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이열매 시인님께 궁금한 게 있습니다. 많이 받으신 질문일 거 같지만... 법학을 전공하셨다고 작가 소개에서 읽었는데 (예비) 법조인의 삶과 시인의 삶을 분리해서 생각하시는지, 혹은 시인님 내부에서 법과 시 사이에 서로 주고 받는 영향이 있다고 보시는지 궁금합니다.
[책 증정]내일의 문학을 가장 빠르게 만나는 방법! <셋셋 2024> 출간 기념 독서 모임
D-29

안슈씨
이열매
음... 먼저 저는 법학 전공자는 맞지만, 법조인으로서의 삶을 살고 있지는 않아요. 이전에는 법학을 연구 했었고, 지금은 그와 다소 거리가 있는 삶을 살고 있다는 점을 말씀 드려야 할 것 같아요. 그래도 전공 공부를 10년 가량 했으니 그 안에서 주고 받는 영향이라는 것은 있을 듯 하지만, 구체적으로 실감 하지는 못하고 있어요.

안슈씨
답변 감사합니다. :)
황해담
아 맞아요. '읽는다' 보다 '본다'라는 말이 더 맞는 것 같습니다. 공감돼 요. 이수명 시인님이나 이제니 시인님 시집 추천합니다. 저는 시가 진짜 좋다, 라고 느꼈을 때 이수명 시인님의 <물류창고>를 읽었을 때였어요. 그때부터 시를 어떻게 읽어야 하는지 알게 된 것 같아요.

한겨레출판
아하 추천해주신 시집 꼭 보겠습니다ㅎㅎㅎ 시를 '읽으려고'하지 말고 '보려고'해야겠어요.

김새섬
시집 제목이 흥미로워요. 추천 감사합니다.

물류창고문학과지성 시인선 510권. 총 열 편의 시가 수록되었다. 특별한 구분 없이 불쑥불쑥 등장하는 「물류창고」를 통해 주체와 대상의 경계가 불분명해지고, 그에 따라 어떤 행위를 하는지 명확한 의미를 부여하기 어려운 행위들이 무한히 반복하는 공간으로서의 물류창고를 보여줌으로써, 시인은 ‘무효’로 수렴하는 시적 언술을 향해 전진하는 말들을 풀어낸다.
책장 바로가기
dada
작가님들, 혹시 수록된 각 세 작품 중에 가장 애정하는 시가 있을까요? :) 이유도 궁금합니다!
jjye727
어려운 질문인데요 ㅎㅎ 오늘의 저에게 특별히 와닿는 시는 <날짜를 떼어내 모퉁이에 심었다>예요. 요즘 날이 풀려 조금씩 따뜻해지고 있는데요. 그래서인지 밖에 나가서 헤매다가 엉뚱한 곳에 가봐도 좋겠다, 하는 생각이 드는 것 같습니다 ㅎㅎ
이열매
저의 경우에는 제가 쓴 시에 대해 특별히 감정을 가지게 되지는 않는 것 같아요. 산뜻한 느낌이 드는 시를 고른다면 <무단 오페라>입니다. 초고를 굉장히 빨리 썼어요...
황해담
아 어렵네요..! 질문을 받고 오래 고민을 해봤는데 정말 똑같은 것 같아요. 오래 생각을 해봐야겠어요. 세 편 모두 내밀한 이야기라서 다 애정을 품고 있습니다.

한겨레출판
@gamja 감자님, 요 질문의 타래를 살펴보시면 답변이 되실 것 같습니다ღ'ᴗ'ღ
gamja
오 감사합니다. 시 한편 작가님들의 설명도 궁금했어요. 어떤 의미를 담으신건지... 이렇게 모든걸 다 이해하려고 읽으면 시가 아닌걸까요?

한겨레출판
흑흑 마자용... 완벽하게 이해하려고 해서 더 어려운거 같아요;ㅁ;
살구나무집
다른 분들의 댓글만 읽고 있어도 흥미진진입니당 ㅎ
살구나무집
저도 오늘 문장을 수집하고 낱말을 좀 주워갈게요 ㅎ

안슈씨
이지혜 작가님께도 여쭤봅니다. 시와 소설을 다 쓰시는데 작가님께는 두 작업이 많이 다른지, 아니면 같은 결로 느껴지시는지 궁금합니다. 한겨레교육의 시 워크숍에 참여하셨고, 동네서점 책인감에서 단편소설 쓰기 수업도 진행하실 예정으로 압니다(아니라면 죄송합니다). 시와 소설을 배우려면 아무래도 합평을 해야 할까요? 시 쓰기와 소설 쓰기가 합평에서 얻을 수 있는 바가 조금 다를까요?
jjye727
저에게는 완전히 다른 작업이라고 여겨져요. (아마 이 생각이 나중에 또 달라질 수도 있을 것 같은데요 ㅎㅎ) 시는 저와 더 가까워지는 작업이고, 소설은 저에게서 점점 멀어지는 작업인 것 같아요. 문장을 쓸 때도 다른 방식으로 고민해서 써야하는 것 같구요. 병행하는 게 아직 좀 어렵게 느껴지기도 하지만, 시를 쓸 때와 소설을 쓸 때 다른 즐거움을 느 끼게 돼서 앞으로도 시와 소설을 같이 쓰고 싶습니다 :D
합평에 대해서는... 제가 쓴 글을 객관적으로 보게 해주기 때문에 필요하다고 생각해요. 시든 소설이든 내 글을 객관적으로 보게 해준다는 점에서는 얻을 수 있는 게 비슷할 것 같습니다. 충분한 대답이 될지 모르겠는데요... 혹시 또 궁금한 점이 있으시면 말씀해 주세요 :)

안슈씨
답변 감사합니다. 시 작업도 소설 작업도 모두 응원하겠습니다. :)
jjye727
응원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앞으로도 열심히 쓰겠습니다 :D
페브리즈
황해담 작가님이 쓰는 시어가 재밌다고 생각했었는데 따로 단어를 채집하시나요?
작성
게시판
글타래
화제 모음
지정된 화제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