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임
10. 5부 마지막에서 소설의 한 등장인물이 주인공에게 “아마도 너는 네 인생의 화두를 찾은 것 같구나……”라고 말합니다. 어쩌면 그건 그 인물이 자기 자신에게 하는 말인지도 모르겠습니다. 여러분은 평생에 걸쳐 고민하는 주제가 있으신가요? 혹은 인생의 모토나 좌우명이 있으신가요?
[장맥주북클럽] 1. 『크로노토피아』 함께 읽어요
D-29
화제로 지정된 대화

장맥주

장맥주
저의 좌우명은 ‘항상 미소를 잃지 말자’입니다. 몸에 문신으로도 새겼습니다.

siouxsie
와~문신 있는 사람 섹시하던데~
저한테 있는 문신이란곤 눈썹 문신뿐이네요 부러워요

장맥주
명조체라서 더 섹시한 거 같습니다. 그 문장 말고도 몸에 문신이 좀 있습니다. ^^;;;

임쿨쿨
와,,, 반전있는 작가님 (미소 지으며 방긋)

장맥주
숫자, 한자, 한글, 이것저것 있어요. ^^
소피아80
저의 좌우명은 "오늘을 살자"입니다.
지금까지 살아오면서 역시나 인생은 계획대로 흘러가지 않는다는 걸 경험했어요. 그 후로는 오늘, 지금, 이 순간을 충실히 살아가기고 마음먹고 실천 중이에요. carpe diem

장맥주
오 캡틴, 마이 캡틴!

siouxsie
저랑 초콤 다르지만 같네요
'오늘이나 잘 살자'였다가 이젠 '지금(이순간)이나 잘 살자'로 바꿨어요

조영주
저의 화두는 '구원'입니다. 아주 어렸을 때엔 독실한 크리스찬이라서 매일 기도를 하며 신이 저를 이 상황에서 날 구원해주길 간절히 바랐었는데요, 크고 나서야 "구원은 셀프"라는 사실을 깨달았습니다. 그게 결국 소설의 화두가 되어 꾸준히 소설을 쓸 수 있게 되었네요.

siouxsie
저도 안 구해주시고
시험 전날 학교에 불도 안 질러 주시잖아요
전 비겁하지만 도망을 잘 가는 것 같아요
다들 도망하면 현실을 직시 못한다고 하는데 전 의외로 도망으로부터 많은 도움을 받았어요

장맥주
너무 큰 책임을 견디다 못해 몸이 망가지거나 극단적인 선택을 하는 분도 드물지 않잖아요. 저는 진심으로 도망도 한 가지 방법으로 고려할 줄 아는 판단력과 도망칠 용기도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그런데 도망을 진지하게 가르쳐주는 사람이나 기관이 없어요.

바닿늘
최근 도망치라고 말해주는
사람들이 늘고 있는 추세라고
종종 느낍니다.
제 생각에 우리나라는 특히 더
사회적으로 도망치는 방법을
가르쳐야 한다고 종종 느낍니다.
어느새 관습이 되버린 것 같아서요..
이와 관련하여 최근 재밌게 본
책은 <퀴팅> 입니다.

퀴팅 : 더 나은 인생을 위한 그만두기의 기술저자는 퓰리쳐상 수상 작가답게 150여 명에 달하는 신경과학자, 진화생물학자, 심리학자 등의 전문가와 퀴팅을 통해 적극적으로 인생을 바꾼 사람들에게 이야기를 들으며, ‘퀴팅’에 대한 잘못된 인식이 어떻게 개인과 사회의 가능성을 제한하는지를 파헤쳤다.
책장 바로가기

장맥주
이 책 정말 읽어보고 싶네요. 추천 감사합니다. 도망치는 게 분 명 능사는 아닐 텐데, 그게 최선인 때도 있는 거 같습니다.

장맥주
노루가 사냥꾼의 손에서 벗어나는 것 같이, 새가 그물 치는 자의 손에서 벗어나는 것 같이 스스로 구원하라. (잠언 6:5)

siouxsie
아멘 ㅎㅎ

메롱이
인생의 모토나 좌우명이 매번 있었던 거 같은데 마치 학교의 급훈처럼 어느 시기가 지나면 퇴색하고 바뀌더군요. 아래 문신으로 새기셨다는 일화를 접하니 스스로 심지가 굳건하지 않은 거 같아서 반성이 됩니다. 모르긴 몰라도 일제 시대 때나 몽골이 침략하던 시절에 태어났으면 끝까지 저항하지 않고 도중에 대충 변절했을 거 같습니다.
최근 2년 정도 지속해온 인생의 화두는 '근손실을 지키자'입니다. 지구의 무시무시한 중력으로부터 몸과 마음이 멀쩡하려면 코어 근육이 필수적이고 결국 근손실의 문제로 귀결되더군요. 그런데 타투로 근손실 관련 문구를 새겨놓으면 돼지고기의 푸르스름한 검인 도장 같은 느낌이라서 민망할 거 같긴 하네요.

장맥주
저도 목욕탕이나 수영장에서 문신 때문에 떨떠름한 눈길을 겪곤 해요. 너무 긍정적인 명조체 한글 문장이 ‘착하게 살자’ 같은 느낌으로 전달되나 봅니다. 돼지껍데기에서 푸른 도장 흔적을 보면 ‘식용 잉크 맞겠지?’ 생각하고 맛있게 먹었습니다. 요즘은 고기를 잘 안 먹으려고 하지만...

새벽서가
위에 9,10번 질문에 이어 또 9,10번 질문이… 우리 질문도 루픈가요? 하하하
좌우명이라… 비슷한 마음으로 살게 하는건 있습니다.
’내 몫은 철저히 준비하고 나머지는 운명에 맡겨라‘

장맥주
후후후... 이번 넘버링의 숨은 의미를 빠르게 간파하셨군요. 적어주신 문장이 ‘운칠기삼’보다 훨씬 멋지게 들립니다. ^^
작성
게시판
글타래
화제 모음
지정된 화제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