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7장은 조금 뜬금없긴 했는데(건강한 신체가 내뿜는 우아한 매력) 재미는 있었어요. (사진 다시 찾아봄...)
[책걸상 '벽돌 책' 함께 읽기] #03. <앨버트 허시먼>
D-29

모시모시

FiveJ
저도 조금 뜬금 없다는 생각이 들었는데, 힘든 16장과 18장을 위한 배려?인가 싶었습니다

모시모시
“ 내가 취재하면서 만난 여성 중 상당수가 허시먼이 어느 모임에서든 가장 아름다운 여성을 빠르게 찾아냈으며 별 어려움 없이 적절한 소재를 찾아 대화를 이끌곤 했다고 회상했다. 그림, 최근 출간된 책, 상대가 진행하는 프로젝트 등 대화 소재는 무궁무진했다. 어차피 대화를 해야 하는 자리라면 미학적 유쾌함으로 그 대화를 조금 더 치장해서 나쁠 거야 없지 않겠는가? ”
『앨버트 허시먼 - 반동에 저항하되 혁명을 의심한 경제사상가』 17장, 제러미 애덜먼 지음, 김승진 옮김
문장모음 보기

모시모시
“ 우리가 알고 있는 것은, 앨버트가 옷을 대충 입는 사람이 아니었다는 것이다. 그의 세련된 차림새는 대번 눈에 띌 정도였는데, 옷을 입고 있는 그의 신체 때문이었을 수도 있고 옷 자체 때문이었을 수도 있다. 어느 쪽이든 컬럼비아대학의 대학원생들은 브룩스브라더스에서 판매하는 셔츠와 재킷이 그에게 너무나 잘 어울리는 것에 감탄했다. ”
『앨버트 허시먼 - 반동에 저항하되 혁명을 의심한 경제사상가』 17장, 제러미 애덜먼 지음, 김승진 옮김
문장모음 보기

FiveJ
숙명주의는 종국에는 반대쪽을 유리하게 만드는 '이데올로기적인 덫' 이었다
『앨버트 허시먼 - 반동에 저항하되 혁명을 의심한 경제사상가』 966, 제러미 애덜먼 지음, 김승진 옮김
문장모음 보기

FiveJ
“ 행복을 추구하는 사람들 뒤에는 실망의 긴흔적이 남았다. 실망은 희망의 짝궁이었고 희망의 필수불가결한 쌍둥이였다. 실망은 가능주의자라면 꼭 생각해야하는 요인이었다.
후회 와 실망은 단순히 실수에서 발생하는 결과가 아니였다.그것은 실수를 범하지 않으려는 높은 기대를 가지고 수행된 활동의 결과다.
허시먼은 이 세상에서 실망을 없애기보다는 실망의 필요성에 관심을 불어일으키려고 했다. 불만족과 후회라는 요인을 포함하지 않는 이론을 추구하다가는 희망 또한 제거해 버리게 될 터였다. ”
『앨버트 허시먼 - 반동에 저항하되 혁명을 의심한 경제사상가』 975, 제러미 애덜먼 지음, 김승진 옮김
문장모음 보기

FiveJ
“ 민주주의에서 투표는 모든 시민이 공적인 의사결정의 이해당사자가 되게 만든다. 이와 동시에 투표는 시민 참여의 정도에 상한선을 긋는다. 표를 행사하는 행위로는 확신의 '강도'를 표현하지 못하 기 때문이다 ”
『앨버트 허시먼 - 반동에 저항하되 혁명을 의심한 경제사상가』 978, 제러미 애덜먼 지음, 김승진 옮김
문장모음 보기
화제로 지정된 대화

YG
오늘 화요일(3월 26일)은 17장 '건강한 신체가 내뿜는 우아한 매력'과 18장 '정치와 경제를 관통하는 집합행동 이론(1977~82)'를 읽습니다.
17장은 허시먼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필요한 소품 같은 장이라서 금세 읽을 수 있고요. 18장은 16장 만큼이나 밀도가 높은 장이지만, 또 중요한 장이기도 합니다. 1970년대부터 지금까지 계속 진행 중인 집합행동의 몰락과 그에 대한 회의가 커지는 상황에서 허시먼의 노력은 오히려 현재적 의미가 크다는 생각입니다.

소피아
@FiveJ @모시모시 @YG, 저는 17장을 저자 애덜먼이 주는 “막간 서비스”라고 이해했어요. 계속 휘몰아치는 밀도높은 챕터들 사이에서 독자가 나가 떨어질까봐 붙들어 두려는 의도? 정말이지 16장 다 읽을 무렵엔 와, 3월 한달동안 내가 좋아하는 미스터리 소설 한 권도 안 읽었어, 이게 사는거냐? 막 이렇게 되더라구요? 뭐, 책 덥석덥석 안 사게 되니까 그건 좋은 건 같고.. (뭐라는 거임..)
허시먼이 물구나무 서는 이야기 계속 나오는 건 좀 웃겨요. 왜 자꾸 물구나무 섰다는 말 반복하시지? 요즘 유행하는 저속노화의 비책 중 하나로 물구나무 들어갑니까?

소피아
참참참, 14장에 나온 레온 페스팅거의 <When Prophecy Fails 예언이 끝났을 때> 이 책 찾아보신 분 계신가요? 설명보고 궁금해져서 찾아봤는데, 진짜 더 궁금해졌어요. 세상 종말을 외치는 컬트 집단에 연구자 직접 들어가 참여관찰 연구를 한 건데, 이걸 바탕으로 인지부조화 이론을 만들었다고.. 완전 궁금한데 출판된지 오래된 게 쫌 걸림 (1950년대).

예언이 끝났을 때 - 세상의 멸망을 예언했던 현대의 어느 집단에 대한 사회심리학적 연구특정일에 홍수가 일어날 것이고, 자신들은 외계의 존재가 와서 안전하게 데려갈 것이라 예언했던 어느 종교 집단을 참여관찰한 기록을 담은 책이다.
책장 바로가기

YG
책에서도 언급한 대로 '인지 부조화' 개념을 끌어낸 사례 연구에 대한 고전으로 꼽히는 책이고요. 저는 아~주 흥미롭게 읽었습니다. 이미 주목하셨겠지만, 똑같이 김승진 선생님이 번역했어요.

소피아
아, 고전입니까? 어쩐지 딱 보는 순간 너무 재미있겠더라구요!

모시모시
다른 책에서 이 연구를 사례로 언급한 건 많이 봤는데 오리지널이라니(!) 저도 엄청 재밌겠다고 생각했어요. ㅋㅋㅋㅋ

소피아
고전은 오리지널로 봐야 제 맛이죠!

소피아
무임승차나 공공재라는 말은 많이 들어봤는데, 여기에 이론이 있었는지는 몰랐네요 — 올슨의 <집단행동 이론>— 와, 진짜 배움엔 끝이 없다..

YG
최근에 나온 신간을 살펴보다가 거기서 올슨의 이론을 아주 중요하게 취급하면서 우리 허시먼 옹은 아예 언급도 안 했더라고요.ㅠ. 괜히 속상함. 이렇게 '빠'가 되는 건가, 하고 잠시 웃었어요.

정치는 왜 실패하는가 - 분열의 시대를 극복하기 위한 문제 제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