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을 계속 떠올리게 되는 이야기였어요. 끝내고 싶은 상황이지만 벗어날 수 없는 현실을 살고 있는 사람들을 잠시 생각해보게 됐고요. 집을 떠나는 화자가 마냥 가벼운 마음일 것 같지 않았어요. 읽는 동안, 읽고 나서도 계속 씁쓸함이 남아요.
[장맥주북클럽] 2. 『괴로운 밤, 우린 춤을 추네』 함께 읽어요
D-29
맑은주
게으른독서쟁이
“ 아무리 생각해봐도 이해가 안 돼. 초롱이를 죽인 새끼가 가게에 악성 리뷰를 단 건 나쁜 짓이야. 그런데 내가 박대혁이 저지른 일에 대해 폭로한 건 나쁜 짓이 아니잖아. 그런데 왜 똑같은 죄로 처벌을 받는 거야? 내가 너무 궁금해서 명예가 무슨 뜻인지 찾아봤어. 이걸 봐.
명예라는 건 지켜줘야 할 가치가 있어야 하잖아. 박대혁 그 새끼가 나를 배신했다는 사실이 지켜줘야 할 가치가 있는 명예야? 형도 그렇게 생각해?" ”
『괴로운 밤, 우린 춤을 추네 - 정진영 소설집』 p.102~103, 정진영 지음
문장모음 보기
게으른독서쟁이
박대혁 그 개새끼가 잘못된 법으로 나를 괴롭히는데, 가족인 형까지 그 법으로 초롱이를 죽은 새끼를 조진다면....... 그법이 옳고 내가 틀렸다는 말이 되는 거잖아."
『괴로운 밤, 우린 춤을 추네 - 정진영 소설집』 p.103, 정진영 지음
문장모음 보기
게으른독서쟁이
아...증말...속상해 죽겠네...
아악~~~~~~~~~~~~~~~~~

장맥주
마동석 배우가 인기를 얻는 이유가 바로 이것입니다.

선경서재
힘의 논리가 지배하는 정글에서 옳고 그름을 따지는 건 무의미하고 피곤한 일이니 말이다.
『괴로운 밤, 우린 춤을 추네 - 정진영 소설집』 정진영 지음
문장모음 보기

빨간리본
전 이 단편을 읽으면서 드라마 '피라미드 게임'이 떠올랐어요. 피라미드의 제일 꼭대기에 있는 박하림이라는 아이가 가지고 있는 절대권력으로 합리적(?)인 왕따 게임을 만들어 운영하죠. 그런데 중간중간 이 아이가 왜 이럴까... 를 생각할 때 마치 예전에 자기를 왕따 시켰던 아이에게 하는 복수라는 복선을 까는 듯한 느낌이 들더라고요. 웹툰 원작이라고 하는데 . .. 하여간..
예전에 학폭 가해자가 유명세를 타자 과거 피해자가 사과를 요구하는 일이 드물지 않게 일어나는데.. 한편으론 요즘 왕따를 아주 쉽게 하는 아이들에게 경고가 되지 않을까.. 했지만 그것도 아닌 거 같고...
요즘 왕따시키는 아이들은 굉장히 당당하더라고요.
자기가 왕따를 한 일 때문에 학폭위가 열려 사과로 마무리 해도 오히려 적반하장으로 피해자인 아이에게 '너 때문에 학폭위 열렸으니 사과' 하라며 사과도 받아내고.. 기가 막힌 상황이었어요.
어쩃든 전 범재가 잘 살아냈으면 했습니다.

장맥주
와... 그런 아이가 있나요... 저는 드라마에서 나오는 학폭 사례를 볼 때마다 너무 과장된 거 아닌가 의아해 하는데...

빨간리본
요즘 아이들은 정말 상상을 초월하더라고요. 얼굴은 정말 순진무구.. 머리도 찰랑찰랑.. 그런데 그렇게 왕따를 해놓고 또 집으로 놀러오고.. 그러면서 하는 말이.. '아이들에게 네 욕을 너무 많이 해서 너랑은 공개적으로 놀 수 없다'고 했다나요... 정말 상상 이상이예요.

장맥주
'네가 내 욕을 다른 아이들에게 너무 많이 해서 너랑 놀 수 없다'가 아니라 '내가 네 욕을 너무 많이 해 놔서 내 위신상 너랑 놀 수 없다'라는 말씀인 거지요...? 와, 정말 인간 혐오증이 다시 솟구칩니다.

임쿨쿨
....진상 고객 생각나서 킹받네요... 본인이 안 읽고 사놓고 '제가 바보가 된 기분이네요.' '저는 못 봤는데요.'
'저는 기분이 나쁜데요'

장맥주
저 아이들을 제대로 교육시켜야 진상 고객으로 자라지 않을 텐데요.

빨간리본
늘 모아지는 결론.. 아이는 부모의 뒷모습을 보고 자란다...죠..

빨간리본
아.. 맞아요. 지가 대놓고 가해를 했기 때문에 놀 수 없다는.. 잘못했다는 반성은 손톱만큼도 없는 아이..
게으른독서쟁이
저는 이런 아이들을 보면 제일 궁금한 게 그 아이의 부모들은 그런 모습을 알고 있는지, 자신의 자녀의 그런 모습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는지입니다. 정말 너무 궁금하네요.

빨간리본
학폭위 열려서 객관적.. 그러니까 그걸 본 친구들이 다 증언을 했는데도 형식적인 사과로 끝.. 아이를 진짜로 반성하게 했다면 나중에 피해자인 아이에게 사과를 시키는 그런 만행은 저지르지 않았을 텐데... 부모의 생활을 보고 아이가 행동을 결정한다 하니.. 부모가 알든 모르든.. 그건 부모가 보인 모습의 결과이겠죠..

장맥주
제가 아주 오래 전에 들은 어느 정치인의 루머인데요, 이 분 아들이 사고를 자주 쳤답니다. 그런데 그 정치인이 아들을 잘 혼내지 못했어요. 이유가 본인도 젊었을 때 사고뭉치여서, 비슷한 사고를 자주 쳤기 때문이라고 하더라고요. 그 정치인의 어머니는 당시에 아들(미래의 정치인)이 경찰서에 있으면 경찰서에 가자마자 다른 사람들이 다 보는 앞에서 먼저 아들의 뺨부터 올려붙였답니다. 반면 몇십년 뒤 그 정치인의 아내는 아들이 경찰서에 있으면 찾아가서 경찰의 뺨을 올려붙였다는군요. 그 결과 정치인은 커서 정치인이 되었으나 그의 아들은...
게으른독서쟁이
헐.... 진짜 어이없다.... 그런 애도 있어요?? 진짜 어이없어서 말이 안나오네...

가리봉탁구부
저도 다른 분들처럼 끝까지 무거운 마음으로 읽은 소설이었습니다. 완전히 새드엔딩이거나 (쉽지 않겠지만) 해피엔딩으로 끝날 것으로 예상했는데 반전이라고 느껴진 결말이었습니다. 누구도 강요하지 않았지만, 의무감 때문에 과도한 짐을 내려놓지 못하는 경우가 있는데요. 때로는 내려놓는 것도 필요하다는 사실을 깨닫게 해 준 결말이었습니다. 주인공과 동생 범재의 홀로서기를 진심으로 응원합니다.

도리
9. 정말 어렵고 안타깝고 화가 나고 두렵고 어쩔 줄 몰라하며 읽었습니다. 생각이 많아지고요. 법이라는 것 자체도 어렵고 무서운데 속도 답답하네요. 뒷 이야기 나눠주신 글을 읽으면서 복잡한 마음을 갖게 하시려는 의도대로 저에게 잘 적용된 소설이라고 생각이 들었습니다. 안 그래도 어머니가 좋아하는 가수가 학폭 이슈가 나왔는데 그럼에도 (어머니를 포함해서도 사람들께) 사랑받는 걸 볼 때 눈이 세모가 되곤 했는데요. 이런 학폭 이슈 외로도 자영업자 배달 리뷰 논란 등등 더 깊게 얽히고 얽혀니 정말 혼란스럽고 어쩔 줄 모르겠고... 지금도 그렇습니다.. 후허후허.
10. 질문을 보면서 책 <쓰고 싶다 쓰고 싶지 않다>에서 메모해둔 구절이 떠올랐어요.
'언젠가 내가 좋아하는 선배 감독님이 "지금까지 살아남은 사람들은 모두 어느 정도 비열해지기를 선택한 사람들"이라고 말하는 걸 들은 적이 있다. 나는 그 말을 듣자마자 훌륭한 통찰이라고 생각했다. 그 말은 자신의 비열함을 투명하게 바라볼 줄 아는 사람만이 할 수 있는 말이었다. 자신의 비열함을 바라볼 줄 모르는 사람들은 언제나 정당하다고 믿는다.'
'나'와 '범재' 둘 다 이입하면서 읽었고요. 저는 '나'처럼 어느 정도 비열해지기를 선택할 거 같습니다. 끝내 '범재'가 되지 못함에 대해 마음 한 켠으론 끙끙대면서요. 그렇지만 제가 '나'의 처지였다면 더 일찍 범재를 떠났을 거 같습니다.

쓰고 싶다 쓰고 싶지 않다다양한 표현의 시대, 『쓰고 싶다 쓰고 싶지 않다』 는 마음이 글로 표현되기까지의 뒷모습을 조명한다. 각자의 일과 삶에서 쓰기가 영향을 미치는 사람들인 전고운, 이석원, 이다혜, 이랑, 박정민, 김종관, 백세희, 한은형, 임대형 9인의 이야기는 마치 우리 모두의 영화처럼 생생하게 펼쳐진다.
책장 바로가기
작성
게시판
글타래
화제 모음
지정된 화제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