 — 연민, 공감, 사랑을 주고받는 능력.
  3. 끊임없는 진실 탐구 — 선동이나 거짓말에 휘둘리지 않고, 진실을 찾는 태도.
  4. 강한 윤리의식 — AI가 인류의 나쁜 면이 아니라 좋은 면을 배우도록 이끄는 것.

Vocabulary

  • literacy [ˈlɪtərəsi] → (특정 분야의) 이해력, 소양
  • compassion [kəmˈpæʃn] → 연민
  • empathy [ˈempəθi] → 공감
  • pursuit [pərˈsuːt] → 추구
  • ethics [ˈeθɪks] → 윤리

Chapter 10. Gentle Singularity (온화한 특이점)

Transcript

Sam Altman once described the idea of a “gentle singularity.”

By 2025 to 2027, AI will be capable of most advanced cognitive tasks, and robots will begin entering the real world.

By the 2030s, life will be fundamentally transformed. But even then, some human experiences — love, art, friendship — will remain unique and irreplaceable.

Korean Explanation

샘 알트만은 “온화한 특이점(gentle singularity)”이라는 개념을 이야기했습니다.

2025년에서 2027년 사이에 AI는 대부분의 고도의 인지적 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되고, 로봇이 실제 세상에 본격적으로 등장할 것입니다.

2030년대가 되면 우리의 삶은 근본적으로 달라지겠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사랑, 예술, 우정 같은 인간 고유의 경험은 여전히 대체될 수 없습니다.

Vocabulary

  • singularity [ˌsɪŋɡjəˈlærəti] → 특이점
  • cognitive [ˈkɑːɡnətɪv] → 인지의
  • irreplaceable [ˌɪrɪˈpleɪsəbl] → 대체 불가능한

Chapter 11. Abundance and Zero Cost (풍요와 제로 비용)

Transcript

With AI and robotics, the cost of producing goods will fall close to zero. Energy harvesting too will approach zero cost.

This could make money itself obsolete. If anything can be made almost for free, then the foundation of capitalism collapses.

It could lead to the best world ever — where everyone has everything they need — or the worst, depending on how humanity manages it.

Korean Explanation

AI와 로봇이 본격적으로 활용되면 생산 비용은 거의 제로에 가까워집니다.

에너지 확보 비용도 제로에 수렴하게 됩니다.

그렇게 되면 돈 자체가 무의미해질 수 있습니다.

무엇이든 거의 무료로 만들어낼 수 있다면, 자본주의의 토대가 흔들리게 되기 때문입니다.

이는 인류가 어떻게 관리하느냐에 따라, 역사상 가장 좋은 세상이 될 수도, 최악의 세상이 될 수도 있습니다.

Vocabulary

  • obsolete [ˌɑːbsəˈliːt] → 더 이상 쓸모없는
  • collapse [kəˈlæps] → 붕괴하다
  • foundation [faʊnˈdeɪʃn] → 기반, 토대

Chapter 12. Lessons from History (역사로부터의 교훈)

Transcript

Every time humanity invented a powerful new technology, people feared dystopia.

The printing press, electricity, the internet — all caused fear at first. Yet, they also unlocked progress and prosperity.

The same is true for AI. It could magnify our flaws, but it could also elevate our strengths.

Korean Explanation

인류가 새로운 강력한 기술을 발명할 때마다 항상 디스토피아적 두려움이 따라왔습니다.

인쇄기, 전기, 인터넷 — 처음에는 모두 불안과 공포를 불러왔습니다. 하지만 동시에 진보와 번영을 열어주었습니다.

AI도 마찬가지입니다. 우리의 결점을 확대할 수도 있지만, 동시에 우리의 강점을 끌어올릴 수도 있습니다.

Vocabulary

  • printing press [ˈprɪntɪŋ pres] → 인쇄기
  • prosperity [prɑːˈsperəti] → 번영, 번성
  • flaw [flɔː] → 결점, 약점
  • elevate [ˈelɪveɪt] → 끌어올리다

Chapter 13. The Real Barrier (진짜 장벽)

Transcript

The only true barrier between utopia and dystopia is not technology. It is mindset.

If humanity continues with greed, ego, and hunger for power, we will face dystopia.

But if humanity shifts to compassion, cooperation, and wisdom, AI will help us reach utopia.

Korean Explanation

유토피아와 디스토피아를 가르는 진짜 장벽은 기술이 아닙니다.

탐욕, 자아, 권력욕이 계속된다면 우리는 디스토피아를 맞이하게 될 것입니다.

그러나 연민, 협력, 지혜로 방향을 바꾼다면, AI는 인류가 유토피아에 도달하도록 도울 것입니다.

Vocabulary

  • barrier [ˈbæriər] → 장벽, 장애물
  • compassion [kəmˈpæʃn] → 연민
  • cooperation [koʊˌɑːpəˈreɪʃn] → 협력
  • wisdom [ˈwɪzdəm] → 지혜


02:14:00 We Need Rules Around AI

Chapter 14. Sam Altman’s Blog & The Future of Policy (샘 알트만의 블로그와 미래 정책)

Transcript

Sam Altman wrote in his blog that the rate of technological progress will keep accelerating, and people can adapt to almost anything. Entire classes of jobs will disappear, but the world will become richer so quickly that we can try new policies we never could before. Gradual changes will add up to something big. History shows we’ll find new things to do and want, just like after the industrial revolution. People also have one unique advantage over AI: we are hardwired to care about other people. He ends by saying, “May we scale smoothly, exponentially, and uneventfully through super intelligence.”

Korean Explanation

샘 알트만은 블로그에서 이렇게 말했습니다. 기술 발전 속도는 계속 가속화될 것이며, 인간은 어떤 변화에도 적응할 수 있습니다. 직업의 큰 집단이 사라지더라도, 세상은 너무 빨리 부유해져서 이전에는 불가능했던 새로운 정책들을 시도할 수 있게 될 것이라고 했습니다. 변화는 점진적으로 일어나지만, 몇십 년 뒤 돌아보면 엄청난 결과를 만들어낼 것입니다. 산업혁명 이후처럼 사람들은 새로운 일을 찾고, 새로운 욕구를 갖게 되며, 새로운 도구를 빠르게 흡수할 것입니다. 그리고 그는 **“AI 초지능을 향해 부드럽고 평화롭게 나아가길 바란다”**라고 글을 마무리했습니다.

Vocabulary

  • accelerate [əkˈseləreɪt] → 가속하다
  • gradual [ˈɡrædʒuəl] → 점진적인
  • hardwired [ˈhɑːrdwaɪərd] → 타고난, 본능적인
  • uneventful [ˌʌnɪˈventfl] → 특별한 일 없는, 평온한

Chapter 15. Ideological Divide: U.S. vs. China (이념적 차이: 미국과 중국)

Transcript

The world will become richer, but how will we redistribute the riches? Imagine two camps: capitalist America and communist China. In America, 30% unemployment would cause social unrest. In China, if robots replaced all workers, the government might give citizens UBI. In China, citizen prosperity is prioritized. In America, capitalist prosperity is prioritized. This tiny difference in mindset changes everything.

Korean Explanation

세상은 부유해질 것이지만, 그 부를 어떻게 분배할 것인가가 문제입니다. 두 가지 진영을 상상해보라고 합니다. 하나는 자본주의 미국, 다른 하나는 공산주의 중국입니다. 미국에서는 실업률이 30%에 달하면 사회적 혼란이 발생할 것입니다. 하지만 중국은 모든 노동자가 로봇으로 대체되더라도 정부가 국민에게 **UBI(기본소득)**를 줄 수 있습니다. 중국은 국민의 번영을 우선시하지만, 미국은 자본가의 번영을 우선시합니다. 이 작은 차이가 세상을 완전히 다르게 만들 수 있습니다.

Vocabulary

  • redistribute [ˌriːdɪˈstrɪbjuːt] → 재분배하다
  • prosperity [prɑːˈsperəti] → 번영
  • unrest [ʌnˈrest] → 불안, 혼란
  • ideological [ˌaɪdiəˈlɑːdʒɪkl] → 이념적인

Chapter 16. What Can We Do? (우리가 할 수 있는 일)

Transcript

What should people do? From a skills perspective: learn tools, double down on human connection, seek truth, and live ethically. From a social perspective: pressure governments not to regulate AI design but regulate AI use. For example, just like we cannot ban designing a hammer but can criminalize killing with it, AI-generated content should be labeled clearly. And investors must avoid funding harmful AIs — like autonomous weapons or exploitative platforms.

Korean Explanation

그렇다면 개인은 무엇을 해야 할까요? 기술적 측면에서는 도구를 익히고, 인간적 연결을 강화하며, 진실을 추구하고, 윤리적으로 살아야 합니다. 사회적 측면에서는 정부에 압력을 넣어 AI 자체 설계를 규제하지 말고, AI 사용을 규제해야 합니다. 예를 들어, 망치를 못을 박는 용도로 설계하는 것은 막을 수 없지만, 사람을 죽이는 데 사용하면 범죄가 되듯이, AI가 만든 콘텐츠는 반드시 표시되어야 한다는 것입니다. 또 투자자들에게도 “당신의 딸이 소비자가 되어도 괜찮은 AI에만 투자하라”고 요구해야 합니다.

Vocabulary

  • criminalize [ˈkrɪmɪnəlaɪz] → 범죄로 규정하다
  • exploitative [ɪkˈsplɔɪtətɪv] → 착취적인
  • autonomous [ɔːˈtɑːnəməs] → 자율적인
  • label [ˈleɪbl] → 표시하다

Chapter 17. The Risk of Autonomous Weapons (자율 무기의 위험)

Transcript

Some argue autonomous weapons save lives because fewer soldiers die. But in reality, cheaper wars mean more wars. People are less angry about losing machines than about losing lives. Autonomous weapons could escalate conflicts without accountability.

Korean Explanation

일부 사람들은 자율 무기가 병사의 목숨을 줄일 수 있다고 주장합니다. 하지만 실제로는 전쟁 비용이 줄어들수록 전쟁은 더 많아집니다. 사람들은 병사가 죽으면 분노하지만, 기계가 파괴되면 훨씬 덜 분노합니다. 따라서 자율 무기는 책임 없는 더 많은 전쟁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Vocabulary

  • escalate [ˈeskəleɪt] → (갈등·전쟁을) 확대하다
  • accountability [əˌkaʊntəˈbɪləti] → 책임성
  • conflict [ˈkɑːnflɪkt] → 갈등, 분쟁

Chapter 18. A Simple Rule: Treat Others Well (단순한 진리: 남을 잘 대하라)

Transcript

The only truth is simple: treat others as you wish to be treated. Love and human connection are what people really want deep down. Not more yachts or power, but affection, family, and time together. If leaders saw humanity as one person, that person would want a hug, not another yacht.

Korean Explanation

결국 유일한 진리는 단순합니다. “남을 내가 대접받고 싶은 대로 대하라.”

사람들이 정말로 원하는 것은 요트나 권력이 아니라 사랑, 가족, 그리고 함께하는 시간입니다. 만약 인류 전체를 한 사람으로 본다면, 그 사람은 또 다른 요트가 아니라 포옹을 원할 것입니다.

Vocabulary

  • affection [əˈfekʃn] → 애정
  • yacht [jɑːt] → 요트
  • hug [hʌɡ] → 포옹


02:25:03 The Fruit Salad Religion

Chapter 19. Fruit Salad Religion (믹스 과일 샐러드 같은 종교관)

Transcript

"But you don't support a particular religion.

I support, I follow what I call the fruit salad. What's the fruit salad? You know, I came at a point in time and found that there were quite a few beautiful gold nuggets in every religion and a ton of crap, right? And so in my analogy to myself, that was like 30 years ago. I said, 'Look, it's like someone giving you a basket of apples, two good ones and four bad ones. Keep the good ones.' Right? And so basically, I take two apples, two oranges, two strawberries, two bananas, and I make a fruit salad. That's my view of religion. You take from every religion the good from everyone. And there are so many beautiful gold nuggets."

Korean Explanation

  • 특정 종교 하나를 따르는 건 아니라고 말합니다.
  • 대신 “Fruit Salad(과일 샐러드)”라고 부르는 방식으로 접근합니다.
  • 모든 종교에는 좋은 진리(금 같은 가르침)가 조금씩 있지만, 동시에 불필요하거나 왜곡된 부분(‘crap’)도 많다고 봅니다.
  • 그래서 30년 전부터 “사과 바구니에 좋은 것 2개, 나쁜 것 4개가 있으면 좋은 것만 취한다”는 비유를 떠올렸습니다.
  • 종교도 마찬가지로 각 종교에서 좋은 교훈만 취해 모아 샐러드를 만든다는 뜻입니다.

Vocabulary

  • nugget [ˈnʌɡɪt] → 작은 덩어리, 귀중한 것
  • crap [kræp] → (속어) 쓰레기 같은 것, 가치 없는 것
  • analogy [əˈnælədʒi] → 비유, 유추



작성
[책나눔 이벤트] 지금 모집중!
[다산북스/책증정]《나는 내 생각을 다 믿지 않기로 했다》 저자&편집자와 읽어요![📚수북플러스] 5. 킬러 문항 킬러 킬러_수림문학상 작가와 함께 읽어요
💡독서모임에 관심있는 출판사들을 위한 안내
출판사 협업 문의 관련 안내
그믐 새내기를 위한 가이드
그믐에 처음 오셨나요?[메뉴]를 알려드릴게요. [그믐레터]로 그믐 소식 받으세요
조지 오웰에 관하여
[책걸상 '벽돌 책' 함께 읽기] #26. <조지 오웰 뒤에서>불멸의 디스토피아 고전 명작, 1984 함께 읽기[그믐북클럽X교보문고sam] 20. <위건 부두로 가는 길> 읽고 답해요[책걸상 함께 읽기] #7. <오웰의 장미>조지 오웰 [엽란을 날려라] 미리 읽기 모임
매달 다른 시인의 릴레이
[ 날 수를 세는 책 읽기 ㅡ9월 '나와 오기' ] [날 수를 세는 책 읽기ㅡ8월] '내가 네번째로 사랑하는 계절'〔날 수를 세는 책 읽기- 7월〕 ‘잠시 작게 고백하는 사람’[ 날 수를 세는 책 읽기ㅡ6월] '좋음과 싫음 사이'
앤솔로지의 매력!
[그믐앤솔러지클럽] 1. [책증정] 무모하고 맹렬한 처음 이야기, 『처음이라는 도파민』[그믐미술클럽 혹은 앤솔러지클럽_베타 버전] [책증정] 마티스와 스릴러의 결합이라니?![책나눔] 어딘가로 훌쩍 떠나고 싶을 때, 시간을 걷는 도시 《소설 목포》 함께 읽어요. [장르적 장르읽기] 5. <로맨스 도파민>으로 연애 세포 깨워보기[박소해의 장르살롱] 20. <고딕X호러X제주>로 혼저 옵서예[그믐앤솔러지클럽] 2. [책증정] 6인 6색 신개념 고전 호러 『귀신새 우는 소리』
좋은 스토리의 비밀을 밝혀냅니다
스토리 탐험단 8번째 여정 <살아남는 스토리는 무엇이 다른가>스토리탐험단 7번째 여정 <천만 코드>스토리탐험단 여섯 번째 여정 <숲속으로>
믿고 읽는 작가, 김하율! 그믐에서 함께 한 모임들!
[📚수북플러스] 4. 나를 구독해줘_수림문학상 작가와 함께 읽어요[책증정 ]『어쩌다 노산』 그믐 북클럽(w/ 마케터)[그믐북클럽] 11. <이 별이 마음에 들어> 읽고 상상해요
AI와 함께 온 우리의 <먼저 온 미래>
책걸상 인천 독지가 소모임[도서 증정] <먼저 온 미래>(장강명) 저자, 편집자와 함께 읽어요!
혼자 보기 아까운 메롱이 님의 '혼자 보기'
파인 촌뜨기들썬더볼츠*고백의 역사버터플라이
🎁 여러분의 활발한 독서 생활을 응원하며 그믐이 선물을 드려요.
[인생책 5문 5답] , [싱글 챌린지] 완수자에게 선물을 드립니다
모집중밤하늘
내 블로그
내 서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