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덕적 추론에 대한 지식이 있다고 해서 그 사람이 도덕적으로 더 올바른 행동을 하는게 아니라는 점이 흥미롭습니다. 오히려 자신의 행동을 정당화하는 능력이 발달해 품행이 나빠질 수도 있다니, 마치 법을 잘 아는 사람이 오히려 편법을 쓰는 것도 비슷한 걸까요.
[그믐북클럽Xsam] 15. <바른 마음> 읽고 답해요
D-29
호식

Alice2023
사람들은 남의 눈에 띄지 않고 발뺌의 여지만 있으면 대부분이 남을 속인다는 것이 받아들이기 힘들면서도 이해는 가고 아니었으면 쉽기도 한 그런 부분이네요 심지어 도덕적 추론에 전문지식이 있다고 해도 도덕적 품행이 올바르기는 커녕 나빠질 가능성이 있다니.. 사실긴 듯 하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뭔가 희망을 보고 싶은 마음도 생기네요.

바닿늘
C-1. 흥미로운 부 분or새로 알게 된 사실
심리학에 관심이 많다 보니.. 괜찮은 이론을 발견
하면 임상실험을 직접 해보게 되는 경향이 있습
니다. (물론 대상은.. 주변인들에게.. ;;당연히(?)
좋은 것들 위주로요. ^^;;) 하나 기억나는 것을
적어보자면.. '이중 구속' 이 있습니다.
대상에게 선택할 수 있는 답을 나에게 유리한
것으로 구성하여 질문하는 방식이죠.
예를 들어 작업의 기술(?) 중에..
"저랑 오늘 저녁에 밥 먹을래요??"
라고 하는 것보다..
"저랑 오늘 저녁에 밥 먹을래요?
아니면 술 한 잔 할래요?"
라고 하는 것이 성공률이 더 높았다는..
이 내용을 어디선가 듣고 우리 아이들에게
많이 응용해서 써먹었던 기억이 납니다.
근데 너무 남용을 한 탓인지 언제부턴가
"둘 다 싫어요." 를 하더군요. ㅋㅋㅋ

씨에
심리학이 WEIRD를 대상으로 한다고 이야기한 부분에서 시각적 인식에 관한 이야기가 나왔는데요. '도형 안에 선 긋기'에서 어떻게 이전 페이지와 똑같은 길이의 선을 그릴 생각을 하는 건지 너무나 신기하게 다가왔습니다. 당연히 도형 안에 선을 그어야만 한다고 생각을 했습니다. 이렇게 충격을 한번 받고 나니 윤리의 세 가지 모습이 술술 잘 읽혔습니다.

프렐류드
서양적이고 고학력이고 산업화되고 부유하고 민주주의적인(Western, Educated, Industrialized, Rich, Democratic : WEIRD)라는 개념의 정의를 새롭게 알게 되었습니다.
현대 대부분의 주류문화로 학습되는 토대가 사실은 극히 소수라는 사실을 다시 한 번 실감했습니다.

선경서재
[C-1] "4장에서 나는 플라톤의 생각과는 달리 이성이 통치자로서 적합하지 않다는 사실을 보여주려고 한다. 이성은 진실보다는 정당화의 근거를 찾기 위해 만들어진 도구이다. 사람이란 실제보다는 외관과 평판에 훨씬 더 신경을 쓰는 법이다."
도덕이라는 우리의 사고는 탐구적이기보다는 확증적으로 이루어진다. 나와 다른 매트릭스 안에 나를 끼워 맞춰보려는 온갖 노력을 기울이는 사람이 편협한 도덕성을 넘어설 수 있다.

도리
개인에게 도덕은 과학자의 역할보다 표를 얻으려는 정치인의 역할을 하고 있다는 비유가 아주 찰떡 같아서 계속 맴돕니다. 과학자라고 생각했던 제 모습을 다시 돌아보고 있어요.

siouxsie
C-1. IQ 높은 사람들이 전체 쟁점에 대해 더 온전하고 공평하게 탐구하는 데 본인의 재능을 쏟아 붓는 것이 아닌 자신의 논변을 더 든든히 떠받치는 데 사용한다는 것에 충격을 받았습니다. 결국 저렇게 되지 않기 위해서는 교육을 잘 받고, 그것을 어떻게 사용할지에 대한 사유가 필요하다는 것을 다시 한 번 더 느꼈습니다.
화제로 지정된 대화

그믐클럽지기
C-2. 밑줄 그은 문장을 적어주세요. (댓글창 아래 있는 문장수집 기능을 이용해 주셔도 좋습니다.)

마키아벨리1
“ 도덕 매트릭스는 사람들을 하나로 묶어주지만, 그것은 다른 매트릭스가 가진 논리를 못 보게 하는 면이 있다. 이 때문에 사람들은 세상에 하나 이상의 도덕적 진실이 있다는 사실을 헤아리는 데 무척이나 어려움을 느낀다. ”
『바른 마음 - 나의 옳음과 그들의 옳음은 왜 다른가』 P. 215, 조너선 하이트 지음, 왕수민 옮김
문장모음 보기

신이나
사람들은 남에게 자신의 선택을 설명해야 할 때도 뭔가 받아들여질 만한 이유를 찾지만, 자신이 ‘올바른’ 선택을 했음을 스스로에게 이해시키기 위해서도 이러저러한 이유를 찾는다.

CTL
단순히 자기에게 좋은 일보다 진정으로 좋은 일을 추구할 수 있는 사람은 오로지 철학자뿐이기 때문이다.
『바른 마음 - 나의 옳음과 그들의 옳음은 왜 다른가』 조너선 하이트 지음, 왕수민 옮김
문장모음 보기

CTL
“ ...자부심이 우리 내부에서 일종의 측정기 역할을 한다는 의견을 피력했다. 이 ‘사회성 계량기’를 통해 우리는 스스로가 인간관계의 파트너로서 얼마나 가치 있는지 끊임없이 평가한다는 것이다. 이 사회성 계량기의 바늘이 아래로 내려가면 삑 하고 경보음이 울리며 우리 행동에는 변화가 일어나게 된다.... ”
『바른 마음 - 나의 옳음과 그들의 옳음은 왜 다른가』 조너선 하이트 지음, 왕수민 옮김
문장모음 보기
호식
이성에 대한 신봉이야말로 서양 역사에서 가장 줄기차게 살아남은 망상이 아닐까 한다.
『바른 마음 - 나의 옳음과 그들의 옳음은 왜 다른가』 4장 [합리주의자의 망상]중, 조너선 하이트 지음, 왕수민 옮김
문장모음 보기

Alice2023
우리는 무엇을 믿고 싶을 때에는
"내가 이것을 믿어 도 될까?"라고 묻고
무엇을 믿고 싶지 않을 때에는
"내가 이것을 믿어야만 하나?"라고 묻는다.
『바른 마음 - 나의 옳음과 그들의 옳음은 왜 다른가』 조너선 하이트 지음, 왕수민 옮김
문장모음 보기

오뉴
“논쟁 기술을 갈고닦는 사람들은······진실을 찾는 것이라기보다는 자신의 견해를 뒷받침할 논거를 찾고 있는 것이다 -

바닿늘
C-2. 밑줄 그은 문장
일단 믿어라, 증거는 대출 테니
나의 아들 맥스가 세 살 때 나는 녀석이 '해야만 한
다(must)'라는 말이라면 치를 떤다는 사실을 발견
했다. 일례로 내가 옷을 입어야만 학교에 갈 수 있
다고 말하면 (맥스는 학교에 가는 것을 참 좋아했
다) 녀석은 얼굴을 잔뜩 찌푸린 채 징징 울어댔다.
'~해야만 해'라는 말은 맥스에게 조그만 수갑과도
같았고, 그래서 그 말만 들으면 빠져나가려는 욕구
가 일어나는 것이었다. 그런데 '할 수 있다. 해도
된다(can)'라는 말을 쓰면 사정이 훨씬 나아졌다.
"우리 아들 옷 입어도 될까? 그래야 같이 학교에
갈 수 있는데." 이 두 단어가 아들에게는 천지 차
이로 다르다는 확신이 들면서 나는 간단한 실험을
해보기로 했다. 어느 날 저녁 식사를 마친 자리에
서 나는 맥스에게 이렇게 말해보았다. "맥스, 이제
아이스크림 먹어야 한다." "먹기 싫은걸!" 4초 후
나는 말했다. "맥스, 이제 아이스크림 먹을 수 있
어. 네가 먹고 싶으면 말이야." "먹을래!"
이 '할 수 있다(can)'와 '해야만 한다(must)'의 차
이는, 개인적 이해가 우리의 추론에 얼마나 심대한
영향을 미치는지 이해하는 핵심 열쇠가 된다. 나아
가 그것은 우리 주위에 왜 그토록 기이한 믿음들
(UFO 납치설, 엉터리 치료법, 음모론 등)이 퍼져
있는지 이해하는 핵심 열쇠도 된다.
pc 뷰어 p. 45~46/191

오뉴
“논쟁 기술을 갈고닦는 사람들은······진실을 찾는 것이라기보다는 자신의 견해를 뒷받침할 논거를 찾고 있는 것이다 -

프렐류드
“ 탐구적 사고는 우리가 “대안이 될 수 있는 여러 관점을 공평하게 헤아려보는 것”을 일컫는다. 그에 비해 확증적 사고는 우리가 “특정 관점을 합리화하기 위해 기울이는 일방적인 노력”을 말한다. ”
『바른 마음 - 나의 옳음과 그들의 옳음은 왜 다른가』 조너선 하이트 지음, 왕수민 옮김
문장모음 보기

프렐류드
“사람들은 전체 쟁점을 좀 더 온전하고 공평하게 탐구하는 데 IQ를 쏟아붓기보다는 자신의 논변을 더 든든히 떠받치는 데 IQ를 쏟아붓는다”라고 결론을 내렸다
『바른 마음 - 나의 옳음과 그들의 옳음은 왜 다른가』 조너선 하이트 지음, 왕수민 옮김
문장모음 보기
작성
게시판
글타래
화제 모음
지정된 화제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