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맥주의 블로그
제 독서 메모는 마음대로 퍼 가셔도 괜찮습니다. 상업적으로 이용하셔도 됩니다.물론 킹이니까 재미있고 무섭다. 다만 앞부분은 상당히 길고 지루하며, 클라이맥스에 굉장히 어이없고 불쾌한 설정이 있다. 15년 뒤에 낸 『드림캐처』는 이 소설의 자기복제로 봐도 될 듯. 나는 두 작품 모두 취향이 아니었다.
동물이 가진 이런저런 신기한 감각 능력에 대한 이 야기들. 자기장 라인이라든가 전기신호, 편광 같은 것들에 대해 상상하며 가볍게 읽을 수 있다.
제3세계의 기아가 끔찍한 범죄라는 데 두 말 없이 동의한다. 그런데 이 책은 그런 범죄가 어떻게 벌어지는지에 대해 ‘나쁜 사람들과 나쁜 기업들이 힘이 세서’라고만 답한다.
전작인 『왜 세계의 절반은 굶주리는가』도 비슷했다. 청소년용 책이라서 눈높이를 낮추다 보니 그렇게 쓰게 됐나 했는데, 저자에게는 처음부터 그 ‘왜’와 ‘어떻게’가 너무나 쉽고 명쾌한 문제였던 것 같다.
인터넷 시대의 지적재산권 문제를 다뤘다. 커뮤니케이션에는 유형(네트워크), 코드(언어), 콘텐츠의 세 층이 있고 각각의 층에서 소유와 통제 문제를 따로 논해야 한다고.
‘꼬투리잡기 저널리즘’이 정의감이 아니라 무력 감의 결과라는 지적에 동의. 저자는 꼬투리잡기 저널리즘을 떠받치는 근거인 ‘권력의 감시자라는 역할’ 자체를 비판하는데, 역시 고민해 볼 문제다.
그런데 뉴스 산업에 대해 ‘근본적인 문제’를 제기하는 것만큼 손쉽고 진부한 일이 또 있을까. 세상 모든 문제의 해법과 내막을 빠르고 정확하게, 깊이 있게, 무료로 제시할 때까지 욕을 먹는 거다.


신무협 판타지 하드보일드 사이버펑크쯤 되려나. 초반에 진입 장벽이 있다. 의도한 장벽이라는 점에서는 작가의 배짱 을 높이 사고 싶고, 그렇다 해도 너무 높게 설치한 것 아닌가 싶기도 하다.
지금은 폐지된 조선일보판타지문학상 수상작. 설정 좋고, 스토리도 나쁘지 않은데, 스토리‘텔링’은 좀 아쉽다.
여기 나온 연습문제들을 다 해내는 사람은 뭔가 틀림없이 되긴 할 것 같다. 작가는 못 되더라도. 글쓰기에 대한 통념 몇 가지를 부숴주어서 개인적으로 고마운 책.
히가시노 게이고의 평행우주 SF. ‘말도 안 된 다’고 헛웃음 지으며 읽기 시작했는데 읽는 동안에는 책을 손에서 놓을 수 없었다. 말은 안 되지만 엄청 재미있다.
공부하는 마음으로 집어든 책이었는데, 다소 딱딱한 편. 엘리 자베스 로프터스 교수가 언급되어 반가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