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그런 환경을 위해서 형식적이며 탈맥락적인 평가는 지양되어야 한다. 학생들이 학교에서 하는 것과 사회가 그들에게 요구하는 것이 점점 유사해지기 때문이다. 누가 훌륭한 리더가 될지를 판별해주는 별도의 시험이 있을 리 없다. 리더십은 자연스러운 환경에서 나타나고, 그 자체가 리더십을 증명하기 때문이다. 마찬가지로 누가 더 이성에게 매력적인지, 누가 더 축구를 잘 하는지, 누가 더 연주를 잘하는지, 누가 더 법률을 잘 제정하는지를 평가할 수 있는 검사도 없다. 우리가 지능검사를 고안한 것은 그 총체적 특성을 실제 세계에서 쉽게 관찰할 수 없었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때의 지능—단일하고 측정 가능한 능력으로 간주되는—은 결코 성공적인 개념이 아니다. ”
『다중지능 - 하워드 가드너』 10장 표준화된 시험의 대안을 찾아서, 하워드 가드너 지음, 문용린.유경재 옮김
문장모음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