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부분 읽으면서 그리 오래 전도 아닌데, 아.. 그땐 그랬었지 하며 흠칫 놀랐습니다. 영원히 계속될 것만 같았던 팬데믹도 지나가고 아무 일도 없었다는 듯이 일상을 살고 있네요.
[장맥주북클럽] 2. 『괴로운 밤, 우린 춤을 추네』 함께 읽어요
D-29

가리봉탁구부
게으른독서쟁이
짦은데 짠하면서 찡하면서... 그래도 앞으로 이 남자는 어떻게 살라그러나 걱정이 되면서도 다른 것보다도 엄마랑 같이 한 끼하는 결말이 맘에 들었습니다.
이렇게 짦은 글에서도 마음을 울리는 글을 쓰시는 작가님들을 보면 참 감탄이 절로 나옵니다.

도리
5. 제가 코로나 재난지원금을 사용할 때 겪은 혼란과 멋쩍음 이런 것들이 떠올라서 읽기가 쉽진 않았네요.
6. 2024년 한국 사회에서 재난으로 느낀 건 헬스, 필라테스 등등 외에 생활 운동 부족, 실내 생활 위주의 생활 습관으로 산책의 부재가 떠오르고요. 실내 위주의 생활 반경으로 인해 환경 문제에 대한 실감이 안 되고, 스마트폰 위주의 생활, 척추 건강 문제 및 디스크 발병률 증가가 연관된다고 느껴지네요.
화제로 지정된 대화

장맥주
@모임
6. 「선물」의 소재는 코로나 재난지원금입니다. 비극은 삶의 일부로 받아들여야 하지만 재난은 대처할 수 있고 막아야 한다, 그래서 방재(防災)라는 개념이 있다는 생각을 해요. 지급 방식에는 다소 이견이 있지만 당시 정부가 코로나 사태를 재난으로 규정하고 그 대처 방안으로 지원금을 책정한 것은 매우 잘한 일이었다고 생각합니다.
2024년 현재 한국 혹은 세계적으로 재난으로 규정하고 지원금을 책정하고 싶은 사안이 있으신가요? 사람들이 아직 재난이라고 여기지 않는 것, 사소한 것이면 더 좋습니다. (ex: 독서율 하락은 재난이다, 물가 상승은 재난이다.)

마키아벨리1
기후위기가 우선적으로 생각나기는 하지만, 그 이전 우리 국민들의 반이성주의를 먼저 이야기 하고 싶습니다. 심각한 양극화 속에서 자신 속한 진영의 무조건적 지지(놀라운 건 자기가 왜 그 진영에 속하는 지 그 이유도 제대로 모른다는 거죠)가 언제 터질지 모른다는 두려움이 있습니다.

장맥주
매우 동감합니다. 이 재난에 어떤 이름을 붙여야 할지, 지원금으로 해결될 재난인지 모르겠습니다. 재난이라는 뉘앙스를 담은 적당한 명칭 없을까요?

borasoop
재난이 너무 많아서 고르기가 어려울 정도인데요. 요즘은 과일재난금이 제일 필요한 것 같기도 해요. 채소와 과일이 너무 비싸요. ㅜㅜ

장맥주
특히 사과 가격이 재난입니다. (애플 주식 이야기 아님...)
저는 며칠 전까지 베트남에서 망고 많이 먹고 왔는데 가격이 너무 싸서 미안할 정도더라고요.

yeonny
저도 과일재난금에 한표요.. 마트갈때마다
놀라요..(;° ロ°)

SooHey
어떠한 개인적, 사회적 연대로부터도 단절된, 그래서 죽음마저도 방치된 고립된 개인의 문제도 재난으로 여겨야 할 수준이 되어가고 있는 게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듭니다.

장맥주
네. 우울장애 증가, 높은 자살률, 고독사 문제 모두 한국 사회가 맞은 큰 재난의 다른 얼굴들이라고 생각합니다.

로미
비만도 재난 같아요. 그래서 다이어트 지원금이 있으면 좋겠어요. 그걸로는 무조건 운동을 해야하는 거죠. 요가나 복싱이나 헬스나요. (이러면서 운동 안 하는 1인입니다만...)

꿀돼지
저는 재난지원금 많이 받아야겠네요... 재난의 직격탄을 받은 몸입니다 🐷

로미
죄송해요..읽자마자 뿜었어요 ㅋ

장맥주
한국 성인 남성 비만율이 2021년 기준으로 49.2%였다고 하네요. 30대와 40대는 50%가 넘고요. 미국은 비만율이 70%가 넘는다고 하고요. 어딘가에는 굶어죽는 사람들이 있는데 어디서는 비만으로 고생하는 상황이 저는 이해가 잘 안 가요. 이제 현대 사회의 초점이 생산성 증대에서는 벗어나도 되지 않을까 하는 생각이에요.
(그런데 저도 운동 안 합니다...)

임쿨쿨
급여 상승율이 재난입니다. 10년 전 인턴 때 선배들이 받던 금액이랑 다르지가 않아요. 점심 밥값은 정확히 2배 올랐습니다. 재료도 정말 별로고요ㅠㅠ 교통비도 올랐지요. 눙물,,,

장맥주
밥값과 장바구니 물가 폭등은 매일 체감하면서 재난이라고 느끼고 있었는데, 오늘 유명 유튜버들의 광고 단가를 듣고 상상했던 것보다 훨씬 높은 가격에 정말 큰 충격을 받았습니다. 봉급생활자들의 급여는 오르지 않는데 어떤 분야에서는 사람들이 이렇게 돈을 잘 벌고 있었구나... 싶어서요.

임쿨쿨
코인은 또 어떻고요. 그러니까요, 유튜버 광고 단가 저도 들었습니다. 한 편 당 8,000만원 받더라고요. 이게 맞나요?

장맥주
두 유명 유튜버 광고 단가를 들었는데 한 분은 그보다 조금 낮았고 다른 한 분은 그보다 조금 높았어요. 이게 도대체 무슨 세상인지... "작가님도 유튜브 하세요" 하는 이야기도 당연히 함께 들었습니다. 7, 8년 전에는 "작가님도 웹소설 쓰세요"라는 말을, 3, 4년 전에는 "작가님도 CP 만드세요"라는 말을 들었는데 종착역은 결국 유튜브인가 봅니다.

느려터진달팽이
그믐 이제 유투브로 진출하나요 ㅎㅎ
작성
게시판
글타래
화제 모음
지정된 화제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