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따데오 이시도르 끄루스(1829-1874)의 전기~] 에고고 조금 늦었습니다.
이번 단편도 약간의 배경을 알면 더 재미있게 읽을 수 있는데요, 배경을 모르더라도 큰 상관은 없지만 반만 읽은 찝찝한 기분이 들 수도 있습니다. 요약하자면 이 단편은 아르헨티나의 서사시 ⟪마르띤 피에로⟫에 등장하는 동명의 주인공을 잡으러 왔다가, 되레 같이 도망자 신세가 되는 따데오 이시도르 끄루스라는 인물을 다룹니다. 서사시의 공백에 보르헤스가 나름의 상상력을 가미한, 일종의 프리퀄이라고 봐도 무방하지 않을까 합니다.
눈치 챘을 수도 있겠지만, 이번 단편의 주인공인 따데오 이시도르 끄루스는 이전에 다뤘던 ⟨전사와 포로에 관한 이야기⟩에 나오는 드록툴프트의 이야기를 닮았습니다. 추측컨대 보르헤스는 드록툴프트의 역사에서 서사시 마르띤 피에로를, 마르띤 피에로에서 드록툴프트를 읽었던 게 아닌가 합니다. 드록툴프트가 자신이 속해있던 롬바르드족을 버리고 애당초 침공하려던 라벤나를 수호하다가 전사한 것처럼, 이 작품에 나오는 끄루스 역시 마르띤 피에로를 잡으러 왔다가 심정적인 변화를 느끼고 마르띤 피에로에게 동조합니다. 이 심정적인 변화의 순간은 논리적으로 설명하기 힘듭니다. 따데오 이시도르 끄루스의 전기를 살펴보기에 앞서, 이전에 언급했던 드록툴프트가 변화하게 된 지점을 다시 한번 살펴봐도 좋을 것 같습니다.
(4) [보르헤스 읽기] 『알렙』 같이 읽어요
D-29
화제로 지정된 대화

russist

russist
“ 아마 그에게는 로마의 영원한 문자 들로 이해할 수 없는 글들이 새겨져 있는 단 하나의 아치를 보는 것만으로도 그런 느낌을 갖기에 충분하리라. 순식간에 그러한 발견, 즉 도시는 그의 눈을 멀게 했다가 그로 하여금 다시 새롭게 눈을 뜨게 만든다. 그는 자신이 그 도시 속에서 한 마리의 개나 어린애에 불과하고, 그 도시라는 것에 대해 도대체 이해조차 못하리라는 것을 안다. 그러나 또한 그는 그 도시가 자신의 신들과 자신이 서약한 신앙과 독일의 모든 늪지대들보다 더 값지다는 것을 느낀다. 드록툴프트는 자신이 속해 있는 군대를 버리고 라베나를 위해 싸운다. ”
『알렙』 69쪽, 호르헤 루이스 보르헤스 지음, 황병하 옮김
문장모음 보기

모시모시
아무리 길고 복잡한 운명이라고 할지라도, 모든 삶은 실질적으로 ‘단 하나의 순간’으로 이루어진다. 그것은 인간이 자기가 누구인지 영원히 알게 되는 순간이다.
『알레프』 타데오 이시도로 크루스의 전기, 호르헤 루이스 보르헤스 지음, 송병선 옮김
문장모음 보기

모시모시
나는 세상이 만들어지기 전에 내가 가졌던 얼굴을 찾고 있다.
— 예이츠, 「나선 계단」
『알레프』 타데오 이시도로 크루스의 전기, 제사, 호르헤 루이스 보르헤스 지음, 송병선 옮김
문장모음 보기

quentin
내 목적은 그의 이야기를 되풀이하는 게 아니다. 그 이야기를 구성하는 수많은 낮과 밤 가운데 나는 단지 하룻밤에만 관심이 있다.
『알레프』 69, 호르헤 루이스 보르헤스 지음, 송병선 옮김
문장모음 보기

quentin
그는 이미 과거의 삶을 고친 상태였다. 그즈음에 그는 마음 깊은 곳에서는 행복하지 않았지만, 틀림없이 자기 자신을 행복한 사람으로 여겼을 것이었다.
『알레프』 71, 호르헤 루이스 보르헤스 지음, 송병선 옮김
문장모음 보기
화제로 지정된 대화

russist
[~따데오 이시도르 끄루스(1829-1874)의 전기] 트록툴프트가 자신의 동족을 버리고 라벤나를 수호하기로 마음 먹은 순간은 자기 인생 전체를 걸 정도로 커다란 전환의 순간입니다. 그런 전환의 순간이란, 부분이 전체를 압도하고도 남는 비대칭의 지점이기도 합니다. 보르헤스가 이 소설에서 설득하려는 것도 바로 끄루스가 느낀 전환의 순간이고요.
언젠가 보르헤스는 자신의 책에서 단테의 신곡을 언급하면서 이렇게 쓴 적 있습니다. "우리 각자는 인생의 어느 한순간에, 즉 우리가 자기 자신과 영원히 만나는 순간에 규정되고 맙니다." 오래전부터 전통적인 의미의 소설에서 인물들은 변하거나 변하지 않는 모습을 보였습니다. 이 변화하거나 변화하지 않는 지점은 한 인물이 "자기 자신과 영원히 만나는 순간"을 보여주는데요, 생각해보면 소설은 그런 순간을 논리가 아닌 문체로 설득하는 장르가 아닌가 합니다. 거의 모든 소설에서는 이런 순간이 있습니다. 표면적으로 드러나 있든 그렇지 않든 그렇다고 저는 생각하고 있습니다.
다시 본문 얘기를 좀 해보면, 따데오 이시도르 끄루스는 젊었을 적에 가우초로 대변되는 야만의 세계에 살았습니다. 그러다가 불가사의한 단절의 시간을 건너, 한 지방 경찰서의 경사로서 살아가고 있는 자신을 발견합니다. 운명에 순응하면서도 그런 줄 모르고 살아가는 여느 사람들처럼 "가슴 깊은 곳에서는 그러지 않았지만 스스로 행복하다고" 믿어 의심치 않은 채로요. 그러다가 끄루스는 우연히 살인자 마르띤 피에로를 맞닥뜨리게 되고, 자기 운명 속에 잠복해 있었던 진짜 얼굴과 진짜 목소리를 마주하게 됩니다. 이때부터 끄루스는 영원히 자기 자신이 되어버리는데, 여기서 말하는 '이때'란 전체가 부분으로 수렴하는 "단 한순간"입니다.
마지막으로 보르헤스가 그 "단 한순간"을 어떻게 표현했는지 살펴보겠습니다. 개인적으로 해당 대목이 재밌다고 생각되어서, 네 가지 버전을 모두 살펴보겠습니다. 차례로 황병하 선생님, 송병선 선생님, Andrew Hurley의 영역본, 보르헤스의 원문입니다.

말하는 보르헤스호르헤 루이스 보르헤스 논픽션 전집. 1994년에 첫 출간된 보르헤스 전집이 픽션 모음집이었다면 이번 전집은 보르헤스가 발표했던 논픽션을 모았다. 픽션과는 다른 매력의, 인간적인 보르헤스를 만날 수 있다.
책장 바로가기

russist
“ (미래 속에 감추어진 그 근본적이고 찬란한 밤이 그를 기다리고 있었다. 마침내 자신의 원래의 얼굴을 보고, 자신의 원래의 목소리를 들었던 그 밤. 이 밤을 잘 이해하는 것으로 그에 관한 이야기는 끝이 난다. 보다 정확히 말해 이 밤의 한순간, 아니 이 밤에 그가 했던 행동 하나. 왜냐하면 행동들이란 바로 우리 인간들의 상징이기 때문이다.) 얼마나 길고 복잡한 과정을 거쳤건 간에 어떤 운명도 단 한순간의 현실 속에 다 담겨 있는 법이다. 인간이 영원히 자신이 누구인지 알게 되는 순간. 마케도니아의 왕 알렉산더는 아킬레스의 전설적인 이야기 속에서 무인으로서의 자신의 미래를 보았다고 전해진다. 스웨덴의 찰스 7세는 역으로 알렉산더에게서 그것을 보았다고 한다. ”
『알렙』 79-80쪽, 호르헤 루이스 보르헤스 지음, 황병하 옮김
문장모음 보기

russist
“ (어느 찬란하고 중요한 밤이 미래에서 비밀스럽게 그를 기다리고 있었다. 그 밤에 그는 마침내 자신의 얼굴을 보았고, 마침내 자신의 이름을 들었다. 충분히 이해할 수 있겠지만, 그날 밤, 다시 말하면 그날 밤의 한순간, 혹은 그날 밤의 한 행위는 그의 모든 이야기를 내포한다. 그것은 행위들이 바로 우리의 상징이기 때문이다.) 아무리 길고 복잡한 운명이라고 할지라도, 모든 삶은 실질적으로 ‘단 하나의 순간’으로 이루어진다. 그것은 인간이 자기가 누구인지 영원히 알게 되는 순간이다. 마케도니아의 알렉산더 대왕은 자기의 냉혹한 미래가 아킬레우스의 멋진 이야기 속에 반영된 것을 보았으며, 스웨덴의 카를 12세는 알렉산더 왕에게서 자신의 미래를 보았다고 전해진다. ”
『알레프』 71-72쪽, 호르헤 루이스 보르헤스 지음, 송병선 옮김
문장모음 보기

russist
“ (In the future, secretly awaiting him, was one lucid, fundamental night the night when he was finally to see his own face, the night when he was finally to hear his own true name. Once fully understood, that night encompasses his entire story-or rather, one incident, one action on that night does, for actions are the symbol of our selves.) Any life, however long and complicated it may be, actually consists of a single moment⏤the moment when a man knows forever more who he is. It is said that Alexander of Macedonia saw his iron future reflected in the fabulous story of Achilels; Charles XII of Sweden, in the story of Alexander. ”
『알렙』 Andrew Hurley, Collected Fictions, 222p., 호 르헤 루이스 보르헤스 지음, 황병하 옮김
문장모음 보기

russist
“ (Lo esperaba, secreta en el porvenir, una lúcida noche fundamental: la noche en que por fin vio su propia cara, la noche en que por fin oyó su nombre. Bien entendida, esa noche agota su historia; mejor dicho, un instante de esa noche, un acto de esa noche, porque ios actos son nuestro símbolo). Cualquier destino, por largo y complicado que sea, consta en realidad *de un solo momento',* el momento en que el hombre sabe para siempre quién es. Cuéntase que Alejandro de Macedonia vio reflejado su futuro de hierro en la fabulosa historia de Aquiles; Carlos XII de Suecia, en la de Alejandro. ”
『알렙』 Ficciones. El Aleph. El informe de Brodie, 168p., 호르헤 루이스 보르헤스 지음, 황병하 옮김
문장모음 보기

russist
각자 원하는 언어로 번역해봐도 재밌을 겁니다. 부끄럽지만 저도 해봤는데요, Claude와 DeepL의 힘을 빌려서 이렇게 한번 해봤습니다.
"(그 명료하고 근원적인 밤이 미래에서 은밀히 그를 기다리고 있었다. 마침내 그가 자신의 진짜 모습을 보게 된 밤, 마침내 자신의 진짜 이름을 듣게 된 밤이었다. 밤을 제대로 이해하기만 한다면 그의 역사 전체가 설명된다. 그러니까 그 밤의 한 순간, 그 밤의 한 행위로써 말이다. 왜냐하면 행위들이야말로 우리의 상징이기 때문이다.) 아무리 길고 복잡한 운명이라 해도 실제로는 단 하나의 순간으로 이루어진다. 바로 한 인간이 영원히 자신이 누구인지 알게 되는 순간. 마케도니아의 알렉산더 대왕은 아킬레우스의 전설에 반영된 자신의 철의 미래를 보았다. 스웨덴의 카를 12세 역시 알렉산더 대왕의 이야기에서 자신의 미래를 보았다."

모시모시
오 다른 판본으로 보니까 재미있네요.
송병선 선생님 번역으로 읽었을 때 "~ 내포한다" 부분이 잘 이해가 안 되었었는데, 스페인어 동사 agotar, 영어 동사 encompass 로 되어있었군요. 이렇게 다 펼쳐놓고 보니 감이 더 옵니다. :)

russist
아하, 그렇군요! agotar라는 표현이 이 지점에서는 굉장히 시적이어서 한국어로 뭐라고 옮겨야 할지 잘 모르겠네요. '(바닥을) 드러내다', '탕진하다', '고갈시키다'라는 의미로 나오는데, 이 맥락에서 굳이 대응되는 표현을 찾자면 "그 밤을 제대로 이해한다면, 그의 삶이 모두 고갈된다/낱낱이 드러난다" 정도가 될 것 같네요.
고맙습니당!
화제로 지정된 대화

russist
[엠마 순스~] 내용 자체는 직선적이고 간단한 편에 속합니다만, 현실의 사실과 소설적 진실 사이의 차이점에 대한 보르헤스의 사고관을 엿볼 수 있는 단편입니다.
추측컨대, 주인공 엠마 순스의 아버지인 엠마누엘 순스 씨는 1916년 경에 로웬탈 방직 공장에서 경리 계원으로 일을 하다가 기금 착복을 했다는 억울한 혐의를 받고 해고된 인물 같습니다. 소설은 엠마 순스가 1922년 1월 14일 그녀의 아버지가 베루날 수면제를 먹고 자살했다는 편지를 받으면서 시작됩니다. 엠마 순스는 아버지의 억울한 혐의를 미리 알고 있었고, 이에 따라서 아버지를 대신해서 은밀히 복수를 행하기로 마음 먹습니다.
개인적으로는 이 작품을 읽으면서, 보르헤스가 정통적인 단편 소설을 쓰는 데도 능하다는 인상을 받았습니다. 아래 소개할 두 문장은 전 형적인 추리 소설의 플롯과 서스펜스물의 구성 원리가 잘 집약된 인용구가 아닌가 합니다.

russist
로웬탈은 그녀가 알고 있다는 사실을 몰랐다. 엠마 순스는 그 하찮은 사실에서 자기가 유리한 입장에 있다는 느낌을 받았다.
『알레프』 77쪽, 호르헤 루이스 보르헤스 지음, 송병선 옮김
문장모음 보기

모시모시
“ 사실 그 이야기는 믿을 수 없는 말이었지만, 본질적으로 사실이었기에 모든 사람들을 납득시켰다. 엠마 순스의 말투는 진실이었고, 그녀가 느낀 수치심도 사실이었고, 그 녀의 증오도 진실이었다. 또한 그녀가 겪었던 능욕도 사실이었다. 단지 주변 정황과 시간, 그리고 한두 개의 이름들만이 거짓이었다. ”
『알렙』 엠마 순스, 호르헤 루이스 보르헤스 지음, 황병하 옮김
문장모음 보기

quentin
“ 그녀는 얼른 그 날이 지나갔으면 하고 바랐다. 그리고 즉시 그녀는 그런 소망이 아무런 소용도 없다는 것을 깨달았다. 아버지의 죽음만이 세상에서 일어난 유일한 사건이었고, 그런 일은 앞으로도 끊임없이 일어날 것이기 때문이었다. 그녀는 종이를 집어 들고는 자기 방으로 갔다. 그러고는 마치 앞으로 일어날 사건들이 어떤 것인지 이미 알고 있는 것처럼 살그머니 그 편지를 서랍 속에 보관했다. 아마도 이미 일어날 사건들을 보기 시작했을 것 이다. 그녀는 자기가 되려고 하는 사람이 이미 되어 있었다. ”
『알레프』 호르헤 루이스 보르헤스 지음, 송병선 옮김
문장모음 보기
화제로 지정된 대화

russist
[~엠마 순스] 소설의 세부 사항에도 논할 내용이 많기는 하지만, 여기서는 현실의 사실과 무관하게 소설은 장르로서 소설적 진실을 탐구한다는 점을 중점적으로 말해보고 싶습니다. 소설에서 엠마 순스는 아버지의 복수를 위해서 로웬탈 공작을 죽일 계획을 세우고 실행합니다. 현실로 이러한 사건을 가져온다면 엠마 순스는 사실이 아닌 일을 거짓으로 꾸며서 없는 죄를 뒤집어 씌울 계획을 세우고 실행했다는 점에서 무고로 처벌되어야 할 것입니다. 그렇지만 소설은 현실이 아니라는 간단한 사실을 지적하는 것만으로도 우리는 엠마 순스의 무고를 운운하지 않고도 그 소설적 기법과 진실성을 논할 수 있습니다. 즉, 현실의 사실과 소설적 진실 사이의 차이에 대해서 말할 수 있는 것입니다.
우리는 흔히 현실의 사실과 소설적 진실을 혼동하면서, 거기에 함부로 도덕적 잣대를 들이밀려고 합니다. 하지만 그것은 드라마 속 악역을 연기하는 배우를 찾아가서 뺨을 때리는 행위만큼이나 어리둥절한 상황이 되기 십상입니다. 소설은 얼마든 도덕적으로 논의될 수 있지만, 그러한 논의에 앞서서 소설은 허구의 장르로서 나름의 자유와 도덕적 유예 공간을 확보한다고 저는 생각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그 유예공간에서 자유와 부자유, 도덕과 비도덕, 법과 범법의 경계를 사유할 여지가 생기는 것이고요. 그러므로 소설의 사실을 현실과 등치에 놓고 잘잘못을 논하며 소모적인 논의를 하기보다, 애초에 소설이 지향하고자 했던 소설적 진실이 무엇인지 얘기해보는 일이 더 중요합니다. 보르헤스가 엠마 순스를 통해서 전달하고자 했던 소설적 진실은 마지막 구절에서 엿볼 수 있습니다. 제가 좋아하는 신영복 선생님의 글 한 대목도 같이 첨부합니다.

russist
“ 사실 이 이야기는 믿기 힘든 것이었지만 본질적으로 그것은 진실이었기에 모든 사람들의 심금을 울렸다. 엠마 순스의 그 떨리는 어조는 진실이었고, 그녀의 증오는 진실이었다. 그녀가 겪었던 분노 또한 진실이었다. 단지 주변 정황과 시간, 그리고 한두어 사람의 이름들만이 거짓이었을 뿐이었다. ”
『알렙』 92쪽, 호르헤 루이스 보르헤스 지음, 황병하 옮김
문장모음 보기
작성
게시판
글타래
화제 모음
지정된 화제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