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런데 파충류 뇌인 뇌간 위에 포유류 뇌인 변연계가 있고 그 위에 피질이 있어서 이성적인 판단은 피질에서 나온다는 이론은 근거가 없는 거였군요. 하도 많은 책에 나와서 그런가 보다 했는데.
[책걸상 '벽돌 책' 함께 읽기] #04. <감정은 어떻게 만들어지는가?>
D-29

장맥주

장맥주
“ 만약 감정 원형이 뇌에 저장되어 있는 것이 아니라면, 어떻게 사람들은 이런 특징을 그렇게 쉽게 열거할까? 아마도 당신의 뇌는 당 신이 필요로 할 때마다 원형을 즉석에서 구성할 것이다. 그동안 당신이 경험한 ‘슬픔’ 개념의 다양한 사례들이 당신의 머릿속에 조각조각 머물러 있다가, 당신의 뇌가 상황에 가장 어울리는 슬픔의 요약본을 눈 깜박할 사이에 구성할 것이다. ”
『감정은 어떻게 만들어지는가?』 5장 개념과 단어의 통계학, 리사 펠드먼 배럿 지음, 최호영 옮김
문장모음 보기

YG
제가 잠깐 함께 읽을 참고 도서로 소개했던 『감정이 어려운 사람들을 위한 뇌과학』의 저자 딘 버넷도 코로나19로 아버지를 갑작스럽게 잃고 나서 자기 감정이 전형적인 슬픈 사람의 모습이 아니라는 데에 혼란을 느끼죠. '왜 나는 다른 사람처럼 슬퍼하지 않을까?' (그가 감정의 과학을 한번 책으로 정리해보겠다, 마음을 먹게 된 동기입니다)
저자가 배럿의 견해를 떠올리는 것도 이 순간입니다. '아, 나는 사랑하는 사람을 잃어본 적이 없었기 때문에 이때 어떤 감정을 가져야 하는지 경험한 적도 없고 학습한 적도 없어서 이렇구나,' 이런 식으로요.

장맥주
가끔 제가 소시오패스처럼 느껴질 때가 있는데 그것도 혹시 전형적인 감정을 만들어내는데 서툴러서 그런 거 아닐까 하는 생각이 드네요. 『감정이 어려운 사람들을 위한 뇌과학』도 관심 책장에 잘 담아두겠습니 다. 코미디언 신경과학자라니, 저자가 정말 멋진 분이십니다.

장맥주
“ 목표에 기초한 개념은 매우 유연하고 상황에 맞게 적응할 수 있다. 수족관에 넣을 물고기를 사러 애완동물 상점에 가서는 점원이 “어떤 종류의 물고기를 찾으세요?”라고 물었을 때 “금붕어”나 “블랙 몰리”라고는 답해도, “데친 연어”라고는 답할 사람은 없을 것이다. 이 상황에서 당신이 가진 ‘물고기’ 개념은 식사 주문이 아니라 애완동물 구매라는 목표를 위한 것이며, 따라서 당신은 수족관에 가장 알맞은 ‘물고기’ 개념 사례를 구성할 것이다 ”
『감정은 어떻게 만들어지는가?』 5장 개념과 단어의 통계학, 리사 펠드먼 배럿 지음, 최호영 옮김
문장모음 보기

장맥주
“ 또한 하나의 물체가 여러 개념의 사례가 될 수 있다. 예컨대 차가 언제나 운송이라는 목표만을 대변하지는 않는다. 때때로 차는 ‘신분 상징’ 개념의 사례가 된다. 또 다른 상황에서는 차가 노숙자를 위한 ‘침대’가 될 수도 있고 ‘살인 무기’가 될 수도 있다. 만약 차를 바다에 내동댕이친다면, 차는 ‘인공 암초’가 될 것이다. ”
『감정은 어떻게 만들어지는가?』 5장 개념과 단어의 통계학, 리사 펠드먼 배럿 지음, 최호영 옮김
문장모음 보기

조영주
P.72


조영주
P.97


조영주
P.135


조영주
P.158


장맥주
“ 상사에게 주먹을 한 방 날리고 싶은 충동을 느낀 적이 있는가? 물론 나는 직장 폭력을 부추길 마음이 전혀 없으며, 직장 동료로서 훌륭한 자질을 갖춘 상사는 수두룩하게 많다. 그러나 때로는 ‘주먹을 부르는 얼굴’을 뜻하는 독일 감정 단어 ‘박파이펜게지히트(Backpfeifengesicht)’를 체현한 듯한 상사와 일을 해야만 하는 운명에 처할 때도 있다. ”
『감정은 어떻게 만들어지는가?』 6장 뇌는 어떻게 감정을 만들어내는가?, 리사 펠드먼 배럿 지음, 최호영 옮김
문장모음 보기

장맥주
좋은 단어 배웁니다. ‘박파이펜게지히트(Backpfeifengesicht)’... 이거 한국어로는 구타유발면상 정도로 반역해야 하는 건가요.

borumis
저도 참 좋은 단어인데.. 저걸 제대로 발음하지 못해서 아쉽네요..ㅋ

부엌의토토
“ 3.13명으로 이루어진 미국인 가족이 어디에도 존재하지 않는 것과 마찬가지로 설령 평균 분노 패턴을 확인할 수 있다고 하더라도 그것에 정확히 일치하는 분노 사례는 존재하지 않는다. 그리고 분노 사례가 존재도 불확실한 분노의 지문이라는 것을 닮아야 할 이유도 없다. 우리가 지금까지 지문이라고 불러 온 것은 그저 고정 관념일 뿐이다. ”
『감정은 어떻게 만들어지는가?』 55쪽, 리사 펠드먼 배럿 지음, 최호영 옮김
문장모음 보기

부엌의토토
내가 주장하는 것은 부엌에 있는 밀가루와 달걀이 여러 요리에 쓰일 수 있는 것과 마찬가지로 대다수 뉴런이 여러 목적에, 하나 이상의 기능에 관여한다는 것이다.
『감정은 어떻게 만들어지는가?』 61쪽, 리사 펠드먼 배럿 지음, 최호영 옮김
문장모음 보기

부엌의토토
다양성이 표준이다.
『감정은 어떻게 만들어지는가?』 66쪽, 리사 펠드먼 배럿 지음, 최호영 옮김
문장모음 보기

부엌의토토
“ 감정은 우리가 만들어낸다. 우리는 감정을 인식 또는 확인하지 않는다. 우리는 여러 체계의 복잡한 상호 작용을 통해 필요할 때마다 즉석에서 우리 자신의 감정 경험을 그리고 다른 사람의 감정에 대한 우리의 지각을 구성한다. 인간은 고도로 진화한 뇌의 동물적인 부분에 깊숙이 파묻혀 있는 가공의 감정 회로에 휘둘리는 존재가 아니다 . 우리는 우리 자신의 경험의 설계자다. ”
『감정은 어떻게 만들어지는가?』 97쪽, 리사 펠드먼 배럿 지음, 최호영 옮김
문장모음 보기

부엌의토토
“ 흥미롭게도 역사적 기록을 살펴보면 고대 그리스인과 로마인은 행복할 때 자진해서 미소를 짓지 않은 듯하다. 라틴어나 고대 그리스어에 '미소'라는 단어는 존재하지 않는다.미소짓기는 중세에 등장했으며, 이를 드러낸 채 크게 웃는 것은 치과 의술이 더 저렴해지고 일반화된 18세기에 들어와서야 비로소 유행했다. ”
『감정은 어떻게 만들어지는가?』 114쪽, 리사 펠드먼 배럿 지음, 최호영 옮김
문장모음 보기

YG
아, 제가 약한 분야 가운데 하나가 예술사입니다. @소피아 님을 비롯한 여러분의 대화에서 많이 배웠습니다.
화제로 지정된 대화

YG
오늘 월요일(4월 8일)과 내일 화요일(4월 9일)은 5장을 읽습니다. 5장은 분량도 많고 '감정이 어떻게 만들어지는가'에 대한 저자의 이론을 이해하는 데에 중요한 장이라서 이틀에 걸쳐서 꼼꼼히 읽습니다. 오늘 월요일은 '창조적 통계학자들'까지 읽고서 내일 화요일은 '아이들은 어떻게 분노를 학습하는가?'부터 읽는 일정을 추천드립니다. 여러분이 읽고서 어떤 의견을 주실지 벌써 설렙니다.
작성
게시판
글타래
화제 모음
지정된 화제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