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냉전 이후 현재는 강대국을 포함해 많은 나라가 사이버 무기로 전력을 강화했다. 사이버 무기는 그 존재와 사용 여부를 은폐하고 부인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허위정보 유포, 첩보, 파괴 공작, 전통적 분쟁 사이에 존재하는 모호한 경계선상에서 사용할 수 있다는 점이 강점이다. 즉, 독트린을 명시하지 않고 전략을 수립할 수 있다. 하지만 기술이 발전하면 허점도 생기기 마련이다. ”
『AI 이후의 세계 - 챗GPT는 시작일 뿐이다, 세계질서 대전환에 대비하라』 5장 안보와 세계질서, 헨리 A. 키신저 외 지음, 김고명 옮김
문장모음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