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도 전통주 양조를 배우며 양조사 친구들을 사귀게 되었는데, 만나면 정말 술에 대한 이야기만 하루종일 하는데 굉장히 재밌더라고요 ㅎㅎ 최근 주류시장 동향부터 트렌드, 술 빚는 방식, 술에 대한 관능평가 등 다양한 이야기를 나누는데, 단순한 음주가 아니라 배움이 곁들여지는 시간이라 특별하게 다가오곤 해요. 와인 또는 위스키 소믈리에 분들과 이야기 나누는 것도 재밌고요. 하지만 일상에서, 주변에서 쉽게 만나볼 수 있는 직종은 아니니 취미반이라도 전통주 또는 와인, 맥주 양조 수업이나 원데이클래스 들어보시면 나름 재미가 있지 않을까 합니다 ㅎㅎ
[그믐밤] 19. <주종은 가리지 않습니다만> 부제: 애주가를 위한 밤
D-29

술빚는소설가

연해
"단순한 음주가 아니라 배움이 곁들여지는 시간이라 특별하게 다가오곤 해요."라는 작가님의 문장이 너무나 좋습니다. 그러고 보니 평소 이것저것 배우러 다니는 걸 좋아하는데, 술과 관련해서 무언가를 배워볼 생각을 못 했었네요. 이번 모임을 통해 그래도 나름대로(?)는 술에 대한 기초 지식을 쌓았으니, 원데이 클래스에도 관심을 기울여봐야겠어요.
화요도 유통기한이 없군요. 냉장고에 고이 보관 중인데(주말에 저희 집에 놀러왔던 연인이 그걸 물끄러미 봤더랬죠), 건강에 좋은 적정 음주량까지 꼼꼼하게 알려주셔서 감사합니다.
마음이 울적하거나 서글픈 날, 홀로 한 잔씩 기울여보겠습니다:)

거북별85
작가님 아 쉽지만 곧 이 방도 닫히겠네요~ㅜㅜ
작가님의 글을 읽을때마다 술에 대한 해박한 지식들은 어디서 얻으시는지 궁금합니다~ 전 술에 대해 아는게 없지만 작가님 봬니 참 멋져보여서요^^
이책에 여러 술들이 등장하는데 작가님이 소개하신 전통주가 가장 매력적으로 와 닿았어요 나중에라도 전통주에 대해 더 배우고 싶다면 어떤 책이나 경로로 알아보는게 좋을까요??? 언젠가 작가님의 술에 관한 여러 글들에 읽을 때 그 향과 맛을 알아서 공감하며 읽고 싶네요~~~^^

술빚는소설가
그러게요 오늘이 마지막 모임일이라니 그동안 즐겁게 나누던 대화들이 떠오르는 한편 아쉽기도 하네요. 술에 대한 지식 처음에는 유튜브, 블로그에서 검색해 보곤 했는데 온라인으로 얻는 정보에는 아무래도 한계가 있다 보니 책으로 많이 읽기 시작했고, 나중에는 전통주 양조 및 소믈리에 전문 과정에 등록해 공부하기도 했습니다 ㅎㅎ 취미로 접하기 좋은 책은 전통주 갤러리 초대 관장이자 국가대표 소믈리에인 이현주 님의 <한잔 술, 한국의 맛> 입니다. 편집과 디자인이 좀 아쉽긴 했지만 내용은 정말 알차고 재밌는 책이랍니다. 시간 나실 때 슬슬 한번 읽어보시면 좋아요!

한잔 술, 한국의 맛 - 알고 마시면 인생이 즐겁다수백 년 전부터 이어져 내려온 전통주부터 이제 막 걸음마를 시작한 신생 양조장들이 선보이는 새로운 전통주들을 소개하며 술에 담긴 가치를 전하는 책이다.
책장 바로가기

거북별85
와!! 감사합니다♡ 우리나라의 전통주에 대해 배우며 즐긴다면 나중에 삶을 풍요롭게 하는데 많은 도움이 되겠다는 생각이 들더라구요~~~
알차고 재미있는 여러 술 이야기와 세심하고 따뜻한 답글들 너무 감사합니다 작가님~♡

거북별85
전 <위스키 한잔의 시간>의 J바에서 최근에 디플로마를 취득한 송시연과 술 한잔 기울이고 싶네요
사회 초년생으로서 그녀의 생각과 해박한 와인의 지식, 그리고 임교수 모임 참석 후 생각과 뒷담화를 안주삼아 하면 좋을 거 같아요~ 취하면 안되고 마실 수 있는 주량과 주종을 추천 받을 수 있는 J바는 너무 매력적이예요 ♡
유안
와, 송시연 J바 데려가면 너무 너무 좋아할 것 같은데...정말 데려가고 싶네요. J바에서 마음껏 하고 싶은 이야기 하길..!

술빚는소설가
역시 J바와 송시연이 인기가 많군요! 와인에 대한 해박한 지식과 다양한 경험을 분위기 좋고 정겨운 J바에서 나누면 그야말로 금상첨화겠어요~~

장맥주
"맥주의 요정" 주인공 부부와 신풍IPA를 마시고 싶습니다. 의외로 가능한 소원일지도...? ^^
전체가 부분의 총합 이상인 책 같다는 생각이 들었어요. 그런 것까지 약속하고 쓰셨는지 모르겠지만 이야기들이 다 현대를 배경으로 하고 현실적인데 마냥 따뜻하지도, 그렇다고 위악적이지도 않아서 '어른의 맛' 같은 게 느껴졌습니다. 술 앤솔로지에서 어른의 맛이 나는 게 딱 좋았습니다.

서진
훗, 진짜 신풍 IPA 만들어야 겠네요!

술빚는소설가
기대하겠습니다 ㅎㅎ @장맥주

장맥주
기대하겠습니다. 222

장맥주
음홧홧... 신풍IPA 생산량이 적으면 빨리 빨리 마시는 제가 유리할 거 같네요. ^^

술빚는소설가
제주도에서 마시는 맥주는 그 자체로 특별한 느낌이 있죠~
소설집 계약 당시 작가님들과 나눈 이야기 중에 편안하고 쉽게 읽히는 힐링소설 느낌으로 가자는 대화는 나눈 적이 있어요. 그래서 자연스레 현대를 배경으로 하는 현실적인 이야기가 만들어지지 않았을까 추측이 됩니다 ㅎㅎ 세심하게 읽어주셔서 감사드려요!

김새섬
탁주, 위스키, 맥주, 소주에 이어 와인까지 이로서 다 마셨네요. 알딸딸하니 즐거운 시간이었습니다.
작품 속에 한 명을 들라면, 저는 김혜나 작가님의 첫 번째 작품 <달콤 쌉싸름한 탁주>의 양조장 대표님과 한 잔 하고 싶습니다. 조용하지만 내공 있는 사람처럼 느껴졌어요.
베트남은 식당에선 주로 맥주를 팔고 전통주로 보이는 술들은 그닥 눈에 띄지 않네요. 아마 관광지라 그런 거겠죠. 맥주 공장이 있어 맥주가 싸다고 합니다.
모임 기간 동안 개인적으로도 돌아보니 뱅쇼부터 막걸리, 청하까지 꽤 여러 종류의 술을 정말 가리지 않고 마셨네요.

술빚는소설가
<달콤 쌉싸름한 탁주>의 진대표 정확하게 읽어주셔서 기쁘네요~ 실제 모델의 친아버지께서 문학평론가라고 하셔서 소설에도 그 내용을 쓰고 싶었는데, 문학이 직접적으로 드러나는 소재는 지양하다보니 삭제하게 됐어요. 캐릭터화에 공을 많이 들인 인물인데 백선생에 가려 왠지 주목을 못 받는 경향이 생겼던 것 같지만 새섬 님이 알아봐주시니 반갑습니다^^
동남아 지역은 날이 더워서 양조하기에 적합한 기후환경은 아닌 모양이에요. 대신에 증류 문화가 발달한 것 같지만요. 모쪼록 다양한 주종을 경험하며 자기에게 맞는 술을 찾아가는 일은 나를 알아가는 일 같기도 합니다 :)

서진
김헤나 작가님, 처음부터 여기까지 다 수고하셔서 박수를 짝짝짝. 갑자기 김혜나 작가님 작품이 떠올라서요, 거기 기분 나쁜 남자 캐릭터 한 명이 나오잖아요(가물가물). 작가님은 그런 위악적인 상황에서 어쩔 줄 몰라하는 주인공의 심정을 엄청 리얼하게 잘 표현하신 것 같습니다. 저런 아저씨는 절대로 되지 말아야지, 하면서 읽었습니다. ㅎ

술빚는소설가
맞아요 백선생 캐릭터 ㅎㅎ 사실 이건 작가로서 고민이 정말 많은 지점인데요. 그렇게 갈등을 유발하는 상황에서 감정을 드러내고 폭발시키는 쪽으로 나아가면 독자들이 대리만족과 카타르시스를 느낀다고 하더라고요. 한데 저는 소설을 통해 어떤 쾌감이나 대리만족보다는, 공감을 추구하는 경향이 강해서 최대한 현실적으로 쓰려고 노력해요. 현실에서 직장 생활 하는 사람들 대부분 억울하고 황당한 경험을 많이 하게 되지만 딱히 뭐라 말 못한 채 혼자 참고 삭이는 경우가 더 많잖아요. 그래서 이런 인물을 통해서 공감하길 바라는 마음으로 집필을 하는데, 때로는 적극적으로 부딪히고 싸우는 캐릭터도 써봐야 하나 늘 고민된답니다.

거북별85
전 감정을 폭팔시키기보다 김혜나 작가님처럼 백선생을 등장시키는게 전 더 많이 와닿았어요 제 옆에 백선생과 홍주손님이 있는줄 알았네요^^;; 억울하고 황당해도 속으로 삭히거나 아님 분위기 다운시키지 않으려는 책임감에 속으로 억울해도 어색한 미소까지 지어야 할 때가 있잖아요 오히려 담담하게 그 상황을 그려주어서 잠깐 불쾌하고 억울한 공간에 들어갔다 나온거 같았어요 ^^;; 그러면서 그런 사람이 또 나타나면 어떻게 할까 등~~~이런저런 생각들도 들고요~~제가 만난 진상님들과 오버랩되면서 재미있었습니다^^
작성
게시판
글타래
화제 모음
지정된 화제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