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브릭스 북클럽] 편집자&마케터와 헨리 제임스 장편소설 『보스턴 사람들』 같이 읽어요!

D-29
올리브와 버리나의 연대는 버리나가 조금이라도 비판적이었거나 불만이 많은 성격이었다면 출발조차 하지 못했을 것 같습니다. 지내온 환경 때문인지 다른 사람의 눈치를 잘 살핀다고 해야 할까요. 드문드문 올리브의 눈치를 살피는 게 동등한 친구관계는 아닌 것 같습니다. 부모가 정상적인 보살핌을 주지 못하는 상황이지만 올리브가 돈을 주고 버리나의 거취를 정했기에 찝찝한 구석도 있고요. 자신의 가치관에 맞지 않는 모든 것에 가시를 세우는 올리브와 달리 버리나는 스펀지마냥 모든 것을 받아들이고 흡수합니다. 따라서 남성들이 버리나에게 관심을 가지지 않았더라도 극명한 성격 차이가 미래에 두 사람의 동거를 방해하는 가장 큰 장애물이 되지 않을까 합니다. 두 사람의 미래가 희망적이지 않을 거라고 보는 것과는 별개로 pp.272-274에서 두 사람이 나란히 창가에 앉아 경치를 관찰하는 묘사가 좋았습니다. 헨리 제임스는 사람도 그렇지만 배경이나 장소 묘사도 훌륭하네요!
저물어가는 하늘빛을 등지고 멀리서 외따로 컴컴하게 물결치는 윤곽선으로 보이는 긴 다리 위를 지나는 마차 방울 소리도 이제는 세속의 느낌이 사라져 거의 은방울 소리처럼 들렸다. 이렇듯 기분 좋은 저녁 빛이 응접실 안쪽까지 비출 때면 올리브는 종종 램프를 켜는 시각이 될 때까지 친구와 나란히 창가에 앉아 있곤 했다.
보스턴 사람들 헨리 제임스 지음, 김윤하 옮김
저도 이 부분을 너무 좋아합니다. 저 멀리 작게, 기분 좋은 소리가 들려오는 조용한 저녁의 풍경이 눈과 귀로 느껴지는 것만 같아요.
올리브와 버리나는 당분간은 관계가 유지될 것 같습니다. 서로 관계에 목적이 있어보입니다. 그래서 다른 방향성이 있어도 조금씩 눈치보며 양보 하면서 나아가는 것 같아요. 하지만 버리나가 공부를 하고 세상에 대한 식견을 넓혀가면서 독자적인 목소리를 낼 때가 오지 않을까요? 그때 문제가 생기지 않을까 싶네요. 그리고 그 과정에 버리나에 대한 남성들의 접근도 서서히 버리나의 마음에 변화를 주지 않을까 생각됩니다.
두 사람 관계가 지나치게 빨리 깊게 형성되는 느낌이어서 좀 불안한 느낌이 애초에 있었습니다. 그리고 서로 끌고 끌어주는 상호적 관계가 아닌 일방적인 방향인 경우 거의 대부분 그 관계성이 깨지거나 변질되기 쉬운 것 같습니다. 그리고 예상되듯이 랜섬이 두 사람의 연대감을 해치는 주요한 역할을 하겠지만, 사실 일방적이었던 두 사람의 관계성이 이미 어떤 단초를 마련하고 있다고 생각합니다.
화제로 지정된 대화
아! 그리고 아직 지난 금요일에 올려드린 깜짝 퀴즈에 답을 안 해주신 분들도 계시더라고요! 까먹으셨을지도 모르니 다시 올려봅니다. 😇 놓치신 분들은 아래 링크에서 답해주세요. 북클럽이 끝난 후 추첨을 통해 커피 기프티콘을 선물로 드려요~ 🔗 https://forms.gle/vjKW9VBvRcLYo37P8
올리브와 버리나 그리고 베이질 랜섬의 삼각관계에 돌입하면서 너무 재미있어 주말동안 다 읽어버렸네요 . 극 초반에는 올리브가 그렇게 꼴보기 싫더니 책장을 넘길 수록 베이질의 생각이 꼴보기 싫어지더니 끝에 가서는 버리나의 그 선택에 깜놀하면서 꼴보기 싫어지더라구요 ㅠㅠ 700페이지를 순삭하게 만드는 헨리 제임스의 들어다 놓았다 하는 스토리힘에 흔들렸네요
헉 벌써 완독하셨다니! 읽을수록 덮기 어려운 책이라고 말씀드리긴 했는데, 이렇게나 빨리 완독하신 분이 나올 줄은 몰랐습니다. 결말을 아신다고 생각하니 갑자기 담당자의 입이 간지러워지는데요... 좀만 참아보겠습니다. 앞으로 남은 질문에도 같이 참여해주실거죠!? + 아직 다 못 읽으신 분들이 계셔서 '스포일러'로 지정해두었습니다. 양해 부탁드려요!
올리브와 버리나가 위태위태하면서도 동거 생활을 이어나가고 있는 모습이 흥미롭네요. 위기 요인으로 감지되는 건 버리나의 부모님의 신변에 문제가 생겨서 급히 집으로 돌아가야 한다거나 버리나가 더 큰 성장을 위해 공부를 하러 찰스 가를 떠나는 정도일까요. 저는 이 둘 매우 응원합니다 ^_^
저는 앞으로 '둘도 없는 단짝'을 상상할 때면 올리브와 버리나를 떠올릴 것 같아요. 때때로 위기가 찾아오지만, 그마저 서로가 너무 소중해서 생기는 삐걱거림으로 느껴지기도 했거든요! 저도 두 사람,,, 매우 응원합니다! 👏👏
주말에 책을 못읽었더니 금세 진도가 뒤쳐졌네요. 16장까지 읽었습니다. 많은 분들이 말씀하신 것처럼 저도 태런트 부부가 가장 눈살이 찌푸려졌어요. 딸을 성공의 수단으로 삼는 모습과, 자신들의 소유물처럼 여기는 행동들이요. 더불어 올리브..는 굉장히 이상적이고 도덕적 기준이 매우 높은데 (infj같지 않나요..? 너무 mbti 과몰입인가요🤣) 본인만의 잣대로 주변인들을 과하게 평가하는 모습이 보기 안좋더라고요. 저도 약간 그런 편이라 보면서 거울치료가 되고 있습니다..;;
저는 isfj인데요, 저도 올리브가 자기만의 기준을 세우고 그 기준을 지키느라 아등바등하고, 다른 사람들이 그에 미치지 못할 때 분노하는 장면을 보면서 여러 생각이 들더라고요.
화제로 지정된 대화
오늘 공지가 조오금 늦었습니다. 기다리신 분들이 계시다면 죄송해요 ㅠ_ㅠ 오늘부터 목요일 이틀 동안은 23장(p.344)까지 읽으면 되는데요. 💥 곧바로 오늘의 질문 드리겠습니다! 이번 분량에는 랜섬이 절대적으로 많이 등장합니다. 읽으면서 랜섬에 대한 여러분의 인상은 강화되었나요, 아니면 바뀌었나요? 어떤 대목이 가장 영향을 미쳤는지 공유해주세요!
(2-2) 23장까지 읽었습니다. 랜섬에 대해서는 첫인상부터 현재까지 제 예상에서 크게 벗어나지 않았습니다. 일단 그는 여자가 본질적으로 남자보다 못한 존재이고, 남자의 청혼을 거부하거나 논쟁을 벌이는 여자는 짜증나는 존재라고 생각하며, 복종하지 않는 여자를 부정적으로 봅니다. 소위 기사도 정신이라는 것도 여성을 존중한다는 의미보다는 여러모로 여성이 남성보다 뒤떨어진다는 것에 전제를 둡니다(그리고 그것을 하등한 존재에 대한 배려라고 여기죠). 남성이 여성보다 우월한 존재라는 그의 생각은 소설 내내 보여지는데요, 이러한 점은 미스 버즈아이를 그저 '무고한 노인'라고 치부하는 데에서 쐐기를 박습니다.
역시 그 부분이 마음에 턱하고 걸린 건 저만이 아니었군요. 🔥🔥🔥
랜섬은 그 시대 남자들의 전형적인 생각을 가진 거 같아요. 특히 여성에 대해서. 저는 아직 그 느낌 그대로인데 아마 뒤로 갈 수록 캐릭터들 중에서 제일 변화가 많은 인물로 예상되네요.
말라님 반갑습니다. [보스턴 사람들]에서 속내가 가장 자세하게 드러나는 게 랜섬인데요, 뒤로 갈수록 그의 사고를 이해하는 것과는 별개로 그가 왜 그런 경직된 사고에 묶여 있는지 이해하게 되는 것 같아요. 이번 주말에도 재밌게 읽어주신다면 기쁘겠습니다!
랜섬은 여전한 것 같아요. 조금 애처로워 보여서 마음을 주고 싶다가도 기사도를 표방한 보수적이고 꽉 막힌 여성관을 보면 진저리를 치게 됩니다. 천칭이 안타까움 쪽으로 기울어졌다가 금방 못마땅함으로 기울어지면서 평형상태를 회복하는 과정을 반복하고 있어요. 아직까지는 못마땅함이 살짝 우세합니다. 끝까지 자신의 사고를 바꿀 생각도 없으면서 뻔뻔하게 버즈 아이에게 개심자라고 칭하는 모습이 인상적이었어요. 앞으로 올리브나 버리나에게 어떤 영향을 줄지는 모르겠지만 그가 쉽게 원하는 바를 이루지 못했으면 좋겠습니다. 참 못된 생각이지만요. ㅎㅎ.. 제가 랜섬에게 거리를 두고 싶게 만든 대목을 첨부해봅니다!
"Oh, I presume you have your ideas," said Miss Birdseye. "OF COURSE, SOUTHERNERS HAVE PECULIAR VIEWS. I suppose they retain more than one might think. I hope you won't ride too far—I know my way round Boston." "DON'T OBJECT TO ME, OR THINK ME OFFICIOUS," RANSOM REPLIED. 남부, 남자, 무례(?) 이미지 여전하네요.
랜섬이 생각보다 더 거만하다는 점에서 놀랐고, 솔직히 말씀드리자면 저의 이런 랜섬에 대한 거부감이 계속해서 바뀌지 않길 바랍니다. 여성에 대한 고루한 생각도 거부감이 느껴지지만 미스 버즈아이가 지적했듯, 버리나와 올리브는 같은 사상을 갖고 같이 움직이는데 어째서 버리나에게만 호감을 갖고 있는지, 그게 그녀의 외모 때문이냐는 그 대화가 랜섬의 허를 찌르지 않았나 하는 생각도 듭니다. 그는 전혀 동요하지 않았지만요! 그 점이 더 얄밉게 느껴졌네요. 버리나가 유럽에도 다녀왔다니, 그녀가 가진 식견이 넓어지고 더 의지가 굳건해 져서 랜섬의 하찮은(?) 생각을 알아채길 바라며 읽게 되네요.
작성
글타래
화제 모음
지정된 화제가 없습니다
[책나눔 이벤트] 지금 모집중!
[도서증정][김세진 일러스트레이터+박숭현 과학자와 함께 읽는]<극지로 온 엉뚱한 질문들> [도서 증정] 1,096쪽 『비잔티움 문명』 편집자와 함께 완독해요[📚수북플러스] 3. 깊은숨_수림문학상 작가와 함께 읽어요
💡독서모임에 관심있는 출판사들을 위한 안내
출판사 협업 문의 관련 안내
그믐 새내기를 위한 가이드
그믐에 처음 오셨나요?[메뉴]를 알려드릴게요. [그믐레터]로 그믐 소식 받으세요
[그믐클래식] 1월부터 꾸준히 진행중입니다. 함께 해요!
[그믐클래식 2025] 한해 동안 12권 고전 읽기에 도전해요! [그믐클래식 2025] 1월, 일리아스 [그믐클래식 2025] 2월, 소크라테스의 변명·크리톤·파이돈·향연[그믐클래식 2025] 3월, 군주론 [그믐클래식 2025] 4월, 프랑켄슈타인 [그믐클래식 2025] 5월, 월든[그믐클래식 2025] 6월, 마담 보바리 [그믐클래식 2025] 7월, 프로테스탄트 윤리와 자본주의 정신
7월 23일 그믐밤 낭독은 <리어 왕>
[그믐밤] 37. 달밤에 낭독, 셰익스피어 3탄 <리어 왕> [그믐연뮤클럽] 3. "리어왕" 읽고 "더 드레서" 같이 관람해요
수북탐독을 사랑하셨던 분들은 놓치지 마세요
[📚수북플러스] 2. 귀하의 노고에 감사드립니다_수림문학상 작가와 함께 읽어요[📚수북플러스] 1. 두리안의 맛_수림문학상 작가와 함께 읽어요
우리가 몰랐던 냉전의 시대
[책걸상 '벽돌 책' 함께 읽기] #24. <소련 붕괴의 순간>[책걸상 '벽돌 책' 함께 읽기] #23. <냉전>[책걸상 '벽돌 책' 함께 읽기] #16. <마오주의>
댓글로 쌓아올린 세포, 아니 서평들
작별하지 않는다도시의 마음불안세대
반가운 모임지기들, 라아비현과 꼬리별
[라비북클럽] 불편한 편의점 북투어 같이 한번 읽어봐요 우리
편집자와 함께 읽어요!
[김영사/책증정] ★편집자와 함께 읽기★ 《죽은 경제학자의 살아있는 아이디어: 개정증보판》[도서 증정] 내일의 고전 <불새> 편집자와 함께 읽어요!1인출판사 대표이자 편집자와 책읽기[도서 증정] <먼저 온 미래>(장강명) 저자, 편집자와 함께 읽어요!
제발디언들 여기 주목! 제발트 같이 읽어요.
[아티초크/책증정] 구병모 강력 추천! W.G. 제발트 『기억의 유령』 번역가와 함께해요.(8) [제발트 읽기] 『이민자들』 같이 읽어요(7) [제발트 읽기] 『토성의 고리』 같이 읽어요(6) [제발트 읽기] 『전원에서 머문 날들』 같이 읽어요
🎁 여러분의 활발한 독서 생활을 응원하며 그믐이 선물을 드려요.
[인생책 5문 5답] , [싱글 챌린지] 완수자에게 선물을 드립니다
서리북 아시나요?
<서리북 클럽> 두 번째_편집자와 함께 읽는 서리북 여름호(18호) 혼돈 그리고 그 너머서울리뷰오브북스 북클럽 파일럿 1_편집자와 함께 읽는 서리북 봄호(17호) 헌법의 시간 <서울리뷰오브북스> 7호 함께 읽기
문풍북클럽의 뒷북읽기
[문풍북클럽] 뒷BOOK읽기 : 7월의 책 <혼모노>, 성해나, 창비[문풍북클럽] 6월 : 한 달간 시집 한 권 읽기 [문풍북클럽] 뒷BOOK읽기 : 5월의 책 <죽이고 싶은 아이 1,2권>[문풍북클럽] 뒷BOOK읽기 : 4월의 책 <예술도둑>
모집중밤하늘
내 블로그
내 서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