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단장 죽이기

D-29
무라카미 하루키 책을 또 읽는다. 어느 정도 그를 섭렵할 필요가 있다. 그의 세계를 한 번 파보자.
남자는 여자를 죽인다. 그러나 여자는 남잘 죽이지 못한다. 그건 물리적인 힘이 약해 그런 것도 있지만, 자기 배우자가 다른 사람에게 안기는 것을 남자가 더 견디지 못해 그런 것 같다.
인간은 자기 위주를 벗어나기가 불가능하다 남을 칭찬하는 경우는 이런 경우에 한한다. 자기가 거기에 관심이 없을 때. 아예 이해관계가 없는 것이다. 그는 당사자가 아닌 제3자인 것이다. 축구 잘한다고 손흥민을 응원하는, 그런 거. 그리고 자기가 이미 이룬 것을 남이 그제야 이뤘을 때 그를 칭찬한다. 그를 내려다보며 칭찬하는 것인데 그것은 곧 자기를 칭찬하는 것과 마찬가지다. 그러나 자기 콤플렉스가 있고 상처가 되는 것은 절대 칭찬을 안 한다. 그냥 알고도 못 본 척한다. 그를 칭찬하는 순간, 자기에게 상처였던 게 쓰리고 아프기 시작하기 때문이다. 그럼으로써 자기의 못남이 더 적나라하게 드러나기 때문이다. 부모만이 어떤 경우에도 자식의 잘함을 칭찬한다. 그러니 곁에 부모가 없다면 이미 큰 우군을 잃은 것이다. 부모는 자기에게 강력한 우군이므로 잘해야 한다. 그걸 깨닫는 순간, 이미 부모는 저세상으로 가고 없다. 실은 부모도 자식을 칭찬함으로써 자기를 칭찬하는 것에 불과하지만, 어쨌든. 이처럼 인간은 자기 위주를 벗어나기가 거의 불가능한 존재다.
예술가는 자유로운 영혼이 필수다. 기질이 그래야 한다. 예술을 위해서 미치고 그것을 위해선 모든 걸 다 희생해야 한다. 그리고 자기 운신의 폭을 좁히는 모든 틀을 부숴야 한다. 예수를 죽이고 석가를 죽여야 한다. 자기만의 세상을 구축해야 한다. 이게 예술가의 미덕이다. 이게 없으면 아예 발을 그쪽에 들여놓지 마라.
하루키 소설에는 심심풀이 땅콩으로 주인공하고 섹스하는 유부녀들이 곧잘 나온다. 실은 현실은 유뷰녀나 그런 여자들과 섹스를 마구 할 수 없다. 돈도 많지 않아 여자를 사서 할 수도 없는 노릇이다. 불법이기도 하고 그렇게 하면 만족스럽지도 않다. 결혼 안 하는 세대이니 점점 더할 것이다. 참, 큰일이다. 음양의 조화가 사라질 것 같다. 이런 말도 지금은 하는 게 너무 조심스럽다. 절대 그럴 리는 없지만 만약에 나중에 내가 유명인이 되면 여기에 이런 걸 쓴 것이 큰 장애로 작용해 사회적으로 그 자리에서 매장될 것이다.
세상의 진실 인간은 무지(無知)를 두려워한다. 거기에 공포와 불안이 있다. 모르면 뭐 거기에 대단한 거라도 있는 줄 안다. 그러나 가보면 별거 없다. 어설프게 알고 무서우니까 준비와 계획도 없이 마구 뛰어든다. 실은 별거 아닌데, 모르니까 대단한 거라도 있는 것 같아 잘 알지도 못하면서 뛰어들어 큰 낭패를 보고 실패를 한다. 뭘 하려면 그것에 대한 지식과 경력을 쌓은 다음에 해도 늦지 않고 그때는 별거 아니구나, 하고 깨닫는다. 이런 걸 깨닫는 사람은 얼마 안 되고 그냥 단순한 호기심과 공포로 우르르 몰려가서 손해 보는 인간들이 대부분을 차지하는 게 또 원래 세상의 이치다.
작가는 자기의 기질이 그러니까 외톨이 늑대 같이 혼자 활동하는 사람을 로망으로 생각하는 것 같다. 나도 그렇다. 참 멋있다고 생각한다.
하루키는 중간중간에 내용을 요약하는 버릇이 있다. 어떻게 보면 너무 친절하게 설명해 주는 것 같기도 하고. 인간들이 고약하게 이렇게 친절히 해설해 주면 그걸 좀 낮게 본다. 좀 이해가 안 가야 더 고급으로 보는, 못된 버릇이 인간에겐 있다. 고쳐야 하는데 안 고쳐진다. 인간의 허영심 때문이다. 빙빙 돌려봤자 결국 그 소리인데 괜히 빙징 돌려 말하면 고급으로 더 치니 미쳐도 단단히 미쳤다.
작가는 외롭다 열심히 하려는 사람을 도우려고 한다. 뭐든 안 하려는 사람을 도우려고는 하지 않는다. (계산적이지만, 자기에게 그로부터 나중에 돌아오는 게 없다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그래도 그가 젊으면 앞으로 희망이라도 있기 때문에 도우려고 하지만 그게 시간이 지나도 그러면 돕기를 그만둔다. 그 사람에 대해 포기하는 것이다. 그런데 대개 인간이기 때문에, 그 열심히가 자신도 바라거나 하려는 것이다. 자기 방향과 다른 열심이면 사람들은 거들떠도 안 본다. 독자가 자꾸 사라지는 시대에 작가는 자신이 바라거나 되려는 사람이 점점 줄어드는 직업이다. 작가를 도우려는 사람들이 점점 줄고 있다. 작가는 참 어찌 보면 위대한 사람들인데, 혼자서 외롭게 투쟁하고 있다. 사람은 결국 계산적이기 때문이다.
주어진 운명에 따르는 수밖에 형제 부모와 다 떨어져 지내고 부부가 헤어지기도 한다. 다 내 곁을 떠나갈 수 있다. 그러나 주변에 책을 좋아하고, 나와 비슷한 인간이 있고 이상형이 있으면 그와 좋은 시간을 보낼 수 있다. 의미 있고 보다 행복한 시간을. 결국 이렇게 된 건 내 개성이 너무 강하기 때문이다. 내가 그런 기질을 가지고 태어났기 그렇다. 나도 이대로 죽을 수는 없는 거니까. 내 일이 사람들과 안 어울리며 해야 하고, 그들이 너무 방해가 되어 결국 그렇게 된 이유가 가장 크다. 결국 나는 내 기질에 맞게 살아가야 한다. 그게 나를 늘 끌어당기고, 안 그러면 불행하기 때문이다. 운명과 설렘에 따르는 수밖에
이상을 가져라 요즘엔 리얼리스트라면 뭐라 안 하는데 아이디얼리스트라고 하면 한 번 다시 보면서 약간 비웃는듯한 인상을 정면으로 던진다. 그들은 대개 이상 같은 건 생각 않고 현실에 기반을 두고 그저 열심히 사는 사람들이다. 그들은 속으로 그럴 것이다. 어디 이상만 좇고 돈 없이 단 며칠만이라도 굶어 봐라. 그런 철딱서니 없는 소리가 또 나오나, 하고 속으로 생각하는 것 같아 기분이 안 좋다. 요즘 세상은 어떻게 된 게 ‘진지충’이라며 아예 그들의 말을 무시하고 들으려 하지도 않는다. 그들은 대개 지금 쥐뿔도 없으면서 말로만 그런 소릴 한다고 여긴다. 전엔, 젊은이들이여, 꿈을 가져라. Boys, be ambitious! 라고 외쳤지만 지금 그런 소리를 하면 비웃음만 산다. 말에도 유행이 있는데, 그 유행에 따라 몇 가지 소리만 들릴 수 있다. 그러나 사람은 여전히 유행 타기 전과 같은 그 사람들이고 생각도 그대로인데 전엔 곧잘 들리던 소리가 더이상 안 들린다는 것은 뭔가 정상이 아니란 얘기다. 여러 소리가 마구 들려오는 사회가 다양성에 있어 제약이 없는, 잠재력 있고 건강한 사회다. 대신, 몇 가지 소리만 들린다면 그 사회는 앞날이 암담할 뿐이다. 인간은 손가락의 방향으로 달을 봐야지 손가락만 보면 사실 방향을 잃고 그 자리에서 빙빙 돌 뿐이다. 제자리에서 돌기만 할 뿐 앞으로 나아가지 못한다. 마치 등대 같은 것인데, 망망대해에서 방향을 잃고 그곳만 헤매다가 격류에 휩쓸려 난파할 수 있지만, 폭풍 속에서도 등대라는 방향과 꿈, 목표가 있기에 무사히 육지에 안착할 수 있는 것이다. 처음에 방향을 정해 놓고 일을 해도, 현실에만 매몰되면 방향을 잃을 수 있다. 중간중간 수시로 자기가 나아갈 지향을 점검해야 한다. 그래야 이상이 자기를 현실의 어려움에서 구해준다. 자신이 놓인 현실이 더 알차지는 것은 물론이다. 현실에 발을 단단히 딛고 하늘의 이상을 놓치지 말아야 한다. 이런 사람은 이미 자신의 내부에 이상적인 면모가 자리한 사람이다.
작가의 울분 토하기 현실에서 뭐 하나 되는 게 없을 때, 작가는 현실을 개돼지처럼 개념 없이 사는 것처럼 보이는 인간들에게 말로 아닌 글로 속 시원히 퍼붓고 싶을 때가 있다. 그들은 왜 이 중요하고 위대한 것에 관심조차 없는가? 그들이 나를 무시하는 듯하고 너무 관심을 안 보여-그들은 실은 질투나 자기 상처로 작용할 것 같아 그런 것인데도-울화통이 터져 그런 말을 하고 싶은 것이리라. 또는 자기 글에 약간 비평하는 눈치라도 보이면. 언젠가는 그 개돼지에게 복수하리라. “예술에 대해 좆도 모르고 무식한 것들이 감히 뚫린 입이라고 내 작품에 대해 나불거려? 네가 뭔데 내 예술에 난도질을 하고 지랄이냐? 네가 그럴 자격이나 있냐? 그 머리로 내 작품을 이해하기는 하겠어? 그 더러운 입에 내 위대한 예술이 오르내리는 것 자체가 엄청난 모욕 덩어리다. 방금 내 심오하고 불가해한 작품이 네 입에 의해 마구 훼손되고 더럽혀졌다.” 이렇게. 천박하기 짝이 없는 사회에서 잘 풀리지 않는 작가는 예술가로서 속 시원하고 멋있게 이렇게 내지르고 싶은 것이다. (한편 이 작가는 과대망상증에 걸렸다.) 글을 너무 사랑하고 자기 글에 그동안 너무나 많은 노고와 심혈을 기울였지만 자기의 진정한 뜻에 대한 이해 불능인 숙물스러운 사회적 평가가 멋대로 자행되어 자기 글이 방금 쓰레기통에 처박힌 것 같을 때, 작가는 이러고도 남으리라.
작성
글타래
화제 모음
지정된 화제가 없습니다
[책나눔 이벤트] 지금 모집중!
[도서증정][작가와 함께]그리하여 사람은 사랑에 이르다-춤.명상.섹스를 통한 몸의 깨달음 [도서증정][김세진 일러스트레이터+박숭현 과학자와 함께 읽는]<극지로 온 엉뚱한 질문들> [📚수북플러스] 3. 깊은숨_수림문학상 작가와 함께 읽어요[도서 증정] 1,096쪽 『비잔티움 문명』 편집자와 함께 완독해요
💡독서모임에 관심있는 출판사들을 위한 안내
출판사 협업 문의 관련 안내
그믐 새내기를 위한 가이드
그믐에 처음 오셨나요?[메뉴]를 알려드릴게요. [그믐레터]로 그믐 소식 받으세요
[그믐클래식] 1월부터 꾸준히 진행중입니다. 함께 해요!
[그믐클래식 2025] 한해 동안 12권 고전 읽기에 도전해요! [그믐클래식 2025] 1월, 일리아스 [그믐클래식 2025] 2월, 소크라테스의 변명·크리톤·파이돈·향연[그믐클래식 2025] 3월, 군주론 [그믐클래식 2025] 4월, 프랑켄슈타인 [그믐클래식 2025] 5월, 월든[그믐클래식 2025] 6월, 마담 보바리 [그믐클래식 2025] 7월, 프로테스탄트 윤리와 자본주의 정신
7월 23일 그믐밤 낭독은 <리어 왕>
[그믐밤] 37. 달밤에 낭독, 셰익스피어 3탄 <리어 왕> [그믐연뮤클럽] 3. "리어왕" 읽고 "더 드레서" 같이 관람해요
수북탐독의 재미, 다시 한 번 더!
[📚수북플러스] 3. 깊은숨_수림문학상 작가와 함께 읽어요[📚수북플러스] 2. 귀하의 노고에 감사드립니다_수림문학상 작가와 함께 읽어요[📚수북플러스] 1. 두리안의 맛_수림문학상 작가와 함께 읽어요
우리가 몰랐던 냉전의 시대
[책걸상 '벽돌 책' 함께 읽기] #24. <소련 붕괴의 순간>[책걸상 '벽돌 책' 함께 읽기] #23. <냉전>[책걸상 '벽돌 책' 함께 읽기] #16. <마오주의>
반가운 모임지기들, 라아비현과 꼬리별
[라비북클럽] 불편한 편의점 북투어 같이 한번 읽어봐요 우리[밀리의 서재로 📙 읽기] 23. 종이 동물원
편집자와 함께 읽어요!
[김영사/책증정] ★편집자와 함께 읽기★ 《죽은 경제학자의 살아있는 아이디어: 개정증보판》[도서 증정] 내일의 고전 <불새> 편집자와 함께 읽어요!1인출판사 대표이자 편집자와 책읽기[도서 증정] <먼저 온 미래>(장강명) 저자, 편집자와 함께 읽어요!
바쁘지만 책은 읽고 싶어 by Oncoazim
올해 가을엔 산에 가야지 머리는 차갑게 좋아하는 것들을 찾기
극과 극은 통한다!
[도서증정][김세진 일러스트레이터+박숭현 과학자와 함께 읽는]<극지로 온 엉뚱한 질문들> [책걸상 '벽돌 책' 함께 읽기] #19. <호라이즌>
🎁 여러분의 활발한 독서 생활을 응원하며 그믐이 선물을 드려요.
[인생책 5문 5답] , [싱글 챌린지] 완수자에게 선물을 드립니다
서리북 아시나요?
<서리북 클럽> 두 번째_편집자와 함께 읽는 서리북 여름호(18호) 혼돈 그리고 그 너머서울리뷰오브북스 북클럽 파일럿 1_편집자와 함께 읽는 서리북 봄호(17호) 헌법의 시간 <서울리뷰오브북스> 7호 함께 읽기
문풍북클럽의 뒷북읽기
[문풍북클럽] 뒷BOOK읽기 : 7월의 책 <혼모노>, 성해나, 창비[문풍북클럽] 6월 : 한 달간 시집 한 권 읽기 [문풍북클럽] 뒷BOOK읽기 : 5월의 책 <죽이고 싶은 아이 1,2권>[문풍북클럽] 뒷BOOK읽기 : 4월의 책 <예술도둑>
모집중밤하늘
내 블로그
내 서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