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1.
16장 205쪽 ‘당신이 바이러스 입장이 되어 보라.~ ’로 시작되어 209쪽까지 계속되는 바이러스의 인체 내 활동에 대한 설명이 정말 좋았어요 +_+ 저 이 부분 읽을 때 제 머리속에 자동으로 영상이 떠오르더라구요~ 저자님의 글솜씨가 정말 좋다고 생각했어요. 그리고 번역도 정말 훌륭하구요+_+ 이 책 대중과학서로 주변에 마구마구 추천해주고 싶다는 생각이 들었어요 흐흐
[그믐북클럽] 14. <해파리의 시간은 거꾸로 간다> 읽고 실천해요
D-29

우주먼지밍
리브
치주염이 암시하는 것이 이렇게 많다니요. 저는 치주염은 거의 없는데 최근에 치과 진료를 받으면서 치실을 사용을 권고 받아서 치실을 구매했는데요. 처음 써보는거라 잘 안되서 이틀 사용하고 그만두었는데 다시 사용해야겠네요. 할게 점점 늘어나네요...건강 염려증 생길것 같아요...
리브
단 하나의 예외도 없이 인간을 괴롭히는 모든 노화 관련 발병에 끼어든다는 것이다.
『해파리의 시간은 거꾸로 간다 - 세월의 무게를 덜어 주는 경이로운 노화 과학』 p.205, 니클라스 브렌보르 지음, 배동근 옮 김
문장모음 보기

메이플레이
F-1
18장 취미 삶아 굶어보기 제목부터 눈에 띄었습니다.
'덜 먹으면 더 오래 산다'는 말이 먹는 것이 풍족한 이 시대에 꼭 기억해야 할 말 같습니다. 간헐적 단식에 대한 설명에서 꽤 괜찮은 방법인 것 같아 실천해보고 싶었습니다.

siouxsie
F-1. 중년이 되니 SNS알고리즘 추천으로 몸의 염증을 치료해야 살이 빠진다는 광고를 자주 접합니다. 그것이 면역계가 파괴되어 생긴 염증이라니...뭐 당연한 이야기지만요. 젊은이의 면역체계를 노인이 갖게 되면 감염이나 전염에서 취약해지지 않을 거란 가설....하지만 부작용이 먼저 걱정되는 것도 중년이라 그런 거겠죠?

바닿늘
F-1.
한 실험에서는 참가자들을 두 그룹으로 나눈 다음
첫 번째 그룹에는 늘 먹던대로 먹으라고 하고, 다
른 그룹에는 앞으로 2년 동안 식사량을 25퍼센트
까지 줄여 달라고 요청했다. 물론 늘 먹던 음식을
자발적으로 그 정도까지 줄이는 것은 사실상 불가
능한 것으로 드러났다. 그러나 2년의 실험 기간이
끝날 때쯤 두 번째 그룹은 여전히 절식하려 애쓰고
있었고, 칼로리 섭취량을 12퍼센트 정도까지는 줄
일 수 있었다. 목표만큼 음식 섭취량을 줄이지는 못
했지만, 그 정도로도 참여자들의 건강에 상당히 긍
정적인 영향을 미친 것으로 드러났다. 절식 그룹의
건강이 전반적으로 호전되었다는 결과가 나왔다.
사실 그런 변화는 칼로리제한협회의 사람들과 열
량 제한 연구에 동원되었던 실험 동물에게서도 볼
수 있었던 것이다. 당신이라면 이 정도의 이익을
보기 위해 자발적으로 절식을 실천 하겠는가? 아마
도 아닐 것이다. 나를 포함해서 대다수의 사람들에
게는 그렇게 해서 얻을 수 있는 이점이 충분하지 않
다. 첫째, 열량 제한이 인간에게 얼마나 효과가 있을
까 하는 불확실성이 있다. 일반적으로 어떤 동물의
수명이 길수록 열량 제한의 효과는 감소하는 것으로
보인다. 즉 벌레에게는 효과가 아주 막대하고, 생쥐
의 경우 괜찮은 효과를 내고, 붉은털원숭이에게도
그럭저럭 양호한 효과를 보이지만, 인간의 경우는
아마도일 수 있다는 것이다. 사실 이런 경향은 대부
분의 수명 연장 조치가 보여 주는 일반적인 양상이
다. 나는 인간이 열량 제한으로 거둘 수 있는 수명
연장의 효과는 기껏해야 몇 년 정도라고 생각한다.
그 정도도 매뉴얼대로 정확히 실천에 옮겼을 때에야
얻을 수 있다. 둘째, 절식하는 동안 실험 대상자들이
그다지 행복하지 않았다. 많은 피험자들은 기운이
빠지고, 피로하며, 체온이 떨어지는 걸 느꼈다고 했
다. 아마도 실험동물들도 그렇게 느꼈을 것이다.
열량 제한을 받는 생쥐들은 여분의 음식이 주어지
면 탐욕스러운 포식자처럼 게걸스럽게 먹는다.
그런 걸 보면 열량 제한이 사람들에게 주는 효과에
대해서는 확신하기가 어렵지만, 그것으로 인해 삶
이 매우 길고 지긋지긋하게 느껴질 것이라는 확신
은 든다. 그러나 열량 제한으로 얻는 이점이 단점을
능가할 정도는 아니라고 하더라도 이 연구 결과는
우리에게 여전히 유용할 수 있다. 우선, 과식하지
않는 것이 얼마나 중요한지 경고하는 효과가 있다.
우리가 비록 스스로 배를 곯게 만들고 싶지는 않더
라도 과도하게 배를 채울 이유도 없는 것이다.
p. 226~227

선경서재
F-1. 장수를 위해 우리가 해야할 일은 양치질(치실질)과 적게 먹게! ^^
클라이브 매케이 교수의 말처럼 어린이가 빨리 성장하는 것에 관심을 둔다면, 그것은 노화에 빠른 촉진과 연관될 거라는 생각이 들어요. 아이가 자기 속도에 맞추어 '적당히' 자랐으면 싶네요.

선경서재
간단히 말해서 미생물들은 단지 노화 관련 질병의 위험을 높일 뿐만 아니라 노화 과정에 관여한다고 알려진 모든 것에 영향을 미친다. 우리가 반드시 해결해야 할 골칫거리다. p209
『해파리의 시간은 거꾸로 간다 - 세월의 무게를 덜어 주는 경이로운 노화 과학』 니클라스 브렌보르 지음, 배동근 옮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