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지님 반갑습니당ㅎㅎㅎ
[책 증정]내일의 문학을 가장 빠르게 만나는 방법! <셋셋 2024> 출간 기념 독서 모임
D-29

한겨레출판
jjye727
안녕하세요 :) 반갑습니다~!
황해담
독자 님들께 질문을 드립니다. 일단 정말 재밌게 읽어주셔서 감사하고요..! 소설과 시 리뷰를 둘 다 읽어봤는데 전반적으로 시가 어렵다는 이야기를 많이 본 것 같아요. 제가 학교다닐 때부터 생각한 건 일단 내 텍스트(언어)가 독자에게 와닿았으면 좋겠다, 라는 거였습니다. 그런데 현대시가 난해하다, 라는 느낌을 많이 받으시는 것 같더라고요. 혹시 독자님들이 생각하기에 시를 읽는 즐거움은 무엇이라고 생각하실까요?
gamja
학창 시절 늘 문구 하나하나 분석해 가면서 배우다 보니 시에 담긴 모든 의미를 알아야만 할거 같아요. 그래서 뭔가 다 해석하면 성취감이 느껴지기도 하고요. 쉬운 시들은 공감하면서 지적 허영심에 차기도 합니다. ㅎㅎ

한겨레출판
저는... 감상할 때 머릿속에서 상상이 되어야 하는데, 이게 제 머릿속에서 상상이 잘 안되면 난해하다고 느껴지는 것 같아요. 흑흑 저의 능력부족입니다.
gamja
저도 비슷해요. 머릿속에 그려질때? 이미지로 잘 구현될때 좀 더 재미있게 다가와요.
게으른독서쟁이
생각치 못했던 은유가 너무 공감되어 마음에 들어올 때 즐거운 것 같습니다.
그런데 가끔은 제가 받아들이지 못하는 시적언어들을 볼때 내꺼로 소화하고 싶은데 안되서 좀 답답합니다.

yeonny
저는 시를 많이 접해보진 않았지만
시 속에 들어간 느낌을 받을때,
작가님들의 표현법에 놀랄때가 즐거워요.
어떻게 이런 표현을 하시지?! 하면서
필사해두는 재미도 있더라구요. (๑ᵔ⩊ᵔ๑)
그치만 아직 시는 어려운 거 같아요. 여러번 읽어도
파악이 안될때면 해설을 듣고싶어져요.
러블리윤지
최근 독서모임에서 시집 읽기를 하게 되었는데, 단편 시가 아니라 통 시집을 처음 읽어 보았어요. 단편의 시를 해석하려 하면 넘 어렵지만, 시집을 한 권 다 읽으면 무언가 시인이 말하려는 것이 희미하게라도 나를 통과하는 느낌을 받고, 첫 시와 표제시.끝 시는 어떤 의미가 있을까 생각도 하고, 두번 세번 곱씹어 읽어 보니, 어렵다는 느낌보다 조금은 알것 같은 기분좋은 나만의 해석이 생기는 것 같아요. 그럼에도 여전히 이해하기 어렵지만, 이해하기보다 그저 읽고 그대로를 바라보려합니다. 저만의 해석들도^^ 나름 재미있게 생각되고요.
gamja
우와 통과한다는 느낌 무엇인지 저도 느껴보고 싶네요.

김새섬
질문 주시니까 곰곰 생각하게 되네요. 시인님들한테 질문 던질 땐 편했는데 갑자기 답하는 처지가 되니까 어려워졌어요. ㅎㅎㅎ 생각 중~

김새섬
@러블리윤지 님처럼 저도 저만의 해석이나 감상을 즐기는 편이에요. 시가 주는 즐거움은 그 공백에서 나오는 것 같아요. 작품 속에 독자인 내 자리가 있다는 것.
일례로 김행숙 시인의 <아침에 일어나는 일>을 읽고 저는 사랑시라고 해석했는데요, 그 때 그 시에서 제가 굉장히 흥미롭게 본 점은 문장 부호의 사용이었어요. 짧지 않은 그 시에는 문장 부호가 딱 한 번 나오는데요 '끝났다' 라는 단어 뒤에 나오는 쉼표에요. '끝났다' 라는 말 뒤에는 마침표가 나와야 자연스러울 것 같은데 쉼표를 쓰셨어요. 시 속의 화자는 우리 사이가 끝난 것이 아니고 잠시 쉬어가는 것이라고 끝끝내 믿고 있는 게 아닐까... 싶었습니다.
시를 읽으면서 시인은 행갈이를 여기서 왜 했을까? 왜 이 부호를 썼을까? 왜 이 단어가 나오지? 이런 생각들 하면 재미있어요. 약간은 추리소설과도 비슷합니다. ^^
gamja
행갈이까지 고민하며 읽어본 적은 없는데 말씀을 들으니 그동안 제가 너무 대충 읽은게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드네요.

안슈씨
생각지도 못한 비유나 표현을 접하면 반갑고 세상을 다른 시선으로 바라볼 수 있게 되어 즐겁습니다. 평소에는 세상을 투박하게 보고 있었는데 시 덕분에 세상 전체는 아니더라도 그 일부를 섬세하게, 혹은 대담하게 관찰할 수 있게 되는 거 같고요. 그런데 현대시 중에 어떤 시들은 그냥 패션쇼의 난해한 옷처럼 느껴질 때가 있습니다. 의도는 얄팍한데 포장이 거창한 것 아닌가 의심할 때도 있습니다.
게으른독서쟁이
어떤 현대시들에 대한 말씀이 제 맘과 똑같네요.
gamja
그리고 뭔가 동화를 읽을때와 비슷한 느낌을 받으면 기분이 좋더라고요. 순도 100프로의 순수함 같은 시를 만나면 소장하고 싶어요.
게으른독서쟁이
시인 님들께서는 동료 시인들의 작품들을 읽을 때 대체로 쉽게 받아들여지시나요?? 전 심사위원 또는 평론가들의 해설을 읽을 때 되게 신기하거든요.

김새섬
저도 평소 궁금했어요.

안슈씨
저도 늘 궁금했습니다.
황해담
쉽게 읽히지 않아요. 단 오래 읽어보려고 합니다. 러블리윤지님께서 시집 한 권을 다 읽으면 희미하게라도 시를 통과하는 느낌을 받는다고 하셨는데 정말 공감해요. 그리고 평론도 읽어보아요. 와, 이렇게 읽을 수 있구나. 라는 생각에 제 시세계가 확장되는 느낌도 받고요.
작성
게시판
글타래
화제 모음
지정된 화제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