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꿈꾸는 책들의 특급변소] 차무진 작가와 <어떤, 클래식>을 읽어 보아요.

D-29
친일 작가들의 작품은 정말 마음을 힘들게 해요. 하지만 아무리 작품이 좋아도 저는 절대 작가와 떨어뜨려 생각할 수가 없더라고요. 그래서 저는 친일파가 표절하여 만든 노래인 '애국가'가 우리나라 국가인 게 답답....ㅠㅜ
글쵸..ㅠ 첫단추부터 잘못 채워진 채 80년의 세월이 지나가고 있으니...ㅠ 그들이 반성하고 사죄라도 했다면 후손들이 이렇게 마음이 힘들지 않을텐데 모른척하며 그후에도 아무 일 없듯이 작품활동하고 그러는거보면 작가적 양심이라는게 뭔가 싶기도 하구요..암튼 고뇌는 후손들이 하고 있으니 참나...ㅠㅠ
역사를 배우는 이유는 반복되기 때문이죠. 왜냐면 인간의 본성은 1000년 전이나 100년 전이나 지금이나 100년 후나 같기 때문에. 또 그러한 일이 일어나면 인간의 본성은 친일이나 동포와 이웃과 시민들을 배신할 수 있기에 그렇죠.우리는 그래서 과거와 역사를 배우고 그런 일을 방지하는 것이겠지요. 인간에게는 소중한 것들이 저마다 존재하는데, 독립 운동에 뛰어든 지사들은 그것마저 버린 위대한 의지와 정신의 소유자들이죠. 길이 길이 섬겨야 합니다. 100년 뒤 미국이, 중국이, 러시아가, 스웨덴이, 또는 남극의 팽귄들이 100년 전 일본처럼 그런 짓을 하지 않는다는 보장이 없지요. 역사를 중요하게 가르치는 것은 인간성 상실에 관한 것을 가르치는 것과 다를 바 없다고 생각합니다. 서정주나 김동인 등은 그래서 작품과 관계없이 배척되어야 하고, 홍범도 장군은 그래서 이념과 관계없이 추앙받아야 합니다.
양심없이 뻔뻔하게 얼굴들고 국회의원 나오는 사람들이 많은 것도 다 그 탓일까요...ㅠㅠ
"슈만을 들어요. 바보야.
어떤, 클래식 118p, 차무진 지음
저는 지금 슈만의 [어린이 정경]를 듣는 중입니다요!
저는 봄이면 슈만의 <시인의 사랑>을 무시로 듣습니다. 하이네의 시를 빌어 사랑의 열정과 슬픔을 (사실 아픔과 허망함이 더 많긴하죠) 노래한 연가곡이죠. 흔히들 ‘아름다운 5월에’라고 번역되는 첫번째 곡은 독일어로 ‘Im Wundershönen Monat Mai’입니다. 나성인씨는 슈만의 이 가곡을 다룬 그의 책에서 이것을 ‘기적처럼 아름다운 오월에’로 번역하면서 우리들의 기적과 같은 날들에 대한 감상을 적고 있습니다. 그저 ‘아름다운’ 또는 ‘이토록 아름다운’이 아닌 ‘기적처럼 아름다운’이라뇨! 이런 제목을 보고 다시 듣는 그의 가곡은 완전히 다른 것이 되어버렸습니다. 여러분들도 모두 ‘기적처럼 아름다운’ 오월의 날들 되시길요!!!
보통 '그,(그토록/ 놀랍도록) 아름다운 오월에'라고 적당히 강조하는 모양새인데 '기적처럼' 이라뇨. 정말이지 멋진 해석이군요. 나성인 선생은 풍월당의 보물같은 존재이신 분이죠. 우리모두 기적같은 오월이 되길 정말 희망합니다.@윈도우 님께서도!!
감사합니다. 모두에게요!! 나성인님 보물 인정!입니다.
슈만은 바흐, 베토벤과 함께 슈베르트를 존경하고 동경해서 연가곡을 많이 작업했다고해요. 슈베르트의 가곡도 많이 분석했고요. 슈베르트 연가곡의 주인공은 (불쌍한/ 과거를 추억하는)방랑자이지만 슈만은 '시인'이죠. 어떻게보면 슈만이 더 낭만적이에요. 시인이 주인공이라니 말이에요.....<시인의 사랑>를 듣고 있습니다!!
""들려주세요. 가게에 있을 거 아녜요." "차 작가, 한 장 사." "이런." 결국 게오르크 쿨렌캄프가 연주하는 『슈만 바이올린 협주곡 D단조』 앨범을 샀습니다. p114" "장담해. 어쩌면 음악은 귀로 듣는 게 아니라 눈으로 듣 는 것일 수도 있어. 일단 연주 영상을 본 후에 다시 들어봐. 눈이 귀를 돕는다 그걸 느껴보란 말이야. 초보 씨. p126" -. 인연이라는 건이 참 신기하지요. 좋아하는 음악을 들으러 가는 음반가게 사장님의 영업스킬 속에서 두 분의 끈끈함이 보이네요. -. 아내와 좋아하는 주제를 가지고 대화를 나눌수 있는 부부라. 멋지네요! 아내분이🙈
듣기 좋은 것만 음악이 아니잖아. 어떤 과정을 거친 작품인지가 더 중요할지도 몰라. 이 곡은 슈만의 마지막 감정, 그러니까 예술혼과 광기가 뒤섞인 곡이에요.
어떤, 클래식 p116, 차무진 지음
3장에서 가장 공감하는 문장이었습니다. 그림, 음악, 글 등 다양한 분야에서 슬픈 감정까지는 다뤄도 우울하고 정신이상으로 인한 부분까지는 이야기를 여전히 안하는 부분들이 너무나도 많더라구요. 간단하게 이야기하고 넘어간다거나 아니면 아예 이야기를 하지 않는 방향이라고 생각했었어요. 그런데 사실 커보니까 알게 되었습니다. 그들이 왜 그런 환경 속에서 그렇게 힘들어했고, 그 힘든 시간 속에서도 창작을 했는지. 저는 제가 좋아하는 것, 그리고 능력, 나에 대한 확신 부족으로 그냥 자책하기만 바쁜데 그들은 그 감정을 어떻게든 풀어내기 위해서 노력했다는 점이 너무나도 대단하고 멋있다는 생각이 그들의 작품을 보고 들을 때마다 느끼게 되었습니다. 작품의 배경을 알고 다각도로 이해할 수 있는 부분을 생각해볼 수 있게 만드는 게 참 중요한 거 같다는 생각을 오늘도 하게 된 것 같아요.
그리고 3장에서는 저는 neveu Poème for Violin and Orchestra가 가장 좋았습니다. 처음엔 사실 음... 내 취향이 아니다하고 단순하게 넘기려고 하다가 그래도 들어보자하고 듣던 순간, 어느 순간부터 제가 음에 맞춰서(?) 고개를 살짝살짝 흔들면서 감상하고 있는 모습이더라구요ㅎㅎ 그게 신기했습니다. 정확하게 한 단어로 설명할 순 없지만, 선율이 굉장히 다채롭고 집중하게 만드는 느낌이 들어서 좋았습니다ㅎㅎ
화제로 지정된 대화
@모임 오늘부터 5월 8일 어버이날까지는 4장을 함께 읽습니다. 연휴가 끼어 있어서 다들 나들이 계획이 있으실 것 같은데요, 이동하시면서 클래식 들으시면 좋을 것 같아요. 아, 어린이날은 곤란하려나... ...? 그래서 든 생각인데 어린이와 어울리는 클래식은 어떤 게 있을까요? 저는 가장 먼저 떠올리는 것은 모짜르트가 지은 "반짝 반짝 작은별"입니다. https://www.youtube.com/watch?v=ZEKKbzZmLgc 노다메 칸타빌레에서 보고 알게 된 건 안 비밀입니다...
프로코피에프 - 피터와 늑대 생상스 - 동물의 사육제 차이코프스키 - 호두까기 인형 슈만 - 어린이의 정경 등등이 떠오르네요~ 근데 요즘은 어린이들도 트로트에 더 관심이 많지 않나요? 어버이날에는 드보르작의 '어머니가 가르쳐준 노래'를 추천하고 싶네요... https://youtu.be/zwqPq03Bw8M?si=LVWilTWGN_v1WXg4
어린이(청소년?)를 키우고 있지만 어린이들이 어떤 클래식을 좋아하는지 모르겠어요. 저희 집 어린이는 클래식을 싫어해서....ㅜㅠ 익숙한 클래식이라면 자장가? 어릴 때 모차르트의 자장가, 슈베르트의 자장가 많이 불러줬어요ㅋㅋㅋ
음... 개구장이 스머프의 테마음악 중 하나가 슈베르트 미완성 교향곡인 걸 알고 재미있어 했던 어린 시절이 생각납니다. 지금도 이 음악을 들으면 진지한 기분이 안 들고 자꾸 가가멜이 떠오릅니다. ^^
그러고보니 이 책에 거론된 영화 중에 크리스토퍼 워킨이 나온 게 2편이나 되네요. '디어 헌터'와 '후기 콰르텟.' 둘 다 제대로 보지는 않은 것 같아요. 나이 들어서의 모습만 아는 저는 '디어 헌터'에서의 젋은 모습에 깜짝 놀랬어요. 제게는 베토벤 현악4중주를 다룬 책이나 영화라면 역시 밀란 쿤데라의 '참을 수 없는 존재의 가벼움' 앞부분에 나온 현약4중주 16번, op. 135 4악장에 대한 이야기가 제일 인상적입니다. 무려 소설 책에서 악보를 넣어가며 곡 설명을 하니까요... 요즘은 클래식 음악 관련 대중책에서조차, 심지어는 작곡가에 대한 전기에서조차 악보를 인용하는 걸 못 보기도 할 정도로 골치 아픈 내용은 안 팔리니까요. https://youtu.be/EICtI24Tf8Y?si=pHhKhP8LjddaOAYb 쿤데라는 음악을 공부하다가 소설가가 되었고, 칸딘스키와 쇤베르크는 서로를 부러워했고, 백남준씨도 음악을 공부하다가 종합예술가가 되고.... <어떤, 클래식>을 읽으면서도 책, 음악, 영화를 오고가게 되니 예술은 어쩌면 무엇을 하느냐가 아니라 어떻게 접근하느냐에 대한 자세가 아닐까 하는 생각도 듭니다.
어린이와 어울리는 클래식이라고 딱 말하기는 그런데 괜스레 저는 리차드 용재 오닐의 '섬집아기'가 문득 퍼득 듣고 싶은 날입니다. https://youtu.be/v8lrQQ9zyvk?si=JfpbSAQaTKY5PSer
작성
글타래
화제 모음
지정된 화제가 없습니다
[책나눔 이벤트] 지금 모집중!
[책증정]《내 삶에 찾아온 역사 속 한 문장 필사노트 독립운동가편》저자, 편집자와 合讀하기[📚수북플러스] 4. 나를 구독해줘_수림문학상 작가와 함께 읽어요[도서증정-고전읽기] 셔우드 앤더슨의 『나는 바보다』
💡독서모임에 관심있는 출판사들을 위한 안내
출판사 협업 문의 관련 안내
그믐 새내기를 위한 가이드
그믐에 처음 오셨나요?[메뉴]를 알려드릴게요. [그믐레터]로 그믐 소식 받으세요
커리어와 나 사이 중심잡기 [김영사] 북클럽
[김영사/책증정] 일과 나 사이에 바로 서는 법 《그대, 스스로를 고용하라》 함께 읽기[김영사/책증정] 천만 직장인의 멘토 신수정의 <커넥팅> 함께 읽어요![김영사/책증정] 구글은 어떻게 월드 클래스 조직을 만들었는가? <모닥불 타임> [김영사/책증정] 《직장인에서 직업인으로》 편집자와 함께 읽기
같이 연극 보고 원작 읽고
[그믐연뮤클럽] 7. 시대와 성별을 뛰어넘은 진정한 성장, 버지니아 울프의 "올랜도"[그믐연뮤클럽] 6. 우리 소중한 기억 속에 간직할 아름다운 청년, "태일"[그믐연뮤클럽] 5. 의심, 균열, 파국 x 추리소설과 연극무대가 함께 하는 "붉은 낙엽"[그믐연뮤클럽] 4. 다시 찾아온 도박사의 세계 x 진실한 사랑과 구원의 "백치"
같이 그믐달 찾아요 🌜
자 다시 그믐달 사냥을 시작해 볼까? <오징어 게임> x <그믐달 사냥 게임> o <전생에 그믐달>
8월에도 셰익스피어의 작품 이어 낭독합니다
[그믐밤] 38. 달밤에 낭독, 셰익스피어 4탄 <오셀로>[그믐밤] 37. 달밤에 낭독, 셰익스피어 3탄 <리어 왕> [그믐밤] 36. 달밤에 낭독, 셰익스피어 2탄 <맥베스> [그믐밤] 35. 달밤에 낭독, 셰익스피어 1탄 <햄릿>
🐷 꿀돼지님의 꿀같은 독서 기록들
은모든 장편소설 『애주가의 결심』(은행나무)최현숙 『할매의 탄생』(글항아리)조영주 소설·윤남윤 그림 『조선 궁궐 일본 요괴』(공출판사)서동원 장편소설 『눈물토끼가 떨어진 날』(한끼)
이디스 워튼의 책들, 지금 읽고 있습니다.
[그믐클래식 2025] 8월, 순수의 시대[휴머니스트 세계문학전집 읽기] 3. 석류의 씨
공 출판사의 '어떤' 시리즈
[도서 증정] 응원이 필요한 분들 모이세요. <어떤, 응원> 함께 읽어요.[꿈꾸는 책들의 특급변소] 차무진 작가와 <어떤, 클래식>을 읽어 보아요.
🎁 여러분의 활발한 독서 생활을 응원하며 그믐이 선물을 드려요.
[인생책 5문 5답] , [싱글 챌린지] 완수자에게 선물을 드립니다
이렇게 더워도 되는 건가요?
[책걸상 '벽돌 책' 함께 읽기] #25. <일인 분의 안락함>기후위기 얘기 좀 해요![책걸상 '벽돌 책' 함께 읽기] #11. <화석 자본>무룡,한여름의 책읽기ㅡ지구를 위한다는 착각
8월 7일(목) 오후 7시 30분 / 저자 배예람X클레이븐 동시 참여 라이브 채팅⭐
[텍스티] 텍스티의 히든카드🔥 『당신의 잘린, 손』같이 읽어요🫴
모집중밤하늘
내 블로그
내 서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