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장 잘려 나간 팔에서 고통을 느끼는 이유
예전에 책에서 통각은 2가지 통각통증과 신경인성 통증으로 구분된다고 본것이 기억나네요. nociceptive pain vs neurogenic pain. neurogenic pain은 nociceptive pain과 관련 신경망이 달라서 약물치료접근도 다르게 하고 있는 것으로 알고 있는데, 저자가 그부분에 대해서는 설명을 두루뭉실하게 하고 넘어가네요.
nociceptive pain은 이부프로판으로 조절가능하지만 neurogenic pain은 경로가 달라서 삼환계항우울제나 항경련제 같은 약물로 치료한다고 본거 같아요.
"과학자들은 이제 만성통증을 염증에 뿌리를 둔 뇌 질병으로 간주한다. 만성통증 환자의 뇌가 과거 언젠가 강렬한 통각 입력을 받았고 그 아픔이 치유될 때 뇌가 통지를 못 받았을 가능성이 있다는 것이다 10장 49%"
만성통증을 뇌에 의한 고통 개념의 오용일 가능성이라고 설명하는데 이부분은 통증 전문가들이 현재 많은 연구가 진행된거 같아요.
우울증이 신체증상을 동반하는 것에 대해서는 이런 설명이 가능할수도 있겠네요.
근데 10장에 나오는 우울증 치료에 대한 전기자극법? 효과가 여전히 유효한가요? 한동안 많이 활용되었지만 요즈은 약이 좋아져서 잘 하지 않는거 아닌가요? 영화 샤인인가? 거기 보면 전기치료하는 장면이 나오는데 요즘도 하나봐요.... 잘 아시는 분.. 있으면 알려주세요~~~
[책걸상 '벽돌 책' 함께 읽기] #04. <감정은 어떻게 만들어지는가?>
D-29

오구오구

borumis
영화 샤인(The Shining맞죠?)은 보지 못했지만.. 그 영화가 80년대 영화인 걸 감안해보면 거기 나온 것은 아마 electroconvulsive therapy같은데 한때 조현병 등에 사용된 것 말씀하시는 것 같아요. Deep brain stimulation은 90년대 말부터 주로 파킨슨병이나 간질 장애 등 운동장애 치료에 연구되어 왔는데 2005년에는 약물치료에 반응 없는 우울증에서 연구 진행중이라고 알고 있습니다. 아직 부작용 등 정확한 장기간 효과는 완전히 결론나진 않았구요. 아무리 약이 좋아져도 우울증 환자 중 심한 경우는 어떤 약물치료도 안 들어서 마지막 보루같은 단계거든요.

오구오구
아... 책에서 이야기하는 것은 DBS이군요~ 이해했습니다. 아산병원 교수님께서 DBS에 대해 설명하는 것을 들어본 적이 있는거 같아요. ECT라고 제가 착각했네요~ 정보와 설명 감사합니다.

조영주
이번주에도 서울 일정이 있어서 도서관 들러 업무 끝낸 후 잠깐 9장 읽다 갑니다


오구오구
“ 이제 당신은 주목할 만한 여러 중증 장애가 모두 예측정 뇌 안에서 정신적 건강과 신체 적 건강을 연결시키는 면역체계와 관련이 있을지도 모른다는 것을 알았다. 나쁜 예측을 그대로 두면 만성 불균형 신체 예산을 초래할 수 있고, 뇌의 염증을 촉발하여 당신의 내수용 예측을 더 악순환에 빠지게 만들다. ”
『감정은 어떻게 만들어지는가?』 10장 51%, 리사 펠드먼 배럿 지음, 최호영 옮김
문장모음 보기

장맥주
쭉쭉 진도 나가서 11장을 읽고 있습니다. 재미있게 페이지 넘기고 있는데 사소하게 어색한 게... 텔로머(텔로미어), 안톤 치거(안톤 쉬거) 같은 표기법이 맞는 건가요?

조영주
궁금해서 찾아봤는데 사전 등 공식 명칭 표기로 바뀐거 같심다. 은제부터인가 배우덜 이름이 미묘하게 다 바뀌었더라고여. 그런 게 아닐까 싶슴다

장맥주
책을 편집한 2017년까지 아직 텔로미어 한글 표기가 정착되지 않았었나 보네요. 생각연구소가 전자책 제작도 익숙지 않아서 미주 링크를 안 걸었던 걸까요. 다른 부분은 별 불만 없이 잘 읽고 있습니다. 12장 동물의 감정 이야기 너무 흥미진진합니다.

조영주
9장


소피아
저도 어쩌다보니 @쭈ㅈ 님, @조영주 님처럼 주말에 뒤쳐진 분량 따라가고 있는데, 9, 10장은 따로 분리해서 실용서 단행본으로 내도 될 것 같습니다. 과거의 이론들이 행위의 주체를 신에게서 인간으로 이동시켰다면, 구성된 감정이론은 수동적인 인간형에서 탈피하여 보다 능동적이고 주도적인 인간형을 추구하는 것 같습니다. 두루두루 납득이 가게 하는 전개입니다.
하나 궁금한 것은, 9, 10장에 나온 내용들이 구성된 감정이론의 관점에서 설명한 것을 제외하면 썩 새롭다는 느낌은 없거든요? 예를 들면, 자기 해체-재구성 혹은 자기로부터 거리를 두고 바라보라는 조언들은 족히 20여년 전에도 있었던 이야기 아닌가 싶습니다. 은희경의 <새의 선물>에서도 자신에게서 한 발짝 물러서 거리를 두고 바라보는 소녀가 주인공이었던게 떠오릅니다. 그러니까 요지는, 기존에 있었던 이런 내용들이 가장 최근에 뇌과학에서 검증되고 있다는 거죠? (맞나요? ^^;;)
그나저나 9,10장 전개로 보아 원효대사 해골물이 대략 맞아들어가고 있는 추세인데 말입니다?! (feat @장맥주 님?)

장맥주
후후후...
해골물 따위...
원샷!!
(합정역 근처 분위기 좋은 바에서 맥주 마시면서 쓰고 있습니다.)


오구오구
와, 진짜 분위기 좋아보이네요~

YG
@장맥주 앗, 일요일 저녁에 바에서 맥주라니! 너무 작가의 삶을 즐기시는 것 아닙니까!!! :)

장맥주
다음날 출근 걱정 따위는 노노~~~ ㅎㅎㅎ
청년의사 사무실 근처에 있는 바였는데요, 나중에 한번 JYP 주간님과 함께 모시고 가겠습니다. ^^

borumis
캬아.. 부럽습니다..! 분위기 너무 멋지네요..
이런 분위기 좋은 곳에서 적당히 마시는 술은 신체예산 흑자상태!

소피아
주말순삭을 깨닫고 망연자실하는 다른 이들의 감정은 아랑곳하지 않고 이런 사진을 투척하시는 장맥주님을 규탄하려 했으나.. 리사 배럿 선생님 조언을 따라 감정의 좋은 발신자가 되기로 결심했습니다 (결심 지속 기간 알 수 없음). 9, 10장에서 배운 ‘자기 해체-재구성’ 방법을 적용하여 K스타일 정신승리 해보겠습니다.
“저 사진의 배경은 분위기 좋은 바가 아니다, 저 곳은 사이키 조명 요란하기 켜진 달리는 관광버스 안이며 사진 밖 프레임에서는 중장년 40여명의 음주가무가 벌어지고 있다. 막 단속 경찰이 들이닥쳤으며, 사진 속 장맥주님은 “춤추는 거 봤습니까?”라고 묻고 있다.” (탈진실의 시대에 뭔 말을 못하겠…)

장맥주
일요일 밤에 합정-상수역 근처 바에 가면 참 좋습니다. 다음날 출근해야 하는 직장인들의 우울함 때문인지는 모르겠지만 아무튼 저는 금요일이나 토요일 밤보다 더 흐뭇한 기분이 들더군요. 월요일 아침에 침대에서 바로 눈을 뜨지 않고 편안히 게으름을 부릴 때의 만족감도 정말 꿀맛입니다. 지하철에서 피곤한 표정으로 출근할 동료 시민들의 안전을 기원하며 음미하는 모닝커피는 참 향긋하네요. 이 정동들이 실재하는 것은 분명한데 어떤 감정으로 구성해야 할지 아직 잘 모르겠어요. 음... 인류애?

조영주
와... 직업이 작가세요? (어쩌다 노산 패러디)

작성
게시판
글타래
화제 모음
지정된 화제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