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2.
245p “이럴 때는 화를 내야제. 참으면 세상은 변하지 않애. 목소리를 내고 싸워야제.”
251p “너도 지구에서 반백 년 살아봐라잉. 정서가 촉촉헐 수가 있는가.”
[그믐북클럽] 11. <이 별이 마음에 들어> 읽고 상상해요
D-29

siouxsie

매일그대와
p.224
장수는 왜 별점의 단위는 별인지에 대해 진지하게 생각해본 적이 있다. 해점, 달점, 별점 중 왜 별을 골랐을까. 뾰족해서? 찌르면 아프니까. 찔리기 싫으면 빨리 달리라고.
p.246
"어쩌면 우리가 변해야 세상이 변할지도 몰라."
장수의 말에 꿈속의 은희는 철철 울면서 깔깔 웃으면서 말했다.
"니나 잘해."
p.257
"저는 이 저능한 존재들을 사랑하니께요."
화제로 지정된 대화

그믐클럽지기
3-3. 이번에는 책을 다 읽고 난 우리들이 작가님께 궁금한 점을 적어볼게요. 질문들은 29일 북토크에서 함께 살펴보고 이야기 나누겠습니다. 혹시 궁금한 점이 특별히 없으시다면 작가님께 전달하고 싶은 메세지를 한 마디씩 남겨주셔도 좋습니다.

장맥주
작가님, 책 정말 재미있게 잘 읽었습니다! 그러면 정말 시시한 질문부터... 작가님의 최애 라면은 뭔가요? 그리고 굴 좋아하시나요? ^^

김하율
재밌게 읽어주셔서 감사해요^^ 제 최애 라면은 바로바로, 너구리랍니다. 너구리 한마리 몰고 가세요~ ㅎㅎ 오동통한 면발이 끝내주죠. 해산물을 좋아해서 굴 뿐 아니라 전 복, 과메기도 좋아하는데요. 생굴도 좋지만 굴밥이나 굴전을 해먹을 때도 있어요. 생각만 해도 침 떨어지네요.^^

장맥주
헛... 너구리... 나가사끼짬뽕 전까지 저의 최애 국물라면이었습니다. (tmi) 작가님이 더 가까워지는 느낌입니다. ^^

김혜나
너구리에 굴 넣어서 끓여도 맛있겠다 생각이 드네요!

조영주
작가님 예전 신당동 떡볶이집 따님이라고 알고 있는데 어렸을때 에피소드 소개해주세요

김하율
제 신상을 이렇게 스포하시다니!ㅋㅋ 제 부모님은 요식업계통 자영업자이신데요. 그래서 저는 떡볶이를 언제든지 먹을 수 있는 무한한 자유(?)를 가진 신분이었습니다. 떡볶이를 좋아하면서도 떡볶이에대한 결핍이 없는 이러한 상황은 자칫 그 대상에 대해 금방 '물리는' 현상을 불러일으킨다는 것을 저는 어린 나이에 알아버렸지요. 그리고 그러한 현상을 저는 '마음이 가난해 지는 일' 이라고 이름붙였습니다. 언제나 약간의 결핍은 더 큰 행복에 대한 토핑이라는 걸 깨달았달까요.^^
제 어머니가 신당동 즉석떡볶이의 '모듬사리' 창시자였습니다. 이 이야기로 언젠가 작품 한 번 쓸 예정이니 에피소드는 그때 말씀드릴게요!

조영주
저 저기 작가님아...이거 북토크때 말씀하시라꼬 일부러 올렸는데 여서 다밝히시믄......

김하율
전 여기에 답변다는건 줄… ㅎㅎ

조영주
그라믄 북토크땐 이것보다 더잼난거 이야기해주이소!!!

장맥주
어엇, 이런 사연이. 그러면 작가님 어머님이 하시던 가게가 신당동마○○할머니집인 건가요??

김하율
그 할머니는 저희 앞집이셨어요. ㅎㅎ

김혜나
신당동 떡볶이 서사 정말 궁금하네요! 소설로 꼭 만나볼 수 있기를 고대하겠습니다 😆

조영주
소설 말고 에세이!!
달달둥근달
이 별이 마음에 들어. 정말 잘 읽었습니다
태어나고 아기때라 사회에 대해서는 잘 몰랐고 88올림픽이니 뭐니 화려하고 잘 꾸며진 모습만 알다가 요즘 그 이면이 진실들이 많이 드라마화 영화화 소설화되어 좋습니다. 교과서 속 암기 한 줄이 아니라 더 느낄 수 있게 만드는 것 같습니다. 이 별이 마음에 들어. 에선 잘 안다뤼졌던 공장직공들의 삶이 보여 좋았어요 그것도 너무 슬프고 우울하게만이 아니라 위트있는 캐릭터라 더더 좋았어요

장맥주
저도 동감입니다. 니나에게 특수한 능력이 있는 걸 알면서도 2부 뒷부분으로 가니까 참 괴로웠어요. 더 냉정하고 사실적인 톤이었으면 참 힘 든 독서였겠다 싶었습니다. 2부와 3부 사이의 이야기가 조금 궁금하기도 했지만 그냥 여기서 시간을 훌쩍 뛰어넘어 다행이다 하는 마음도 있었어요.

솔로몽북스
3-3
1부와 2부는 각각 1년이라는 어찌보면 붙어있는 이야기였고, 3부는 24년의 현재를 이야기 하고 있습니다. 형식상으로 1부(1+2부) 와 2부(현재) 시점으로 나누어도 될듯 하기도 했는데요 . 형식을 그렇게 1부와 2부를 일년사이의 이야기인데 나누신 이유가 있으신지 궁금합니다.

장맥주
취재를 어떻게 하셨는지가 제일 궁금합니다. 자료 조사만 하신 걸까요(자료 조사만으로 이렇게 생생한 이야기가 나올 수 있는 건가요), 아니면 혹시 당시 경험을 하신 지인을 인터뷰하신 것인지요. 자료 조사를 하셨다면 어떤 자료를 얼마나 보셨는지, 1970년대말 여공들의 삶에 대한 여러 세밀한 묘사 중 어떤 부분이 취재를 통해 얻었고 어떤 부분이 순전히 상상으로 만든 것인지 등을 혹시 들려주실 수 있을까요? 업무 비밀일까요? ^^
작성
게시판
글타래
화제 모음
지정된 화제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