옥토버페스트를 세번 경험했는데, 설명을 너무 찰떡같이 하셔서 공항 로비에 앉아 빵 터졌습니다 (주변인들에게 잠깡 눈치가 보였네요)!!
[그믐밤] 19. <주종은 가리지 않습니다만> 부제: 애주가를 위한 밤
D-29

새벽서가

장맥주
가본 적이 없는데도(종로구 옥토버훼스트만 몇 번 가본) 저도 빵 터졌습니다. 가죽 바지 헨젤과 가슴 모은 그레텔, 입에 뜨는 무지개, 피쳐 들고 있는 아기 천사... 어쩌면 말씀을 이렇게 찰떡같이 하시는지... ^^

술빚는소설가
종로 옥토버훼스트는 저도 종종 가는데 비싼 가격에 비해 분위기가 너무 시장통이라 그냥 그렇긴 합니다만... 어떤 분들은 그렇게 시끌시끌한 분위기에서 기분이 좋다더라고요 ㅎㅎ

장맥주
수제맥주 마시기 어려웠던 20년쯤 전에는 귀한 장소였는데 이제는...

술빚는소설가
여기는 안주도 다 너무 과하고요... 그냥 텀블러에 담아주는 수제맥주 한잔에 감자튀김 정도면 충분히 즐길 수 있는데 말이죠!

연해
저는 경험해 보지 못했는데도, @냅다 님의 말솜씨가 워낙 좋으셔서 같이 웃었답니다. 밑에서 장작가님이 말씀하신 종로구 옥토버훼스트도 지인들이 갈 때 쏙 빠졌던 기억이 나네요.

김 새섬
와, 옥토버페스트에 세 번이나 다녀오셨군요. 부럽습니다. ^^

새벽서가
유럽에 살 때는 자주 갔던 독일이 이제는 너무 머네요. ^^;

장맥주
오... 제 생각과 되게 다르군요. 헨젤과 그레텔 언니 오빠들이 조금 궁금하기는 하지만 제가 롯데월드를 워낙 싫어해서... 안덱스 확 땡기는데요? 여름의 가스트호프와 비어가르텐, 밤베르크도 잘 기억해놓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술빚는소설가
우와 옥토버페스트 이렇게 들으니 진짜 생생하게 느껴지네요! 저도 사실 사람 많은 곳에 있는 걸 꺼리는 성향이라 막상 가보지는 못할 것 같지만, 대리만족이 되네요 ㅎㅎㅎ 여름의 로컬 가스트호프 또는 비어가르텐 꼭 기억해보겠습니다!

거북별85
냅다님의 옥토버페스트나 다른 축제들 설명들이 너무 세세하고 친절해서 웬만한 세계여행 프로보다 실감이 나네요^^

술빚는소설가
떡볶이에 막걸리 조합은 정말 참을 수 없죠! 저도 매우 좋아하는 페어링이랍니다 ㅎㅎㅎ

김새섬
오! "냅다" 뛰어오셨군요. 독일! 궁금한 거 너무 많은데... 그 곳엔 로컬 맥주가 많잖아요. 그럼 보틀샵에서 술을 사실 때 일반 맥주들 (하이네켄, 버드와이저 등) 옆에 로컬 맥주도 같이 팔고 그런 걸까요? 가격대는 어떤지도 궁금하네요.
큰 호프집 벽에 걸려 있는 옥토버페스트 사진 볼 때마다 재밌겠다는 생각이 들면서 한편 저기 가운데에서 화장실은 어떻게 가야 될까 괜한 걱정이 들곤 합니다. 맥주를 잔뜩 마셨을텐데!!
그래도 언젠가 꼭 한 번 가보고 싶어요. ㅎㅎ

냅다
안녕하세요 김새섬님!
일단 독일에서는 일반 마트에서 모든 종류의 술을 다 살 수 있어요. ‘음료(껄껄..) 마트’ 라고 해서 정말 술만 파는 커다란 창고형 마트도 많은데 거기에 가면 종류가 훨씬 다양하고요. 맥주는 한 병에 보통 천 원 정도로 무척 싼 편입니다. 마을마다 살아남은 브루어리가 많아서 로컬 맥주도 많은데, 대체로 그 지역 마트에 가면 구입할 수 있어요. 와인이나 스피릿, 리큐르를 파는 아기자기하고 예쁜 샵들이 따로 있기도 한데, 아직까지 맥주는 그런 곳을 본 적이 없는 것 같네요.
옥토버페스트 꼭 한 번 오셔서 화장실의 신비를 푸시기 바라요! :D 참고로 이름은 옥토버페스트지만 10월 첫 주에 끝나고 대부분은 9월에 진행됩니다.

김새섬
한 병에 천원이라니 정말 싸네요. 그나저나 모임에서 술 얘기하니까 너무 재밌는데요.
역시 술이 책보다 재밌...

술빚는소설가
저는 캐나다 온타리오에 한달 정도 머문 적이 있는데, 일반 마트나 편의점에서는 주류를 판매하지 않고, 리커샵에서만 주류를 팔더라고요. 다들 맥주 하면 독일, 체코부터 생각하는데, 저는 온타리오 리커샵에서 어마어마한 맥주의 양과 종류에 정말 놀랐던 기억이 있어요. 그때는 국내 수제맥주 시장이 없을 때라서, 온타리오 리커샵에서 다양한 종류(에일, 페일에일, 골든에일, IPA)를 맛보았어요. 심지어 라거도 진짜 진하고 고소하고 맛있더라고요. 대부분 온타리오 시골 양조장에서 가져오는 로컬 비어였고, 독일 맥주도 꽤 많았어요. 가격은 4개 10불 또는 3개 4불이었고, 미국맥주는 6개 10불 정도 하더라고요 ㅎㅎ 그때 진짜 로컬 맥주에 눈 떠서 캐나다에 살고 싶다 생각한 적이 있는데, 지금은 국산 수제맥주가 더 맛있게 느껴진답니다 ㅋㅋㅋ 두분 댓글 보니 온타리오 기억이 나서 반가웠어요! 저는 평소에도 먹는 이야기 하는 걸 좋아해서(먹으면서 먹는 이야기 하는 거는 진짜 미치고요..) 음식이야기, 술 이야기 원래 좋아하긴 하는데 그믐에서 이러고 있으니 진짜 새롭고 특별하게 느껴집니다~~ @냅다

연해
저는 <달콤 쌉싸름한 탁주>를 읽으면서 증류식 소주와 희석식 소주의 차이를 처음 알았어요! 탁주에 대한 내용이라고만 생각하며 읽다가 막바지에 소주가 등장해서 '어라라?'했답니다.
위에서 @꿀돼지 님이 희석식 소주에 대해 언급해 주셨을 때도 살짝 물음표가 떴는데, 큰 의미를 담지 않고 지나갔거든요. 근데 이번에 알았어요. 시중에 파는 값비싼(?) 소주들을 보면서도 정보를 찾아볼 생각은 하지 않고, 취한다의 관점으로만 접근하다 보니 별생각 없이 '저 소주는 왜 저렇게 비쌀까? 참이슬이나 먹어야지'하면서 지나치곤 했거든요. 술에 대한 지식이 얼마나 무지했는지를 이번에 편을 읽으며 새삼 깨달았답니다.

술빚는소설가
국내 식당이나 주점에서 증류식소주를 취급하는 곳이 많지 않기에 증류식소주 모르는 분이 많을 수밖에 없는 것 같아요^^ 혹시 '안동소주' 들어보셨다면 그게 바로 증류식 소주의 한 종류랍니다. 저도 전통주 공부하면서 알게된 술이 많은데, 전통주 전혀 모르는 분들도 '안동소주', '진도홍주', '문배술', '이강주' 정도는 드셔본 적이 있다고 하는 경우를 많이 보기는 했습니다 ㅎㅎ
소설 제목에 대해서라면, <달콤 쌉싸름한 우리술>이라고 하고는 싶었으나 '우리술'의 근간이 탁주이기도 하고, '전통주' 하면 가장 먼저 막걸리나 동동주와 같은 술을 연상하는 경우가 많아서 '탁주'라고 짓게 되었답니다. 소설에도 설명되어 있는 것처럼 쌀 물 누룩을 발효하면 탁주가 되고, 탁주를 가라앉히고 위에 뜬 맑은 술만 떠내면 약주, 약주를 증류기에 넣고 끓이면 소주가 되는 거라서요.

연해
오, 작가님이 남겨주신 댓글 덕분에 '화주'라는 소주도 처음 알았는데, '안동소주'도 처음 들어봤어요. 찾아보니 증류식 소주이자 전통주라고 나오네요. 하나의 제품만 있는 줄 알았는데, 종류도 다양하고요. 2월 8일 화상 북토크에 어떤 술을 가져갈까 계속 고민하고 있는데, 일단 이 아이들도 고민해 봐야겠어요.
소설 제목이 이렇게 탄생했군요! 다 흐름이 있었네요.
이렇게 정성스러운 설명까지 덧붙여주셔서 감사해요. 작가님(감동입니다).

술빚는소설가
네 안동소주는 그냥 안동 지역에서 생산하는 증류식소주를 일컫는 말이더라고요. 그래도 '일품 안동소주', '안동 진맥소주' 하는 식으로 양조장마다 제품명을 따로 넣어줍니다 ㅎㅎ 개인적으로 '민속주 안동소주'와 '안동 진맥소주' 정말 좋아하는데요. 고도주 좋아하신다면 한번쯤 맛보시길 추천드려요!
저는 그날 그날 끌리는 술이 달라서 화상 북토크 때 마실 술 또한 그날 정해보려 합니다! ㅎㅎㅎ
작성
게시판
글타래
화제 모음
지정된 화제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