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나눔] 여성살해, 그리고 남겨진 이들의 이야기 - 필리프 베송 <아빠가 엄마를 죽였어>

D-29
그는 여전히 내 아버지였고, 마지막까지 그럴 것이고, 우리는 혈연으로 맺어진 관계이고, 오랜 세월을 함께 보냈고, 감정이 있었고, 그 감정은 큰불로 소실되었지만, 완전히 꺼지지 않은 재가 남아 있었다.
아빠가 엄마를 죽였어 202쪽, 필리프 베송 지음, 이슬아 옮김
우리는 이 사건을 치정이 아닌 사회적 사건으로보아야 했다. 우리는 비극으로 끝난 부부 싸움이 아닌, 지속적인 폭력과 공포가 어디로 치닫는지에 관해 말해야 했다. 살인에 대해서가 아니라, 권력을 내세우며 지배하려는 한 남자의 욕구에 관해 말해야 했다. 눈이 먼 사회를 말해야 했다. 그리고 우리가 그 일에 이름 붙이기를 두려워한다는 것을 말해야 했다.
아빠가 엄마를 죽였어 203쪽, 필리프 베송 지음, 이슬아 옮김
레아의 가출이 그것도 어머니와 행복한 시간을 보냈던 곳으로의 가출이 충분히 이해가 됩니다. 아이에게 어머니의 부재를 무엇으로 어떻게 채울 수 있을까요... 불가능하겠죠... "저 사람들은 분명 행복하겠지."라고 말하는 레아가 눈 앞에 그려져, 먹먹해지네요. 사건 현장이었다 해도 남겨진 이들에게는 '집'인데, 헌병대가 남겨 놓은 그 곳의 모습이 안타까웠습니다. 관련하여 실제적인 제도적 장치가 필요하지 않을까하는 생각이 듭니다.
충격적인 사건에서 충격적인 것은 우리가 거기에 익숙해진다는 사실이다 - 시몬 드 보부아르
아빠가 엄마를 죽였어 필리프 베송 지음, 이슬아 옮김
아버지는 동생을 공격하지 않았다.("신이여 감사합니다라"는 말이 나올 뻔했지만, 감사드릴 신은 없었다. 신이 있다면 오히려 원망의 대상이었다.)
아빠가 엄마를 죽였어 25p, 필리프 베송 지음, 이슬아 옮김
이렇게 쓰는 게 그 사람을 위한 변명거리를 찾는 것으로 보이지 않기를 바란다. 그에게 변명의 여지가 없다, 그 어떤 변명도, 나는 어떤 설명을 찾았던 것 같다. 때때로 그것은 질식하지 않기 위해 우리가 할 수 있는 유일한 방법이다.
아빠가 엄마를 죽였어 81p , 필리프 베송 지음, 이슬아 옮김
요즘 '조용한 희망(원제:MAID)'를 드라마로 보고, 책은 읽을 예정인데.... 여기는 문제가 더 복잡합니다. 남편이 직접적으로 여주인공(아내)과 아이를 때리지 않았거든요. 기물 파손만 하고...남편이 또 술에 취해 집기를 부순 날, 여주인공은 18달러만 가지고 뛰쳐나옵니다. 아이가 고속도로에 떨어뜨린 인형을 주우러 갔다가 그 차를 누가 들이받아 '아이를 차에 방치하고 교통사고를 낸 무책임한 엄마'가 되고요. 트레일러 한 칸에 살던 남편이 어디서 돈을 구했는지 변호사까지 선임하고....게다가 아빠는 아이를 너무나 사랑하고 잘 대해 줍니다. 꼭 '플로리다 프로젝트' 보는 느낌이었어요...이 머리아픈 시추에이션~ 다시 '조용한 희망'으로 돌아가자면, 학대 '정황'밖에 없는 상황이 이 여성을 사지로 몰더라고요...아직 덜 봤지만, 생각할 부분이 많습니다. '아빠가 엄마를 죽였어'는 사실 비난 받아야 할 대상이 살인까지 저지른 상황이라면 '조용한 희망'은 비극이 시작되려는 시점에서 시작하는 이야기라 많이 복잡합니다.
조용한 희망 - 진짜 이름을 찾기 위한 찬란한 생존의 기록출간 직후부터 화제를 모으며 버락 오바마, 록산 게이, 바버라 에런라이크 등 각계 인사의 강력 추천을 받은 책이다. 청소 일을 하며 아이를 키운 싱글맘이 작가가 되기까지의 분투를 담았다.
물건들을 추억과 연결하지 않으려고 애쓰면서-내게는 가장 어려운 일이었다-버리고 또 버렸다.
아빠가 엄마를 죽였어 p199, 필리프 베송 지음, 이슬아 옮김
우리는 이 사건을 치정이 아닌 사회적 사건으로 보아야 했다. 우리는 비극으로 끝난 부부 싸움이 아닌, 지속적인 폭력과 공포가 어디로 치닫는지에 관해 말해야 했다. 살인에 대해서가 아니라, 권력을 내세우며 지배하려는 한 남자의 욕구에 관해 말해야 했다. 눈이 먼 사회를 말해야 했다. 그리고 우리가 그 일에 이름 붙이기를 두려워한다는 것을 말해야 했다.
아빠가 엄마를 죽였어 p203, 필리프 베송 지음, 이슬아 옮김
매번 새로운 장애물을 넘어야 했다. 멍하게 넋 놓고 있을 틈이 조금도 없었다. 생각도, 추론도, 차분히 검토 할 수 없는 지성도 결코 허락되지 않았다. 그저 고문의 연속이었다. 벌어진 상처에서 피가 흐르고 있었다. p158 아이들에게 할아버지가 없었다면 어땠을까? '나'가 성인이 아니었다면 어땠을까? 레아에게 오빠가 없었더라면? 방치되어 버린 살아남은 자들을 향한 끊임없는 절차들. 한국도 다르지 않을 텐데...
결국 그는 자기 자신만을 사랑합니다. 그리고 남들이 자신을 사랑하지 않는다는 것을 이해하지 못하죠. 그는 수천 년 전부터 전해져온 남성다움이라는 굳어진 관념을 지녔고, 그것이 그의 개인사와 가족사를 만들었습니다. 그런데 그는 어린아이처럼 두려워해요. 놀이동산에서 미아가 될까 봐 두려워하는 아이처럼 말이죠.
아빠가 엄마를 죽였어 209쪽, 필리프 베송 지음, 이슬아 옮김
끝으로 변호인은 죽기 전 헌병대 문을 두드렸고, 그렇게 해야 할 지경에 이르렀으며, 용기를 발휘했지만 누구의 도움도 받지 못한 '어머니'에 대해 이야기했다. "그녀보다 앞서 목숨을 잃은, 지울 수 없는 상처를 입은 수백 명의 다른 희생자들이 있었습니다." 그러고는 이런 일이 앞으로도 반복되기를 바라느냐고 물었다. 유일무이한 존재였던 나의 어머니는 그 순간 모든 여성이 되었다.
아빠가 엄마를 죽였어 211쪽, 필리프 베송 지음, 이슬아 옮김
사실, 시간이 흐르면 우리가 겪었던 트라우마도 사라질 거라고 기대하는 것은 환상이다. 충격이 가한 폭력은 이상하게도 온전히 남아 있었고 악몽도 줄지 않았다. 나는 도움이 필요했다.
아빠가 엄마를 죽였어 221쪽, 필리프 베송 지음, 이슬아 옮김
오늘 범위를 읽으면서는 어제 기사를 공유해주시기도 했던 강남역에서 있었던 살인 사건을 떠올리는 순간이 여러 번 있었습니다. 유사한 사건들의 범인들은 (개인차는 있겠지만) 변호인이 묘사했듯 '나르시시스트적이고 지배적인 존재'가 아니었을까 생각했습니다. 그리고 소설 속 아버지가 개인사는 그렇다치더라도 가족사는 만들지 않았으면 좋았겠다는 생각을 하며 읽었어요. 비슷한 사건들로 유일무이한 누군가가 목숨을 잃는 일이 더는 일어나지 않았으면 좋겠습니다.
51장에서 미끄러짐 증후군이란 용어가 나와서 갸우뚱했는데요.. 갈비뼈와 관련된 slipping rib syndrome은 아닐 것 같고.. 그래서 원서를 보니 syndrome de glissement을 그렇게 번역했네요. 이건 프랑스에서 쓰는 노인의학 관련 용어인데요. 양로원 등에 있는 노인들이 삶에 대한 의욕이 떨어지면서 나중에는 심지어 식사나 배변 기능마저 떨어지는 증상을 가리킵니다. 자신으로부터 삶이 '빠져나가는(glisser)' 증상이죠. https://www.researchgate.net/publication/51443448_Syndrome_de_glissement_Clinical_description_psychopathological_models_and_care_management 영어나 한국어에는 딱 맞는 용어가 없는데 그나마 비슷한게 일몰 증후군이나 체념 증후군이라고 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미끄러짐 증후군'이란 말은 문자 그대로 번역가가 번역한 것 같은데 좀 느낌이 살지가 않고 무슨 얘긴지 모를 수 있을 것 같아서 추가했습니다. 삶의 의욕 희망이 사라져서 생기는 이 체념 증후군은 심지어 노인 뿐만 아니라 어린이들에서도 망먕을 거부당해서 지옥과도 같은 고국으로 되돌아가야하는 아이들에게서 나왔다는데 이게 넷플릭스 다큐멘터리로도 나왔다네요. https://blog.naver.com/binna815/222742294940
책 읽으면서 궁금했던 부분 설명해 주셔서 감사해요. '미끄러짐'이 무얼 뜻하는지 궁금했는데 (감옥의 어떤 물리적인 환경이란 연관된 단어인가 혼자 추측도 했네요. ) 무기력 증후군? 정도로 생각하니 이해가 잘 되요.
자세하고 친절한 설명 고맙습니다!
감사합니다. 저희도 작업하면서 인터넷 검색도 하고 전문가에게 문의를 드렸는데, 좋은 답변을 얻지 못해서 원어 그대로 표현했었습니다. 중쇄를 하게 되면 반영하겠습니다.
자세한 설명과 자료 감사합니다. 넥플릭스 다큐멘터리 제목 "Life Overtakes Me"가 이 증후군의 특징을 잘 드러내는 듯합니다.
저도 이 다큐 보고 깜짝 놀랐어요 근데 굉장히 큰 스트레스를 받은 아이들이 그런 증상이 나타난다는데 왜 유독 망명거부 당한집 아이들에게 나타나는지가 의문이었어요 사실 체념은 삶에 대한 체념일텐데 말이죠
작성
글타래
화제 모음
지정된 화제가 없습니다
💡독서모임에 관심있는 출판사들을 위한 안내
출판사 협업 문의 관련 안내
그믐 새내기를 위한 가이드
그믐에 처음 오셨나요?[메뉴]를 알려드릴게요. [그믐레터]로 그믐 소식 받으세요
경계를 허무는 [비욘드북클럽] 에서 읽은 픽션들
[책 증정]  Beyond Bookclub 12기 <시프트>와 함께 조예은 월드 탐험해요[책 증정] <오르톨랑의 유령> 읽고 나누는 Beyond Bookclub 9기 [책 증정] <그러니 귀를 기울여> 읽고 나누는 Beyond Bookclub 3기 [책 증정] <지구 생물체는 항복하라> 읽고 나누는 Beyond Bookclub 2기
연뮤클럽이 돌아왔어요!!
[그믐연뮤클럽] 6. 우리 소중한 기억 속에 간직할 아름다운 청년, "태일"[그믐연뮤클럽] 5. 의심, 균열, 파국 x 추리소설과 연극무대가 함께 하는 "붉은 낙엽"[그믐연뮤클럽] 4. 다시 찾아온 도박사의 세계 x 진실한 사랑과 구원의 "백치"[그믐연뮤클럽] 3. "리어왕" 읽고 "더 드레서" 같이 관람해요
노란 책을 찾아라!
안노란책 리뷰 <초대받은 여자> 시몬 드 보부아르안노란책 리뷰 <time shelter> 게오르기 고스포디노프안노란책 리뷰 <개구리> 모옌안노란책 리뷰 <이방인> 알베르 카뮈
[그믐클래식] 1월1일부터 꾸준히 진행중입니다. 함께 해요!
[그믐클래식 2025] 한해 동안 12권 고전 읽기에 도전해요! [그믐클래식 2025] 1월, 일리아스 [그믐클래식 2025] 2월, 소크라테스의 변명·크리톤·파이돈·향연[그믐클래식 2025] 3월, 군주론 [그믐클래식 2025] 4월, 프랑켄슈타인
4월의 그믐밤엔 서촌을 걷습니다.
[그믐밤X문학답사] 34. <광화문 삼인방>과 함께 걷는 서울 서촌길
스토리탐험단의 5번째 모험지!
스토리탐험단 다섯 번째 여정 <시나리오 워크북>스토리탐험단 네 번째 여정 <베스트셀러는 어떻게 만들어지는가>스토리 탐험단 세번째 여정 '히트 메이커스' 함께 읽어요!스토리 탐험단의 두 번째 여정 [스토리텔링의 비밀]
셰익스피어와 그의 작품들
[책걸상 '벽돌 책' 함께 읽기] #21. <세계를 향한 의지>[북킹톡킹 독서모임] 🖋셰익스피어 - 햄릿, 2025년 3월 메인책[그믐연뮤클럽] 3. "리어왕" 읽고 "더 드레서" 같이 관람해요
봄은 시의 세상이어라 🌿
[아티초크/시집증정] 감동보장! 가브리엘라 미스트랄 & 아틸라 요제프 시집과 함께해요.나희덕과 함께 시집 <가능주의자> 읽기 송진 시집 『플로깅』 / 목엽정/ 비치리딩시리즈 3.여드레 동안 시집 한 권 읽기 13
🎁 여러분의 활발한 독서 생활을 응원하며 그믐이 선물을 드려요.
[인생책 5문 5답] , [싱글 챌린지] 완수자에게 선물을 드립니다
서리북 아시나요?
서울리뷰오브북스 북클럽 파일럿 1_편집자와 함께 읽는 서리북 봄호(17호) 헌법의 시간 <서울리뷰오브북스> 7호 함께 읽기
모집중밤하늘
내 블로그
내 서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