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맥주의 블로그
제 독서 메모는 마음대로 퍼 가셔도 괜찮습니다. 상업적으로 이용하셔도 됩니다.수학과 물리학, 생물학, 과학사를 전공한 전방위 지식인의 설명은…… 어려웠다. 과학을 한다는 게 뭔지 읽기 전보다 더 모르겠다. 그게 바로 현대과학이라는 건가!
론리플래닛 매거진 코리아에 연재한 글을 모은 여행 산문집. 처음 들어보는 나라와 도시 이름들이 나온다. 읽다 보면 쓸쓸한 기분이 드는데 그게 좋다. 자신이 살고 있는 도시에서는 우아하게 쓸쓸해지기가 참 어렵다 싶네.
가정폭력과 데이트폭력, 경찰 성폭력에 대한 부분을 고개 끄덕이 며 읽었다. 살인범 중 여성이 차지하는 비율이 의외로 높아서 20퍼센트를 웃돈다고 한다. 또 전체 살인 피해자의 절반은 남자라고 한다.
‘그저 모호하기 때문에 심오하게 들리는 명 제’를 〈심오롭다〉는 신조어로 놀릴 때, 또 자아에 대해 ‘정신의 무게중심’이라는 개념을 제안할 때 무릎을 쳤다.


황우석 이야기가 꽤 나온다. 성형수술과 정체성의 문제를 연결지은 대목이나, 우리 몸이 모두 여성화하고 있 다는 주장이 흥미롭다.
반세기 전 강원도 산골의 먹을거리와 사람들 이야기. 전나무물 할아버지, 수리취떡 할아버지처럼 착 하게 살고 싶어진다. 잣을 돌려달라고 몰려든 청설모 떼들은 우습기도, 무섭기도. 작가의 말이 무척 감동적.
누군가 몰래 버린 음식물쓰레기 봉투가 있고, 돈은 중요하지 않다고 하다 다시 연연하게 되는 마 음이 있다. 호신용품과 CCTV가 꼭 필요하다. 그래도 이 작은 서점은 용감하고 씩씩하게, 너절한 세계에 맞서 싸운다.
10년차 초등학교 교사가 고발하는 교대와 초등학교의 현실에 무척 놀랐 다. ‘우리의 학교 문화와 제도는 신자유주의를 걱정하기 이전에 봉건주의부터 타파해야 할 것 같다’는 문장에 밑줄.
원제는 ‘Wired For Thought’이며, 구글 과는 큰 관련이 없는 내용의 책이다. ‘인터넷은 뇌 그 자체이다’라는 도발적인 선언에 비해 근거와 각론은 좀 아쉽네.
우울증에서 벗어나려고 정신과 의사가 되었다는 저자의 책. 두 문장이 계속 기억에 남았다. ‘괴로운데 최선을 다하다 보면, 몸도 마음도 피폐해진다.’ ‘우울증은 삶을 바꿀 기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