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서관에서 빌린 책 읽기

D-29
도서관에서 3주간 빌린 책을 읽으며 생각나는대로 옮겨볼 생각입니다. 혼자 쓰기는 너무 심심해서 함께 쓰기로 만들어보았습니다. 3주에 한 번 도서관에서 다섯 권씩 빌립니다. 이번 주에 빌린 책은 다음과 같습니다. 붉은 선 / 홍승희 / 글항아리 남양 섬에서 살다 / 조성윤 / 당산서원 세계의 말들 / 구로다 류노스케 / 유유 영화의 얼굴 / 양해남 / 사계절 존재의 세가지 거짓말 / 아고타 크리스토프 / 까치글방
홍승희 작가의 책은 [무당을 만나러 갑니다]와 [신령님이 보고계셔]를 먼저 읽었습니다. 그 책에서 [붉은 선]과 [세상은 내가 이상하다고 한다]가 언급되어 있어 그 전에 쓴 책이 궁금해서 빌려봤습니다. 앞으로 [엄마는 인도에서 아난다라고 불렸다]를 포함해 시간 날 때마다 한 권씩 읽어볼 생각입니다.
존재의 세가지 거짓말은 벌써 비밀일기를 다 읽었습니다. 아고타 크리스토프의 책은 [문맹]과 [르 몽스트르]를 읽었습니다. 이 두 작품이 좋아 이어 읽고 있는데 실망시키지 않습니다. 이 책에 대해 쓸 때는 스포일러 처리를 합니다.
붉은 선 - 나의 섹슈얼리티 기록대한민국에서 살아가는 한 여자의 섹슈얼리티에 대한 거의 모든 이야기. 임신중절 경험에 대한 증언을 시작으로, 데이트 폭력, 데이트 강간, 첫 경험, 첫 자위, 첫 오르가슴, 성폭력, 성추행, 성노동, 폴리아모리, 비혼, 비출산 등 사적인 것으로 탈락되어온 이야기.
남양 섬에서 살다 - 조선인 마쓰모토의 회고록1세대로 남양군도 여러 섬에서 생활한 전경운의 회고록. 그의 회고록은 크게 3부분으로 나뉘는데, 첫 번째는 1939년부터 1945년까지의 남양군도 시절 이야기이다. 두 번째는 1945년 수용소 캠프 시절부터 1951년 티니언섬에 정착하기까지의 과정을 적었다. 마지막 세 번째가 티니언에서 농업에 종사하던 이야기였다.
세계의 말들 - 언어덕후가 즐거운 수다로 요리한 100가지 외국어의 맛일본의 슬라브어학자이자 언어학자인 구로다 류노스케는 『세계의 말들』에서 세계의 백 가지 외국어에 관해 이야기한다. 언어에 얽힌 따뜻하고 웃음이 나는 에피소드나 언어에게 받은 인상 등을 재미나게 풀어낸다.
영화의 얼굴 - 수집가 양해남의 한국 영화 포스터 컬렉션한국 영화 탄생 100주년을 맞아, 영화 자료 수집가 양해남이 자신이 소유한 2400여 점의 한국 영화 포스터 가운데 1950~80년대를 대표하는 작품 248점을 골라 소개한다. 10년 단위로 시기별 한국 영화의 흐름을 개괄하였다.
존재의 세 가지 거짓말 - 3권 합본 개역판밀란 쿤데라에 때때로 비교되는 또다른 동유럽 작가인 아고타 크리스토프의 소설로, 20여 개 국어로 번역되어 세계적인 베스트셀러가 된 그녀의 대표작이다. 이름의 철자 순서만이 다른 쌍둥이 형제 루카스(Lucas)와 클라우스(Claus)의 처절한 운명이 교차하는 3부작 소설이다.
여기 있는 책 외에도 새로운 모임을 만들어 쓰기는 애매한 책들에 대한 글은 써보려고 합니다. [흐트러지는 봉황의 색채]를 읽고 있는데, 4장을 끝냈습니다. 한국과 일본과 중국을 다른 이름으로 각색해서 SF가 섞인 세계인데 그 모호함이 좀 답답하긴 합니다.
그런데 4장에서 이 책에서 다룰 이야기가 중점적으로 풀리자 그 뒤의 미스테리를 어떻게 해결할 것인지 궁금해졌습니다. 일단 주인공이 할 일은 정해졌고, 그 일은 자신의 가치관에 완전히 어긋난 일이며 목숨까지 위험할 수 있는 일인데 책의 얼마나 이 일을 이끌어 나갈지. 적어도 시험에서 떨어진 것은 예상하지 못했습니다.
최근 점심시간에 두 권의 책을 번갈아 읽는데 둘 다 가슴을 울린다. 그런데 탁자에 앉아 휴대폰으로 책을 열 때까지도 무슨 책을 읽고 싶은지 알지 못 한다. 좀 더 마음이 연약할 때는 [모국어는 차라리 침묵], 더 단단할 때는 [내 아들은 조현병입니다]를 읽게 된다. 그 경도 차이는 마음에 문장을 들이 댈 때 알게 된다.
내 아들은 조현병입니다 - 정신질환자의 가족으로 산다는 것, 그 혼돈의 연대기뉴욕타임스 베스트셀러 1위 작가 론 파워스가 자신의 두 아들에게 찾아온 약탈자 같은 질병, 조현병에 무너진 그러면서도 그 병과 싸우기를 멈추지 않은 가족의 연대기를 담은 책이다.
모국어는 차라리 침묵공연예술이론가 목정원의 산문집. 목정원이 2013년부터 프랑스에서 6년, 한국에서 2년 동안 마주했던 예술과 사람, 여러 사라지는 것들에 관하여 쓴 책이다. 목정원은 사라지는 것에 관해 말하고자 하며, 오히려 자신에게조차 작품이 충분히 희미해졌을 때에 쓰고자 한다.
아침에 영화의 얼굴을 쭉 봤다. 1950 ~ 1980 의 포스터를 나열하고 있는데, 한참 보다가 화녀 포스터에서 멈췄다. 너무나 그 당시 흐름과는 아무 관계가 없는 모던한 디자인이 갑작스레 튀어 나왔기 때문이다. 한국 최초의 영화는 1919년에 나왔다고 하는데 그럼 20 ~ 50 사이의 영화는 어디 갔단 말인가. 가끔 일제강점 시대가 이렇게 문화적으로 빠져 있을 때 의구심이 생긴다.
일제강점 시대의 영화을 찾아보니 이런 기사가 잡힌다. http://www.readersnews.com/news/articleView.html?idxno=95851 그리고 기사 내에서도 나오지만, [한국 영화사 개화기에서 개화기까지]라는 책이 보인다. 더 찾아보니 [한국영화 100년사 일제강점기]라는 더 그 시대만을 다룬 괜찮은 책이 보였다. 책 목차에 따르면 가장 오래된 원본이 남아 있는 영화가 [미몽] (1936)이라고 하니 언젠가 봐야겠다. 아래와 같이 Youtube에 고스라니 올려져 있었다. (더 찾아보니 그 사이 복원을 해서 [청춘의 십자로] (1934)가 가장 오래된 영화라고. 다만 이 쪽은 무성영화.) https://www.youtube.com/watch?v=wai0DcfjiKI
점심시간에 읽고 있는 [내 아들은 조현병입니다]는 제목에서 생각했던 것보다 훨씬 저자가 담담하게 서술한다. 저자가 유능한 작가이기도 하겠지만, 그렇게 이야기를 전달하고자 하는 강한 의지가 느껴진다. 자신의 아들 이야기 한 꼭지, 조현병에 관련된 이야기 한 꼭지를 번갈아 가는데, 서양의 정신병원 역사에 정신이 아득해진다. 수 백년 동안 방치되고 착취된 병자들. 도로시어 린더 딕스Dorothea Lynde Dix의 행보에 눈물이 조금 났다. 퀘이커 교도들에게 좋지 않은 인상이 있었는데, 정신병원의 개선에 큰 도움을 줬다니 조금 수정 되었다. 얼마나 오랜 기간 그렇게 많은 사람들이 방치되어 있었을까.
[영화의 얼굴들] 포스터만 쭉 다 봤다. 화녀 포스터 이후로도 그렇게 모던한 포스터는 다시 등장하지 않는다. 마지막 작품이 1988년작인데, 저자가 포스터를 수집하기 시작한 1989년 직전까지로 마무리지은듯 하다. 70년대 말 기미가 보이던 섹슈얼(성적 물화?)는 80년대 들어서 굉장히 활개친다. 독재정권에서 찍을 수 있는 영화가 한정되어서일까. 작품성은 차라리 70년대 이전이 훨씬 높아보였다. 그런데 과거 사람들도 영화를 그렇게 많이 봤던 걸까. 어느 정도로 얼마나 영화를 많이 봤는지 궁금하다. [노란문:세기말 시네필 다이어리]에 의하면 독재 종료 이후 청년들은 굶주린 듯이 영화를 공부하고 찍었다. 다른 세대가 시작된 것이다.
[남양 섬에서 살다]를 138쪽까지 읽었다. 일제 시대에 대학까지 나온 저자는 남양척식회사에서 식민지에 파견되어 일하게 된다. 식민지 회사에서 일한다는 것이 무엇인지 아주 자세하게 적혀있고, 심지어 저자는 뛰어난 일잘러다. 미크로네시아의 작은 섬들에서 어떤 일들을 해왔는지 선명하게 그려지고, 이제 막 진주만 공습으로 태평양 전쟁이 시작되었다. 전쟁 초기라 일본은 승리의 열광에 취해있다. 1930년대에 벌써 너무나 회사원 같은, 해외 주재소 한직에 발령 받은 느낌이 나 많은 생각을 들게 한다. [버마의 나날]을 다시 읽고 싶어진다.
[영화의 얼굴들] xx년대 설명들만 뛰어넘어 읽었다. 한국영화사는 참 평탄한 적이 별로 없었다. 독재 아래에서 할 수 있는 일이 얼마나 없었을까. 70년대에 TV가 도입되고 검열에 의해 자극/선정이 강해지고 80년대 전두환 정권이 신체 노출 수위를 파격적으로 허용하며 그 피크를 찍는다.
[지구의 마지막 숲을 걷다]를 조금 읽었다. 도저히 순서대로 읽지 못하겠는 책이 있다. 이 책도 처음 빌릴 때도 지금도 되는대로 펼쳐서 읽고 있다. 아마 미래인들에게 이 시기는 정작 중요한 것에 별 관심이 없었던 인간들의 시대로 기록에 남겠다.
[산책]을 읽었다. 김이은의 담담한 제목 짓기와 간결한 내용진행은 어쩌면 심심하게 느껴졌다. 부동산에 대한 강렬한 양가감정이 거슬린다.
[세리의 크레이터]를 읽었다. 정남일은 조금 황당스러운 소재를 밀고 나가는 재미가 있다. 소설계에 신도심 거주자라는 새로운 인구 집단을 계속 그리기로 했나?
[부표]를 읽었다. 이대연은 내가 문장을 잘 쓴다고 생각하는 스타일이다. 어떤 이들은 가끔 단편 소설을 글을 채워 넣어 완성하기도 하는데 이는 심혈을 기울여 썼다. 이 작가의 다른 책을 더 읽고 싶어 보니 [이상한 나라의 뽀로로] 단 한 권만 있었다. (단편집으로 보인다.) 경인 일보에서 1년 정도 영화평을 연재했다. 소설을 사서 읽을까 싶다.
작성
글타래
화제 모음
지정된 화제가 없습니다
[책 나눔 이벤트] 지금 모집중!
[책증정 ]『어쩌다 노산』 그믐 북클럽(w/ 마케터)[책 증정] <고전 스캔들> 읽고 나누는 Beyond Bookclub 5기 [책 증정] [박소해의 장르살롱] 14. 차무진의 네 가지 얼굴 [책증정] 페미니즘의 창시자, 프랑켄슈타인의 창조자 《메리와 메리》 함께 읽어요!
💡독서모임에 관심있는 출판사들을 위한 안내
출판사 협업 문의 관련 안내
그믐 새내기를 위한 가이드
그믐에 처음 오셨나요?[그믐레터]로 그믐 소식 받으세요중간 참여할 수 있어요!
🎯"우리 골목을 광장으로 만드는 법" 떠오르는 책을 추천해주세요!
[성북구립도서관] 2024년 성북구 비문학 한 책을 추천해주세요. (~5/12)
<장르살롱>이 시즌2로 돌아왔다!
[책 증정] [박소해의 장르살롱] 14. 차무진의 네 가지 얼굴
세계적 사상가 조너선 하이트의 책, 지금 함께 읽을 사람 모집 중!
[책걸상 '벽돌 책' 함께 읽기] #05. <나쁜 교육>[그믐북클럽Xsam] 15. <바른 마음> 읽고 답해요
이 계절 그리고 지난 계절에 주목할 만한 장편소설 with 6인의 평론가들
다음 세대에도 읽힐 작품을 찾는 [이 계절의 소설] 네 번째 계절 #1다음 세대에도 읽힐 작품을 찾는 [이 계절의 소설] 세 번째 계절 #1다음 세대에도 읽힐 작품을 찾는 [이 계절의 소설] 세 번째 계절 #2
직장인이세요? 길 잃은 직장인을 위한 책들 여기 있어요.
[김영사/책증정] 천만 직장인의 멘토 신수정의 <커넥팅> 함께 읽어요![김영사/책증정] 《직장인에서 직업인으로》 편집자와 함께 읽기[직장인토크] 완생 향해 가는 직장인분들 우리 미생 얘기해요! | 우수참여자 미생 대본집🎈[생각의힘] 어렵지 않아요! 마케터와 함께 읽기 《커리어 그리고 가정》
어서 오세요. 연극 보고 이야기하는 모임은 처음이시죠?
[그믐연뮤클럽의 서막 & 도박사 번외편] "카라마조프 가의 형제들: 이반과 스메르자코프"[그믐밤] 10. 도박사 3탄, 까라마조프 씨네 형제들@수북강녕
💌 여러분의 마지막 편지는 언제인가요?
[책 증정] 텍스티와 함께 『편지 가게 글월』 함께 읽어요![그믐밤] 6. 편지 읽고, 편지 쓰는 밤 @무슨서점[이 편지는 제주도로 가는데, 저는 못가는군요](안온북스, 2022) 읽기 모임
🍵 따스한 녹차처럼 깊이 있는 독후감
종의 기원(동서문화사)브로카의 뇌도킨스, 내 인생의 책들코스믹 컨넥션
딱 하루, 24시간만 열리는 모임
[온라인 번개] ‘책의 날’이 4월 23일인 이유! 이 사람들 이야기해 봐요![온라인 번개] 2회 도서관의 날 기념 도서관 수다
🌸 봄에 어울리는 화사한 표지의 책 3
[책증정/굿즈] 소설 《화석을 사냥하는 여자들》을 마케터와 함께 읽어요![책 증정] 블라섬 셰어하우스 같이 읽어 주세요최하나 작가와 <반짝반짝 샛별야학>을 함께 읽어요.
<이 별이 마음에 들어>김하율 작가가 신작으로 돌아왔어요.
[책증정 ]『어쩌다 노산』 그믐 북클럽(w/ 마케터)[그믐북클럽] 11. <이 별이 마음에 들어> 읽고 상상해요
줌으로 함께 책 이야기하고 싶은 분들은 여기로 👇
함께 책 이야기 해봐요!
모집중
내 블로그
내 서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