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브릭스 북클럽] 편집자&마케터와 헨리 제임스 장편소설 『보스턴 사람들』 같이 읽어요!

D-29
이번 분량에서 가장 인상 깊었던 문장 첨부해봅니다. 이 문장 때문인지 저에겐 『보스턴 사람들』이 버리나의 성장물로 읽히기도 하네요. ㅎㅎ
생각보다 대답하기 어려운 질문이었습니다. 제가 소설 속 인물이라면 버리나가 어떻게 되든 그냥 내버려뒀을 것 같아서 말이죠! 하지만 올리브의 입장이라면, 지금과 같은 관계를 조금이라도 유지하면서 버리나의 자유(?)까지 생각한다면 버래지 가에 보내는 것으로 타협하리라는 것도 이해가 되었습니다. 오히려 버리나보다는 올리브에게 좀 더 내려놓으라는 다정한 말들을 많이 해주고 싶은 생각이 들었습니다. 한편으로는 버리나에 대해서 올리브나 버래지 부인이나 그녀의 삶을 어떻게든 재단하려는 시도가 더 짙게 보여서, 버리나에게 너 스스로가 자신의 가치관을 정확히 세우고 좀 더 강단 있게 행동한다면 어떨까 하는 이야기를 해 주고 싶네요. 올리브의 눈치를 보지 않으면서 내가 한 행동에 책임을 지고 그런 행동을 감당할 수 있는 것인지 생각해보면 좋겠다는 생각이 들었어요. 지금 버리나는 그저 '내가 이러면 올리브가 이러겠지.' 하는 생각으로만 움직이는 것 같아 오히려 올리브가 그녀를 그렇게 가둔 게 아닌가 싶습니다.
올리브에게 다정한 말들을 해주고 싶다는 은의책님의 댓글 ㅠㅠ 보고 순간 뭉클했습니다. 다들 마음이 조급한 상태이고 그래서 더 불완전한 선택을 내리게 되는 것도 같아 안쓰럽습니다. <보스턴 사람들>을 읽으면서 소설 속 상황이 눈앞에 선명하게 그려지는 듯했는데, 여기 계신 독자님들도 비슷한 경험을 하는 듯하여 반가운 기분이 듭니다. 완독까지 얼마 안 남았으니 조금만 더 힘내세요!
버리나는 처음 등장했을 때부터 누군가에 의해 휘둘리는 듯한 모습을 많이 보여주었어요. 자아가 약한 모습이었죠. 랜섬과 올리브라는 대상이 두드러질 뿐, 버리나는 항상 타인에게 영향을 많이 받는 것 같아요. 저도 버리나와 같이 자아가 약했던 때가 있어서 너무 안타까운 마음이에요.. 그녀가 좀 더 많은 사람들과 세상을 만나보았으면 좋겠어요. 조금 더 자신에 집중하라고 조언해주고 싶네요! 할수만 있다면 그녀를 둘러싼 세상을 피해 다른 세상도 만나보고 오라고요.
모두에게 맞춰주려고 하는 버리나의 모습을 보면서 mbti가 INFJ일까...? 란 생각을 하게 되는 저는 mbti과몰입러일까요? 사실 제가 INFJ인데 주변인들의 영향을 많이 받는 편이라 더 그리 느꼈는지도 모르겠습니다. 남은 분량에서는 버리나가 본인의 마음의 소리에 더 귀를 기울이고 있기를 바라며...!
(3-1) 34장까지 읽었습니다. 올리브와 버리나를 보고있자면, 올리브는 버리나를 과잉보호하는 딸을 대하듯 합니다. 꽃길만 깔아줄테니 시키는대로만 하면 아무 문제없이 순탄한 인생을 살게 해주겠다는, 인생을 대신 살아주겠다는 듯한 그런 어머니처럼 말이죠. 그리고 버리나는 아주 모범적인 학생이자 부모 말씀 잘 듣는 착한 딸이지만 호기심을 억누르지 못하고 자꾸만 일탈을 시도하는 낙천적인 사춘기 소녀같아 보입니다. (3부부터는 버리나가 달라진 모습을 보일 것 같다는 예감이 듭니다.) 32장의 올리브와 버래지 부인의 대화는 마치 제 자식이 더 잘났다고 주장하는 기 센 엄마들 싸움처럼 보입니다. 그리고 이 싸움의 결과는 버래지 부인 승! 버리나의 주변 사람들 중 아무도 그녀 스스로 무언가를 결정할 수 있는 사람이라고 여기는 사람이 없습니다. 버리나 본인과 올리브는 버리나 스스로 모든 것을 마음대로 결정할 수 있고 완전히 자유롭다고 말하지만, 올리브 내면에서는 자신이 원하대로 이끌어가려는 의도가 담겨 있고, 버리나 역시 올리브에게 전적으로 의존하는 게 분명히 보이는데, 올리브와 버리나만 그렇지 않다고 주장합니다. 34장에서는 랜섬에게 제대로 한 방 먹고 충격을 받은 버리나의 모습을 볼 수 있습니다. 저는 이쯤에서 베이질 랜섬의 망언록을 만들어볼까 생각 중입니다(일부다처제라니요!!). 시대성을 감안해도 랜섬의 발언은 점점 거북해지고 있습니다. 아무튼 버리나에게 해주고 싶은 말은, "무소의 뿔처럼 혼자서 가라" 입니다.
올리브는 이러나저러나 버리나 잘 믿지 못하는 것 같아요. 그래서 더 옥죄는 느낌이 없지 않아 있고요. 만약 믿고 좀 더 풀어주었다면 소설의 흐름이 달라졌을까,도 생각해보게 됩니다. 베이질 랜섬의 망언록 (ㅋㅋ) 너무 웃긴데요? 나중에 이벤트로 만들어서 배포해보고 싶다는 생각이 들고요!
That was Miss Chancellor's rejoinder, and Verena felt that it didn't say all that was in her mind. (…) She even suspected Olive had an idea she was afraid to express, such distress it would bring with it. "Why, Olive, how bitter you are!" Verena exclaimed, in genuine surprise. "I don't want any help; I am quite strong enough!" Verena cried gaily. The next moment she inquired, in an appeal half comical, half touching, "My dear colleague, why do you make me say such conceited things?" Verena was mindful of this when he spoke; and it frightened her a little, made her uneasy, which was one of the reasons why she got up from her chair and went to the window—an inconsequent movement, inasmuch as her wish was to impress upon him that it was impossible she should comply with his request. If it was only that, Verena thought she might go, for that was not personal. "Well, I'm glad you care so much," she answered musingly. But she had another scruple still, and she expressed it in saying that she should like Olive very much to find her when she came in. 오늘날 눈으로 보려니 혼란스럽네요. 아무튼, Verena가 중심을 잡고 자신을 중요하게 생각했으면 합니다. 자기가 바라는 것이 무엇이고 최선이 무엇인지 살펴볼 시간을 가지길...
아무래도 올리브가 소설 초반부에 버리나를 너무 꽉 쥐고 있었던 걸까요? 많은 분들이 버리나의 선택을 지지하고 응원하는 듯하여 흥미롭습니다. 어쩌면 모든 사람들은 다 버리나같은 모습을 갖고 있었기 때문에 더 그런지도 모르겠고요!
"버리나, 얼른 도망쳐!!" 라고 해주고 싶습니다. 버리나 자신도 말했듯이 "사람은 모두 자기 삶을 이끌어야 하며 다른 삶을 이끌어줄 수 없으니까.(p514)"요.
저는 버리나가 눈치보지 않고 하고 싶은 걸 했으면 좋겠어요. 뭐든 직접 겪어봐야 깨달음도 얻고 더 성장할 수 있는 것 같아요. 늘 올리브의 그늘 안에서 그들의 운동에 찬성하는 사람만 만나다 보니, 뭔가 다른 랜섬에게 더 호기심을 느끼는 것 같기도 하고요. 직접 랜섬을 만나보니 랜섬에게 호감을 느끼면서도 ‘그간 내가 알던 보수주의자와 실제 만난 보수주의자는 다르구나’ 생각하는 모습을 보고, 버리나가 본인의 의지로 다양한 사람을 만나고 스스로 판단하는 모습을 더 보고 싶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더불어 올리브가 너무 숨막히게 느껴졌어요. 후견인으로서, 동지로서 버리나를 아끼고 그녀가 다른 길로 새지 않길 바라는 마음은 이해하지만, 버리나의 모든 행동을 통제하려는 것 같아요. 랜섬과 버리나가 못만나게 시나리오를 짜기도 하고, 버리나의 미래(결혼)도 자신을 중심으로 생각하고, 하물며 버래지 부인이 며느리를 너무 예뻐해서 악영향을 줄까봐 질투하고 걱정하는 모습을 보며 너무 생각이 많고 걱정이 많아 피곤하다는 생각을 했습니다. 조금만 버리나를 믿어주면 좋을텐데요..
본인이 직접 경험하고 깨달으며 선택을 보완해나가는 것이 가장 이상적이지요! 지금은 올리브와 랜섬이라는 극과 극의 인물 사이에 있으니 본인도 굉장히 혼란스럽고 갈팡질팡하게 되는 것 같습니다. 그들의 삼각관계를 보면서 앞으로 나는 어떤 식으로 관계를 맺어야 좋을까,,,도 고민해보게 되는 게, <보스턴 사람들> 은 왠지 인생 선배님 같은 면모도 갖고 있네요!
저도 읽으면서 버리나 만큼이나 어느 게 옳은지 판단하기 어려웠어서 충고나 격려를 하기가 쉽지 않네요 😥 누구를 선택해라 라고 할 순 없지만, 자신의 마음의 소리를 따르고 줏대있게 판단했으면 한다는 이야기를 해주고 싶긴 합니다. 랜섬을 만날 때 그에게 끌리는 버리나지만, 그러면서도 자꾸 올리브를 생각하며 죄책감을 가지는 모습이 안타까워요. 물론 남자에게 깜빡 넘어가는(?) 것도 별로긴 하고 .. 의리를 지키는 것, 대의를 지키는 것은 좋다고 생각하나 너무 자기자신을 억압하지 않았으면 해요.
버리나를 보면, 그저 사랑받고 싶었을 뿐인 사람을 주변에서 망가뜨리는 사례들이 생각이 나요. 그래서 말씀하신 대로 안타까울 뿐이었어요. 차라리 헨리에게 가! 라는 생각도 하고요.
하… 이미 랜섬에게 마음이 움직이는데 어떤 충고가 가능할까요? 버리나는 자기가 벌써 랜섬을 좋아하기 시작했다는 것을 모르거나 또는 자꾸 부인하려고 하려고 하네요. 다만 이럴 경우 충동적인 말이나 행동을 피하기 위해 당분간만이라도 무엇이든 한 번씩 늦춰하는 것을 권하고싶습니다. 아마 소용 없겠지만요…
ㅠㅠ 버리나의 마음도 너무 이해가 됩니다. 이성적으로 상황을 조절하는 것이 과연 가능한 것인가 싶을 정도로 푹 빠져 보이기도 하고요! 직접 전달해주진 못하지만 이렇게 그믐에서라도 이야기 나눌 수 있어 좋은 것 같습니다. 하하
읽으면 읽을수록 답답하네요. 버리나가 혼자 어딘가에 가서 자신의 삶을 들여다 볼 시간을 가지면 좋겠네요. 왜이렇게 주변인들이 그녀의 천재성을 이용하려고만 한다는 생각이 들까요? 대의보다는 한 여성의 삶이 조종당하는 느낌을 지울 수 없습니다. 그래서 오히려 버리나에게 말도 안되는 반기를 드는 랜섬에게 끌리는게 아닌가 싶어요. 일단 혼자 지내는 시간을 가져보라고 조언하고 싶습니다.
제 욕심만 고려한다면 결혼 이후 그녀를 침묵시키겠다는(단순히 그녀를 입 다물게 하겠다는 의미가 아닌 돈벌이가 시원치 않은 자신 때문에 버리나가 일을 하는 것이 싫다는 의미도 있지만..)남자에게 쉽게 마음을 주지 말라고 하고 싶습니다. 하지만 딱 봐도 버리나가 랜섬에게 호감을 느끼는 것이 보여 차마 말릴 수가 없네요. 기존의 인연을 우선하든 새롭게 닥쳐온 인연을 선택하든 전적으로 버리나의 자유죠. 그 과정에서 누군가를 상처 입히거나 버리나의 마음이 다치기도 하겠지만 죄책감을 느끼지 않았으면 합니다. 사실 버리나가 죄책감을 느껴야하는 관계가 있는지 의문이기도 해요. 다른 사람들이야 기대도 안했지만 올리브조차 제 욕심을 위해 버리나와 합의하지 않고 버래지 부인 집에 버리나를 가둬두려 했으니까요. 저만의 개똥철학(..)이지만 누군가를 사랑한다면 자신이 꺼려하는 것도 상대가 좋아한다면 기꺼이 시간을 보태 관심을 가지고 함께 진지하게 어울려줘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그래서 랜섬이 못마땅하게 느껴진 건지.. 여하튼 ICE9님께서 말씀하신 것처럼 서두르지 말고 랜섬이 버리나에게 내어줄 수 있는 헌신이 어느 정도인지 좀 더 살펴본 후에 마음을 결정하라고 권하고 싶습니다. 버리나는 아직 젊으니까요.
속으로는 잔소리를 오백만 개 정도 꺼내놓다가, 결국은 본인이 하고 싶은 게 최우선이지… 생각하며 입을 다물게 되는 저의 심리랑 비슷한 댓글이네요! 다른 인물들도 다 본인의 가치관에 따라 움직이는데, 버리나라고 그러면 못할 이유는 없으니까요. 굳이 한마디 던져야 한다면, 리틀마이의머리끈님이 남겨주신 것처럼 급하지 않으니 신중하게 고민해보자, 정도일 것 같네요!
질문과 별개로 읽을수록 헨리 제임스 특유의 캐릭터를 철저하게 객관화해서 서술하는 이 방식이 너무 재밌습니다. 인물의 장단점을 더 잘 파악할 수 있고 그래서 등장인물들이 대화를 나누거나 할 때, 저도 그 방 한구석 어딘가에 자리해서 듣고 있는 기분이 들어 상상의 여지가 많아요. 책이 끝나가는 게 아쉽네요!
작성
글타래
화제 모음
지정된 화제가 없습니다
[책나눔 이벤트] 지금 모집중!
[도서증정][김세진 일러스트레이터+박숭현 과학자와 함께 읽는]<극지로 온 엉뚱한 질문들> [도서 증정] 1,096쪽 『비잔티움 문명』 편집자와 함께 완독해요[📚수북플러스] 3. 깊은숨_수림문학상 작가와 함께 읽어요[책 증정] <그 남자는 책을 읽었다> 편집자와 함께 읽기
💡독서모임에 관심있는 출판사들을 위한 안내
출판사 협업 문의 관련 안내
그믐 새내기를 위한 가이드
그믐에 처음 오셨나요?[메뉴]를 알려드릴게요. [그믐레터]로 그믐 소식 받으세요
[그믐클래식] 1월부터 꾸준히 진행중입니다. 함께 해요!
[그믐클래식 2025] 한해 동안 12권 고전 읽기에 도전해요! [그믐클래식 2025] 1월, 일리아스 [그믐클래식 2025] 2월, 소크라테스의 변명·크리톤·파이돈·향연[그믐클래식 2025] 3월, 군주론 [그믐클래식 2025] 4월, 프랑켄슈타인 [그믐클래식 2025] 5월, 월든[그믐클래식 2025] 6월, 마담 보바리 [그믐클래식 2025] 7월, 프로테스탄트 윤리와 자본주의 정신
7월 23일 그믐밤 낭독은 <리어 왕>
[그믐밤] 37. 달밤에 낭독, 셰익스피어 3탄 <리어 왕> [그믐연뮤클럽] 3. "리어왕" 읽고 "더 드레서" 같이 관람해요
수북탐독을 사랑하셨던 분들은 놓치지 마세요
[📚수북플러스] 2. 귀하의 노고에 감사드립니다_수림문학상 작가와 함께 읽어요[📚수북플러스] 1. 두리안의 맛_수림문학상 작가와 함께 읽어요
우리가 몰랐던 냉전의 시대
[책걸상 '벽돌 책' 함께 읽기] #24. <소련 붕괴의 순간>[책걸상 '벽돌 책' 함께 읽기] #23. <냉전>[책걸상 '벽돌 책' 함께 읽기] #16. <마오주의>
댓글로 쌓아올린 세포, 아니 서평들
작별하지 않는다도시의 마음불안세대
반가운 모임지기들, 라아비현과 꼬리별
[라비북클럽] 불편한 편의점 북투어 같이 한번 읽어봐요 우리
편집자와 함께 읽어요!
[김영사/책증정] ★편집자와 함께 읽기★ 《죽은 경제학자의 살아있는 아이디어: 개정증보판》[도서 증정] 내일의 고전 <불새> 편집자와 함께 읽어요!1인출판사 대표이자 편집자와 책읽기[도서 증정] <먼저 온 미래>(장강명) 저자, 편집자와 함께 읽어요!
제발디언들 여기 주목! 제발트 같이 읽어요.
[아티초크/책증정] 구병모 강력 추천! W.G. 제발트 『기억의 유령』 번역가와 함께해요.(8) [제발트 읽기] 『이민자들』 같이 읽어요(7) [제발트 읽기] 『토성의 고리』 같이 읽어요(6) [제발트 읽기] 『전원에서 머문 날들』 같이 읽어요
🎁 여러분의 활발한 독서 생활을 응원하며 그믐이 선물을 드려요.
[인생책 5문 5답] , [싱글 챌린지] 완수자에게 선물을 드립니다
서리북 아시나요?
<서리북 클럽> 두 번째_편집자와 함께 읽는 서리북 여름호(18호) 혼돈 그리고 그 너머서울리뷰오브북스 북클럽 파일럿 1_편집자와 함께 읽는 서리북 봄호(17호) 헌법의 시간 <서울리뷰오브북스> 7호 함께 읽기
문풍북클럽의 뒷북읽기
[문풍북클럽] 뒷BOOK읽기 : 7월의 책 <혼모노>, 성해나, 창비[문풍북클럽] 6월 : 한 달간 시집 한 권 읽기 [문풍북클럽] 뒷BOOK읽기 : 5월의 책 <죽이고 싶은 아이 1,2권>[문풍북클럽] 뒷BOOK읽기 : 4월의 책 <예술도둑>
모집중밤하늘
내 블로그
내 서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