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성문화의 시작부터 함께해봅시다. 생물학적 정체성부터 뒤집어보자구요~
완주 책모임
D-29

DAL모임지기의 말
루렌
잘 읽어보겠습니다!!

DAL
니옙~^^*
호랑22222
파잇팅!!!

DAL
5/15 모임공지합니다. 12:30까지 달샘네 집으로 오세요! 5/5까지 <암컷들> 5장까지 읽고 인상적인 부분을 문장수집 기능으로 남겨주세요. (요 모임방이 한달만 유지됩니당)

DAL
“ 이동성이 뛰어난 수백만 개짜리 정자가 아니라 영양이 풍부한 난자 몇 개에 유전문질을 투자하는 바람에 그 옛날 여성의 선조들이 생명의 복권에서 꽝을 뽑았다는 것이다. (중략) 도킨스는 "암컷과 수컷 사이의 모든 차이가 오직 이 한가지 근본적인 다름에서 비롯했다고 해석할 수 있다", "암컷에 대한 착취는 여기에서 시작된다" ”
『암컷들 - 방탕하고 쟁취하며 군림하는』 17, 18, 루시 쿡 지음, 조은영 옮김
문장모음 보기

DAL
남성들의 권력을 공고히 하기 위해 차이에서 착취의 근거를 찾았을 뿐!!

DAL
“ 과거 성차별적 신화가 생물학에 도입되면서 동물의 암컷을 바라보는 방식이 크게 왜곡되었다. 실제 자연 세계에서 암컷의 형태와 역할은 대단히 폭넓은 스펙트럼의 해부구조와 행동을 아우른다. ”
『암컷들 - 방탕하고 쟁취하며 군림하는』 18, 루시 쿡 지음, 조은영 옮김
문장모음 보기

DAL
“ 세상에 자연선택을 제안한지 10년이 넘어갈 무렵 다윈은 두 번째 위대한 이론적 걸작 <인간의 유래와 성선택>을 발표했다. (중략) 다윈은 성선택의 역학에서 수컷끼리의 경쟁 외에도 '암컷의 선택'이라는 요소의 필요성을 알았다. 하지만 이 사실을 설명하기는 몹시 껄끄러웠으니, 암컷에게 수컷을 쥐락펴락하는 불편할 정도로 적극적인 역할을 부여하기 때문이다. (중략) 다윈이 성을 적극적인 수컷과 소극적인 암컷의 이미지로 굳힌 것은 수백만 달러의 예산을 투입한 마케팅 회사의 작품처럼 효과적이었다. 우리 뇌는 이런 깔끔한 이분법을 직관적으로 옳다고 판단하여 크게 반기기 때문이다. 옳거나 그르거나, 흑이거나 백이거나, 친구이거나 적이거나. ”
『암컷들 - 방탕하고 쟁취하며 군림하는』 90-22, 루시 쿡 지음, 조은영 옮김
문장모음 보기

DAL
“ 동물의 암컷은 수컷만큼이나 성적으로 개방적이고 경쟁심이 강하며 적극적, 공격적이고 우세하고 역동적이다. 암컷에게도 변화의 버스를 운전할 똑같은 권리가 있다. 그저 다윈은 진화론을 알리는 데 도움을 준 여타 동물학자 신사분들처럼 암컷의 진면목을 볼 수 없었거나 아니면 그러고 싶지 않았던 것이다. 생물학이라는 학문 전체에서, 아니 과학의 전 영역에서 가장 위대하다고 여겨지는 도약은 19세기 중반을 배경으로 빅토리아 시대의 남성들에 의해 이루어졌고, 그 과정에 젠더와 성의 본질에 관한 특별한 가정을 슬쩍 끼워넣었다. ”
『암컷들 - 방탕하고 쟁취하며 군림하는』 23, 루시 쿡 지음, 조은영 옮김
문장모음 보기

DAL
신에 버금가는 명성 때문에 다윈의 뒤를 이은 생물학자들이 확증편향이라는 만성질환에 시달렸기 때문이다.
『암컷들 - 방탕하고 쟁취하며 군림하는』 26, 루시 쿡 지음, 조은영 옮김
문장모음 보기

DAL
이 책엔 학자들사이의 확증편향이 뿌리 깊은 성차별 문화에 대한 언급을 했지만, 사실 그 문화의 저변엔 기독교적 교리가 깔려있는 듯. 종교적으로 여성이 문란하지 않아야 한다는 인간계의 문화를 오지랖넓게도 생물학에도 적용한 것으로 읽힘.
참여 제한 모임입니다
참여
게시판
글타래
화제 모음
지정된 화제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