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택에는 늘 장단점이 존재하지만 가족 그리고 아이를 키우는 것엔 왜 미안함이 따라다니게 되는지... 두 분의 용기와 고군분투에 경이로움을 느낍니다.
[책 증정] <선 넘은 여자들> 읽고 나누는 Beyond Bookclub
D-29

신이나
선넘은여자들에피3
감사합니다. 저도 자는 애들 얼굴보며 ‘미안해’라고 얘기한게 한두번이 아니네요. 그래도 요즘 초3정도 되니 말도 좀 통하고 해서 엄마의 삶과 일도 중요하다는 걸 조금씩 이해하고 있능거 같아서 갈수록 미안함이 좀 줄어들긴 합니다. 신이나님 너무 잘 하고 계실테니 응원합니다

Mystory
3,4 에피소드도 재미있게 읽었습니다. 설 연휴가 있어서 일정을 맞추지 못했네요.
저는 K-장녀라는 말이 기억에 남습니다. 저두 K-장녀거든요. 나이가 더 많으니 더 장녀다운 장녀로 살아왔습니다. 최근에 이런 나의 모습을 자각하며 조금은 다른, 나를 위한 삶을 꿈꾸고 있습니다. 안될것도 없는 일인데, 늘 가족과 타인을 위해 자신의 몫을 양보하며 살아야 될것 같은 책임감과 의무감이 있었던것 같아요. 작가가 거기서 벗어나 당당히 외국생활을 시작한 것이 기뻤고, 용기에 박수를 보냅니다. 내가 원하는 삶을 살아가는데 얼마나 중요한지 다시한번 느끼게 되었어요. 그리고 방희란 작가의 글에서는 고전을 읽고, 거기서 새로운 뭔가를 찾는 모습이 인상적이었습니다. 책이 주는 즐거움이야 말해무엇이지요. 타국 생활에서 고전을 통해 새로운 도전을 하려는 모습이 좋았고, 꼭 좋은 결과를 내기를 바랍니다.
선넘은여자들에피3
감사합니다. K장녀로 저도 여전히 살고 있기는 하지만 요즘 저희 엄마는 저한테 ‘결혼하고는 니 맘대로 살고 있잖아’ 라는 부러움 섞인 말을 하시고는 한답니다. 삶의 가치와 방향성이 계속 바뀐다는 걸 이해하고 가끔은 그 흐름과 본능에 몸을 맡겨보는 도전(?)이 생각보다 괜찮을 수 있더라구요. Mystory님도 멋진 마이스토리 만들어 가고 계심에 응원을 보냅니다

이짜
워킹맘과 스테이홈 맘도 공통점이 많구나 하면서 읽었습니다. 저는 집에 있으니 지금 아이를 위해 사는 이 삶이 맞나? 이런 생각으로 괴로운데 회사가 없다면? 이라는 생각이 드신다니. 막연하게 지금까지 커리어가 있으니 워킹맘들은 괜찮겠구나 싶었거든요. 결국 나를위한 삶이 주체가 되어야 다른 것들도 의미가 있겠구나 싶었습니다. 두분 다 너무 부러운 점은, 커리어가 끊어지지 않게 스스로 기회를 잡으려고 많은 노력을 기울이셨던것입니다. 저는 집에 있다보면 다른건 괜찮은데 제 사회성 자체가 쪼그라드는 기분이 들면서 의욕이 떨어지는걸 느꼈거든요. 저와는 다르게 그 공백을 줄이기 위해서 많은 노력을 하셨을것 같다는 생각이 들어요.
선넘은여자들에피3
이짜님 의견 감사드리고 동의합니다. ‘나’ 라는 사람이 바로 서야 몸도 마음도 건강하고 사람들을 바라보고 베풀 수 있는 여유, 무언가 시작하는 용기가 생긴다고 생각해요. 지금 환경에서도 조금씩 움직이시고 기회를 만들어 나간다면 그 점들이 모여 커다란 흐름을 만드실 수 있을거에요. 응원합니다
레몬레몬
금문혜 작가님의 이야기를 읽으면서, 남편분이 직장을 그만두고 싱가폴에 함께 가신 부분과 싱가폴에서 자신의 네트워크와 시간을 보내도록 노력하시는 부분이 인상적이었습니다. 네트워크를 만들고 자신만의 시간을 보내는 부분에서 아무래도 한국에 있어도 그런 부분이 필요한데, 한국이라는 이유로 그런 부분을 놓치고 있지 않았나 하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방희란 작가님의 이야기를 읽으면서, 코로나 19가 어떻게 큰 변화를 만들었는 지를 생생하게 느끼게 되었습니다. 기회는 선택의 순간이라는 제목과 더불어 다시 워킹맘으로 돌아가 자신의 일과 아이의 육아에 스스로를 적응(?)시키고 워킹맘이었던 순간으로 돌아가는 부분이 인상 깊었습니다. 아무래도 싱가폴에서 아이의 학교를 정하는 게 가장 어려웠을 텐데, 그 부분을 담백하게 넘어가시고 숲속의 학교를 선택하시고, 그 적응기간이 아이도 부모님도 모두 힘들었을텐데 그런 힘든 부분 보다 현재 모두가 잘 적응한 상태를 보여주신게 인상 깊었습니다.

띵북
싱가포르의 교육이 한국 교육과 별반 다름없음에 놀랐어요. 외국에 가면 아이들이 사교육없이 자유로운 교육환경에서 지낼줄 알았는게 싱가포르의 경쟁도 심하군요.
화제로 지정된 대화

비욘드
B-2. 읽으면서 함께 공유하고 싶은 문장을 적어주세요.

아린
다른 사람의 이야기보다 중요한 것은 나의 마음이니까. 나만큼 나에 대해 고민하는 사람은 없으니까
『선 넘은 여자들 - 바다 건너 길을 찾은 해외 워킹맘들의 이야기』 P.108, 김희정 외 지음
문장모음 보기

Alice2023
“ 가 보지도 않은 길을 보며 울퉁불퉁해서 힘들어 보인다고 말하는 것은
내가 원하늩 삶의 방향이 아니다
실패하더라도 어떤 길인지 걸어본 뒤에
그 길이 힘들었고 나에게 맞지 않았다고
이야기 하는 것이 훨씬 더 큰 만족감을 준다 ”
『선 넘은 여자들 - 바다 건너 길을 찾은 해외 워킹맘들의 이야기』 김희정 외 지음
문장모음 보기

riverside
“ 내가 경험하지 못했던 것, 그러니까 옛사람들의 지혜로부터 마음의 평화를 얻었고 나의 세상도 조금씩 넓어지고 있었다. 독서는 당장의 복잡한 문제를 해결해주시는 않았지만, 나를 안정시켜 주기에 충분했다. ”
『선 넘은 여자들 - 바다 건너 길을 찾은 해외 워킹맘들의 이야기』 p.134, 김희정 외 지음
문장모음 보기

눈누난나
“
그리고 소소한 즐길 거리에 집중하느라 늘 손에는 휴대폰을 쥐고 있었다. 어느 날 그런 내 모습이 갑자기 한심스럽다는 생각이 들었다. 무언가 매일 30분이라도 투자했다면... 미래가 덜 불안할텐데. 지금이라도 터닝포인트를 만들어 보기로 했다. ”
『선 넘은 여자들 - 바다 건너 길을 찾은 해외 워킹맘들의 이야기』 에피4_방희란 p.133, 김희정 외 지음
문장모음 보기

눈누난나
“
하지만 가 보지도 않은 길을 보며 "울퉁불퉁
해서 힘들어 보인다"고 말하는 것은 내가 원하는 삶의 방향이 아니다. 실패하더라도 어떤 길인지 걸어 본 뒤에 "그 길이 힘들었고 나에게 맞지 않았다"고 이야기 하는 것이 훨씬 더 큰 만족감을 준다. ”
『선 넘은 여자들 - 바다 건너 길을 찾은 해외 워킹맘들의 이야기』 에피 3_금문혜 p.109, 김희정 외 지음
문장모음 보기

신이나
“ 나이는 숫자에 불과하다고 하지만 막상 선택의 순간이 되면 나이는 생각보다 많은 압박을 준다. 그러나 무게를 감당할 수 있다면, 그리고 정말 해보고 싶은 일이라면 깊게 생각하지 말고 'GO' 하기를 바란다. 다른 사람의 이야기보다 중요한 것는 나의 마음이니까. 나만큼 나에 대해 고민하는 사람은 없으니까. ”
『선 넘은 여자들 - 바다 건너 길을 찾은 해외 워킹맘들의 이야기』 P.108, 김희정 외 지음
문장모음 보기

이짜
독서는 당장의 복잡한 문제를 해결해 주지는 않았지만 나를 안정시켜 주기에 충분했다. 그리고 안정감을 바탕삼아 새롭게 가야 할 방향을 안내해줬다.
『선 넘은 여자들 - 바다 건너 길을 찾은 해외 워킹맘들의 이야기』 134, 김희정 외 지음
문장모음 보기

이짜
실패하더라도 어떤 길인지 걸어 본 뒤에 그 길이 힘들었고 나에게 맞지 않 았다고 이야기하는 것이 훨씬 더 큰 만족감을 준다.
『선 넘은 여자들 - 바다 건너 길을 찾은 해외 워킹맘들의 이야기』 108, 김희정 외 지음
문장모음 보기

띵북
결국 다름을 인정하는 것이 해외살이에 적응하는 기본이었다.
『선 넘은 여자들 - 바다 건너 길을 찾은 해외 워킹맘들의 이야기』 p.93, 김희정 외 지음
문장모음 보기
화제로 지정된 대화

비욘드
B-3. [선택] 금문혜 작가, 방희란 작가에게 궁금한 점을 알려주세요. 특별히 궁금한 점이 없다면 응원의 메시지나 전하고 싶은 이야기를 자유로이 적어주셔도 좋습니다.

아린
싱가폴 생활을 하면 한국보다는 취미활동할 여건이 좋다고 말씀해 주셨는데..한국에서는 못해보거나 생각해보지 못했던 여가나 취미 활동이 있으신지 궁금해요.
작성
게시판
글타래
화제 모음
지정된 화제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