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물의 의인화가 '문어'편보다 더 강해서 재미있었어요. 러시아어로 "도와주시오..." 처음 내뱉는 대사가 분명 슬픈 상황인데 왜 재미있죠. 미안하다 예브게니야.
독자 입장에서 검은 덩어리들 조직이 내 편인지 아닌지 아직은 혼란스럽지만 임무 수행 중에 민간인 집에서 대게 다리 뜯어먹는 사람들이 딱 내 편은 아닐지라도 빌런은 아니겠단 생각에 앞으로 더 마음 편히 읽을 수 있을 것 같아요. 소설의 시간대가 첫 번째 작품부터 쭉쭉 앞으로 흘러나가는 게 인상적이네요. 그믐에서 누군가가 시트콤이라는 표현을 쓰셨던 것 같은데 그게 맞는 것 같아요. 연출 잘 된 독립 단편영화X시트콤 보는 기분으로 잘 읽고 있습니다. 그렇다면 대게, 아니 예브게니도 분명 조연상을 받아야겠지요.
[책 증정] <지구 생물체는 항복하라> 읽고 나누는 Beyond Bookclub 2기
D-29
책벌레
poiein
부부가 된 두 사람과 검은 정장, 문어와 대게는 자연스럽게 다가오는데 시어머니가 대게와 검은 정장 등을 대하는 장면에선 이질감이 느껴졌어요. 그런데 이 소설이 동일한 등장인물들의 연작이라는 점에서 앞으로 시어 머니의 활약이 또 궁금해지더라구요:)

신이나
대게철엔 이 책이 생각날 것 같아요. 대게를 사러가면 발하나 떨어진 것은 좀 싸게 살 수 있거든요. 그런 대게에게 심지어 말도 하는데 일을 시키고 부득이하게 다리 하나를 내어놓아야하는 그 모든 상황이 참 기억에 남네요.

솔빛
현실의 인물과 러시아와 대게 국제 문제가 부딪치고 거기서 만들어지는 이야기가 재밌었습니다.

유진초이
남편이 이길거 같으니까 싸우는 건 아니고,
도망칠 데가 항상 있으니까 싸우는 것도 아니고,
세상을 바꾸려고. 한 말이 작가님이 하고픈 말이구나. 싶었어요.

선경서재
언어적 "대게" 노동자 구조를 위해 나선 전 위원장님 현 남편과 아내라니요! 해양 수산물 좋아하는 위원장님도 검은 정장의 사람들도 왜 귀엽죠? 작가님의 귀한 재능(러시아 전문 배경지식 및 러시아어)을 이렇게 나눠주시다니… 감사합니다~
화제로 지정된 대화

비욘드
2-2. 읽으면서 인상적이었던 문장을 적어주세요.

마키아벨리1
남자들은 어째 상대방이 자기와 같은 비장애인 성인 남성이 아니면 아무것도 모를 거라 생각하고 다들 아는 사실을 길게 설명하는 앙증맞은 버릇이 있다고 나는 조금 짜증스럽게 생각했다.
맑은주
비인간 생물들이 아무것도 하지 않았는데 인간이 망쳐버려 살 수 없게 된 바다, 부서진 해저, 죽은 땅과 도망칠 곳 없이 좁아져버린 지구가 한없이 미안했다.
『지구 생물체는 항복하라 - 정보라 연작소설집』 p.84, 정보라 지음
문장모음 보기

도리
이 문장도 공감됐어요. 허허.

도리
엇 마키아벨리님 문장에 대한 답글이었는데요. 맑은 주님이 공유해주신 문장도 와닿네요.
지혜
이길 것 같으니까 싸우는 건 아니잖아요.
『지구 생물체는 항복하라 - 정보라 연작소설집』 66쪽, 정보라 지음
문장모음 보기
맑은주
비인간 생물들이 아무것도 하지 않았는데 인간이 망쳐버려 살 수 없게 된 바다, 부서진 해저, 죽은 땅과 도망칠 곳 없이 좁아져버린 지구가 한없이 미안했다.
『지구 생물체는 항복하라 - 정보라 연작소설집』 p.84, 정보라 지음
문장모음 보기
게으른독서쟁이
“ "그러니까 싸워야죠."
잠든 줄 알았던 남편이 중얼거렸다.
"싸워서 못 하게 해야죠."
"그렇지만 어떻게요? 게는 집게발이 전부인데 이걸 다 어떻게 막아요?"
"이길 것 같으니까 싸우는 건 아니잖아요."
남편이 돌아누우며 웅얼웅얼 대답했다.
"도망칠 데가 항상 있으니까 싸우는 것도 아니고."
"그럼 오빠는 왜 싸우는데요?"
세상을 바꾸려고,라고 그는 말했었다. 학생 시절에 그 어느 편에도 속하지 않으면서 모든 조직에 속해서 가장 험한 현장에서 가장 격렬하게 싸웠던 이야기를 그는 자주 들려주었고 그래서 내가 언젠가 물어보았다. 세상을 바꾸려고. 그래서 그렇게 싸운 끝에 세상이 바뀌었느냐고 묻는다면, 그렇게 그가 현장에서 30년을 보낸 지금, 그는 세상이 바뀌었다고, 자신이 세상을 아주 조금이나마 바꾸었다고 말할 수 있을 것이다. 30년이나 지나서, 눈가에는 주름이 생기고 손목과 어깨와 허리가 수시로 아프게 된 지금에야 말이다. 싸워서 세상을 바꾼다는 건 그런 것이다. 주로 허리와 어깨가 아픈 작업이다.
"안 싸울 수는 없잖아요."
남편이 돌아누워 나를 쳐다보았다.
"열받으니까." ”
『지구 생물체는 항복하라 - 정보라 연작소설집』 <대게> p.66~67, 정보라 지음
문장모음 보기
게으른독서쟁이
“ 그가 자신의 싸움을 해왔고 지금도 하고 있듯이 내가 나의 싸움을 하고 있다는 사실을 인정했다. 그게 어떤 싸움인지 서로 언제나 이해하지는 못하더라도 말이다.
그래서 이 사람하고 결혼했다고, 나는 답답하고 따뜻한 남편의 팔에 갇힌 고개를 힘겹게 돌려 자세를 고치며 생각했다. 이 남자와 결혼한다면 마지막 순간까지, 그게 언제가 될지는 모르겠지만, 싸울 수 있을 것 같았다. 질 줄 알면서도, 도망칠 수 없다는 걸 알면서도, 언젠가는 끌려 나가 사라지더라도 어쨌든 끝까지 고개를 높이 들고 목청껏 외치면서 사라질 수 있을 것 같았다. 그게 인간을 위해서든, 난데없이 등장한 대게를 위해서든 말이다. ”
『지구 생물체는 항복하라 - 정보라 연작소설집』 <대게> p. 68~69, 정보라 지음
문장모음 보기

도리
저도 이 부분 좋았습니다.
게으른독서쟁이
“ 권력기관은 인간이 만들었지만 인간의 생명조차 존중하지 않아요. 인간이 아닌 생물도 똑같이 이 지구에서 살아갈 권리를 가지고 있다는 사실을 인정하지 않을 거예요. 그러니까 떠나요. 잔인한 권력이 쫓아오지 못하는 곳으로 가요. 가서 행복하게 살아요. ”
『지구 생물체는 항복하라 - 정보라 연작소설집』 <대게> p. 84, 정보라 지음
문장모음 보기
게으른독서쟁이
"위원장님 아니에요!"
내가 소리를 빽 질렀다.
"벌써 임기 끝났다고요!"
『지구 생물체는 항복하라 - 정보라 연작소설집』 <대게> p.81, 정보라 지음
문장모음 보기
보는어니
(예브게니는 살아있다.)
『지구 생물체는 항복하라 - 정보라 연작소설집』 89쪽, 정보라 지음
문장모음 보기

도리
“ "쟈(남편을 뜻한다)는 교수가 될 줄 알았는데 빨갱이가 돼가지고 데모하는 게 뉴스에 나오더니 이제는 게한테까지 데모하는 걸 가르치고 남세스러워서 원······."
어머니가 이렇게 불평하셨고 대게가 러시아 출신이므로 아마도 원래 빨갱이일 가능성이 높다는 사실을 알려드려야 하는지 내가 고민하는 사이에 '너도 얼른 자라' 하시더니 안방으로 표표히 들어가 문을 닫으셨다. ”
『지구 생물체는 항복하라 - 정보라 연작소설집』 p.63, 정보라 지음
문장모음 보기
작성
게시판
글타래
화제 모음
지정된 화제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