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걸상 '벽돌 책' 함께 읽기] #04. <감정은 어떻게 만들어지는가?>

D-29
이제 괜찮으신거죠? 얼른 나으시길 바래요.
저도 며칠 전부터 시작했어요. 오늘 4장까지 따라갑니다.
@개와고양이 네, 환영합니다! "아는 만큼 느낀다!"
P.17
4장의 ‘운전석에 앉아 있는 것은 정동이고, 합리성은 승객이다’라는 대목에서 도덕심리학자 조너선 하이트의 『바른 마음』이 떠오릅니다. 하이트는 여기서 도덕적 판단에 대해 직관이 코끼리이며, 이성은 기수라고 하지요. 기수는 그저 코끼리 위에 올라타 코끼리가 가는 대로 갈 뿐이지만 자기가 코끼리를 조종하고 있다고 착각합니다. 실제로는 이성은 직관이 내린 결론을 끊임없이 합리화할 뿐이라고요.
바른 마음 - 나의 옳음과 그들의 옳음은 왜 다른가현재 영미권의 가장 ‘핫’한 사회심리학자 조너선 하이트는 이 책 《바른 마음》을 통해 인간의 사고와 행동의 근원에 놓인 ‘바른 마음’을 발견한다. 하이트는 직접 인간의 행동을 관찰하고 “우리는 무엇 때문에 그렇게 행동하는가”에 대한 그 이유를 밝혔다.
그렇죠. 이제 이 아이디어는 여러 증거를 통해서 뒷받침되는 것으로 보여요. 사실, 그렇게 되면 여러 가지 문제가 생기죠. 특히 저자는 사법 체계에 아주 강한 문제 의식을 가지고 있더라고요. 허기진 상태인지 아닌지(점심 전후)에 따라서 가석방 심사 결과가 달라지는 정도가 또렷하게 보이는 상황이라면 과연 판사 혹은 그보다 훨씬 전문성이 떨어지는 배심원에게 판결을 맡기는 게 맞는가, 이런 고민이죠.
과학이 발전하니까 처음에는 인간이 우주의 중심에서 밀려나더니, 그 다음에는 만물의 영장 자리에서 밀려나고, 의식의 주인 자리에서도 밀려나고, 이제는 자기 감정의 주인 자리에서조차 밀려나나 보네요. 이거 어디까지 떨어질지... ^^
대안은 역시 AI일까요? AI를 잘 훈련시켜서 일차로 판결을 내리고 판사나 배심원이 나중에 허가하는 건 어떨지
아니면 배심원들은 무조건 평결 전에 햄버거를 하나씩 먹어야 한다는 규정을 도입하거나... ^^;;;
금강산이 아니라 재판도 식후경이란 규정을..;;
제가 저 “배고픈 판사 연구”를 다른 책에서도 본 것 같거든요? 그래서 궁금해졌어요. 유명한 한 연구를 여기저기서 인용하고 있는 건지 아니면, 비슷한 연구가 여러 건 나와서 데이터가 쌓인 건지. 만약 후자라면 당장 현실적인 대처 방안을 마련해야 할 것 같아서요.
한국 재판이라면 선고기일 잡은 뒤 판사가 자기 사무실에서 판결문을 써 와서 법정에서 읽는 거니까 선고공판이 점심 이전인지 이후인지는 큰 상관없을 거 같아요. 즉결심판의 경우는 대부분 가벼운 범죄에 대해서 기계적으로 내리는 판결이고 정식재판을 청구할 수 있으니 큰 문제가 안 될 거 같고요. 미국 재판, 특히 배심원이 결정하는 재판에서라면 정말 어떤 보완장치가 있어야 할 거 같습니다. 저희가 모르는 보완 장치가 이미 마련되었는지도 모르겠네요.
그리고 Danziger(2011)의 식사시간과 재판과 관련된 연구를 비판하고 식사시간의 영향이 지나치게 해석되었다는 반박 자료 또한 주석에 달려있는데요. 핑커의 책에서도 그렇듯이 한 유명한 연구 결과가 나오면 보통 반대 의견이나 연구 비판 내용이 잇따라서.. 양쪽을 다 검토해보는 게 좋은 것 같아요. https://how-emotions-are-made.com/notes/World-focused_affect https://mindhacks.com/2016/12/08/rational-judges-not-extraneous-factors-in-decisions/ https://www.cambridge.org/core/journals/judgment-and-decision-making/article/irrational-hungry-judge-effect-revisited-simulations-reveal-that-the-magnitude-of-the-effect-is-overestimated/61CE825D4DC137675BB9CAD04571AE58
이 배고픈 판사 연구는 생각보다 꽤 오래 전에 발표되었네요. 전 5년 이내 연구인줄.. 그렇담 지금엔 반박할거 반박하고 타당하다면 대책이 벌써 만들어졌겠네요.
오호 이 책도 재미있어보이네요.. 함읽하면서 읽어보고 싶은 책들이 몇 배로 늘어난;;
아, 이 책은 주저 없이 강력 추천합니다. 읽고 조너선 하이트의 팬이 되었습니다. 어쩌다 보니 하이트와 화상 통화도 했습니다.
와 화상통화!! 굉장한데요. 저번에 그믐 모임에서 작가분과 글로 질문하고 답변 주실 때도 확실히 이해하는데 많은 도움이 되더라구요.
저도 이 책 강추요. 그런데...화상통화라니 와 작가님 성덕이 되셨네요!
시사 다큐멘터리 진행을 맡으면서 화상 인터뷰를 했었습니다. 소셜미디어의 문제점에 대한 내용이었고, 『나쁜 교육』을 읽었던 제가 제작진에게 추천했어요. 섭외가 될줄 몰랐는데 어쩌면 한국계 부인 때문에 섭외됐는지도 모르겠어요. ^^
그런데 파충류 뇌인 뇌간 위에 포유류 뇌인 변연계가 있고 그 위에 피질이 있어서 이성적인 판단은 피질에서 나온다는 이론은 근거가 없는 거였군요. 하도 많은 책에 나와서 그런가 보다 했는데.
작성
글타래
화제 모음
지정된 화제가 없습니다
[책나눔 이벤트] 지금 모집중!
[도서 증정] 『안정감 수업』 함께 읽으며 마음을 나눠요!🥰[📚수북플러스] 5. 킬러 문항 킬러 킬러_수림문학상 작가와 함께 읽어요[길속글속] 『잊혀진 비평』, 함께 읽어요:) ‘도서 증정 이벤트’도 하고 있습니다.[책 증정] 호러✖️미스터리 <디스펠> 본격미스터리 작가 김영민과 함께 읽기
💡독서모임에 관심있는 출판사들을 위한 안내
출판사 협업 문의 관련 안내
그믐 새내기를 위한 가이드
그믐에 처음 오셨나요?[메뉴]를 알려드릴게요. [그믐레터]로 그믐 소식 받으세요
조지 오웰에 관하여
[책걸상 '벽돌 책' 함께 읽기] #26. <조지 오웰 뒤에서>불멸의 디스토피아 고전 명작, 1984 함께 읽기[그믐북클럽X교보문고sam] 20. <위건 부두로 가는 길> 읽고 답해요[책걸상 함께 읽기] #7. <오웰의 장미>조지 오웰 [엽란을 날려라] 미리 읽기 모임
매달 다른 시인의 릴레이
[ 날 수를 세는 책 읽기 ㅡ9월 '나와 오기' ] [날 수를 세는 책 읽기ㅡ8월] '내가 네번째로 사랑하는 계절'〔날 수를 세는 책 읽기- 7월〕 ‘잠시 작게 고백하는 사람’[ 날 수를 세는 책 읽기ㅡ6월] '좋음과 싫음 사이'
앤솔로지의 매력!
[그믐앤솔러지클럽] 1. [책증정] 무모하고 맹렬한 처음 이야기, 『처음이라는 도파민』[그믐미술클럽 혹은 앤솔러지클럽_베타 버전] [책증정] 마티스와 스릴러의 결합이라니?![책나눔] 어딘가로 훌쩍 떠나고 싶을 때, 시간을 걷는 도시 《소설 목포》 함께 읽어요. [장르적 장르읽기] 5. <로맨스 도파민>으로 연애 세포 깨워보기[박소해의 장르살롱] 20. <고딕X호러X제주>로 혼저 옵서예[그믐앤솔러지클럽] 2. [책증정] 6인 6색 신개념 고전 호러 『귀신새 우는 소리』
좋은 스토리의 비밀을 밝혀냅니다
스토리 탐험단 8번째 여정 <살아남는 스토리는 무엇이 다른가>스토리탐험단 7번째 여정 <천만 코드>스토리탐험단 여섯 번째 여정 <숲속으로>
믿고 읽는 작가, 김하율! 그믐에서 함께 한 모임들!
[📚수북플러스] 4. 나를 구독해줘_수림문학상 작가와 함께 읽어요[책증정 ]『어쩌다 노산』 그믐 북클럽(w/ 마케터)[그믐북클럽] 11. <이 별이 마음에 들어> 읽고 상상해요
AI와 함께 온 우리의 <먼저 온 미래>
책걸상 인천 독지가 소모임[도서 증정] <먼저 온 미래>(장강명) 저자, 편집자와 함께 읽어요!
혼자 보기 아까운 메롱이 님의 '혼자 보기'
파인 촌뜨기들썬더볼츠*고백의 역사버터플라이
🎁 여러분의 활발한 독서 생활을 응원하며 그믐이 선물을 드려요.
[인생책 5문 5답] , [싱글 챌린지] 완수자에게 선물을 드립니다
모집중밤하늘
내 블로그
내 서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