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eonny 사진과 시가 어우러지고 주위에서 자주 볼 수 있는 것들이 시의 주제가 되어서 더 그런 것 같아요 :) 작가님의 시가 선생님 일상에 스며들었군요 :)
[빚은책들/책증정] 김미희 작가와 함께 읽는 <순간이 시가 되다 폰카 시>
D-29

편집자N

박소해
폰으로 시화를... 폰카시는 폰으로 쓰는 시화 같아서 좋습니다.

달작
@박소해 와~~폰으로 쓰는 시화, 멋진 표현입니다.

박소해
오늘도 카페라떼
시 읽으며 마시면 시라떼
마감치며 마시면 마감라떼
명상하며 마시면 명상라떼
매일 카페라떼


달작
@박소해 하하하 라임이 쫙쫙 붙네요. 라라라가 떼로 다니는 기분입니다.

yeonny
라떼라떼 재밌어요!! 저는 공부라떼를 마셔봅니다. ^o^

편집자N
@박소해 왠지 흥얼거리게 되는, 리듬이 느껴지는 귀여운 시에요! 부끄러워 마시고 팍팍 지어주셔도 됩니다 :)
게으른독서쟁이
우와~👏👏👏👏👏👏
딱 입에 붙는 시네요.

박소해
책 재미있게 읽는 중이에요

달작
@박소해 재미,,,,,흥얼거려지는 말씀입니다. ^^~

북심
제가 찍은 사진은 고양이 강아지 책 읽다 좋았던 부분이 거의 대부분이에요 나무랑 꽃..
의식적으로 살피고 찍을 필요가 있겠어요

편집자N
@북심 고양이와 강아지, 나무와 꽃은 사진을 찍을 수밖에 없다고 생각합니다 :) 귀엽고 사랑스럽고 멋지니까요! :)
화제로 지정된 대화

편집자N
안녕하세요! 편집자N입니다.
24일 일요일부터 이번주 금요일인 29일까지는 시집의 남은 부분을 읽고 편하게 의견이나 감상 나눠주시면 됩니다.
시집 전체 중에서 좋았던 시를 뽑아주셔도 되고요.
그리고 가능하다면, 나만의 폰카시를 하나 써보시면 어떨까요?
바쁜 일정 속에서 무리하실 필요는 없습니다.
혹시 내가 찍은 사진 속에서 무언가 느껴진다면, 편히 폰카시를 써주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
지혜
5장에 대해서도 전에 남겨주신 작가님의 질문에 답하며 마무리하고자 합니다.
가장 흥미로웠던 시는 <오늘도 애썼어>입니다. "빨간 등대"를 "엄마 립스틱"으로 연상한 것이 재미있기도 했고, 항구에 정박한 배들이 짧은 글에서는 아이가 줄 세운 "장난감 배들"이었다가, 시에서는 항구는 엄마 품으로 배들은 엄마 품에 안긴 아이들로 의미가 변화된 것이 재미있기도 해서, 가장 흥미로웠던 시로 꼽지 않을 수가 없었습니다.
한편, 저는 "오늘도 애썼어"라는 말을 엄마가 아이에게 하는 말이라고 읽으면서도 반대로 아이가 엄마에게 하는 말이라고도 상상하게 되었습니다. 아기가 단잠에 들어야할 시간까지 기다려야 보이는 빨간 등대는 일하고 늦게 집에 돌아온 엄마를 비유하는 것이고, 워킹맘 엄마가 집에 돌아와 아이를 품에 안으면 아이는 작은 손으로 엄마를 토닥이며 오늘도 애썼다며 엄마에게 힘을 주는 모습이 그려집니다.
중의적인 의미로 시를 해석할 수 있는 게 시의 매력이겠죠. 이 시에서 충분히 그 매력을 느껴봅니다.

달작
@지혜 캬오~~시 해석이 무척 멋집니다.
오늘을 살아냈으니 모두가 애썼다 마다요.
깊이 있게 시를 느껴주셔서 감사합니다.
지혜 님의 흥 미로운 해석에 절로 입이 벌어집니다.

편집자N
@지혜 말씀대로 <오늘도 애썼어>는 여러가지로 생각할 수 있는 시인 것 같습니다. 빨간 등대와 배에서 아이가 장난감을 늘어둔 엄마 화장대로 확장된 것도 놀라웠죠. 저는 고소공포증이 있어 케이블카를 타도 아래를 내려다볼 수 없는데이런 멋진 풍경을 놓치고 있었나 하는 생각에 아쉽기도 합니다. :)

샛빛
생각을 하게 만드는 책은 좋은 책입니다.
생각을 잠시 하지 않게 만드는 책도 좋은 책입니다.
이 책은 둘 다 입니다.
사진은 또 다른 형태의 안경인지도 모릅니다.
AI가 난무하는(?) 빅데이터 시대에
스쳐 지나가는 기억을 잡으려고 하지 않는다면,
눈으로 본 걸(직접 보든 꿈으로 상상으로 다른 무엇으로 보든)
기억하는 근육이 있다면
그냥 그 근육의 힘으로 저자가 하듯 하면 될 듯합니다.
결국 저는 저자와 같은 말을 합니다.
사진을 찍지 않아도 된다는 말은
근육을 키웠으면 하는 말일 뿐입니다.
프레임 속에 넣어 사진 찍을 시간 vs. 눈으로 더 넓게 바라볼 시간

달작
@샛빛 생각할 거리를 주는 말씀이네요.
책으로 대화를 나눈 아름다운 인연의 근육은 어떠할까? 생각해 봅니다.
프레임을 넘어선 광활한 시야, 제게도 주문을 겁니다.

편집자N
@샛빛 깊이가 담긴 감상을 올려주셔서 감사합니다! 사진을 찍을 것인가, 직접 눈으로 볼 것인가. 오래 사유해볼 만한 주제인 것 같습니다. :)
작성
게시판
글타래
화제 모음
지정된 화제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