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요는 어린이집, 유치원 다니는 아이들에게 종종 나타나는 현상입니다. 이 녀석들은 '요'자를 붙이면 높임말이 되는 걸 알고 있는데요. 그렇다고 아직 정확한 문장을 구사할 실력은 없는 녀석들입니다. 그래서 어린이집 선생님이나 엄마 아빠, 할아버지, 할머니에게 그런 식으로 말해요.
"아빠. 기린반 민준이는 어제 에버랜드 갔다요.(갔다. +존댓말 = 갔어요.)"
"선생님, 수민이는 아직까지 밥먹고 있다요.(있다 + 존댓말 =있어요.)"
[박소해의 장르살롱] 14. 차무진의 네 가지 얼굴
D-29

차무진

무경
악당의 신념은 스토리의 색깔을 만든다. 주인공은 악당의 신념이라는 체스 판 위에서 움직이는 말일 뿐이다.
『스토리 창작자를 위한 빌런 작법서 - 당신의 이야기를 빛내줄 악당 키워드 17』 p.85, 차무진 지음

스토리 창작자를 위한 빌런 작법서 - 당신의 이야기를 빛내줄 악당 키워드 17"빌런이 매력적이면 그 이야기는 실패하지 않는다." 대학 등에서 10여 년간 스토리텔링을 강연해온 소설가이자 시나리오 작가인 차무진이 자신의 강의 노트를 정리하여 빌런 작법서를 펴냈다.
책장 바로가기
문장모음 보기

거북별85
저도 이 문장에 밑줄 쫘~악!^^

무경
체스터턴의 브라운 신부 시리즈의 첫 작품 <푸른 십자가>에 나오는 유명한 격언이 있죠. "범죄자는 창조적인 예술가이다. 탐정은 비평가일 뿐." <빌런 작법서>를 읽으면서 빌런을 잘 짜야 이야기가 재미있어진다는, 단순하지만 지키기 참 힘든 진리를 계속 확인합니다. 그러면서 동시에 제가 만들었던 빌런들을 계속 떠올려 보고 있고요. 공부하는 마음으로 조금씩 보고 있습니다.

차무진
감사합니다.
빌런은 주인공을 위해 존재하는 요 소이므로, 오직 중심에는 주인공이 있어야 하고, 그 주인공을 더 잘 만들기 위해서 빌런을 잘 만들어야 한다고 주장하는 책입니다 ㅎㅎㅎㅎㅎ

장맥주
『마담 흑조는 곤란한 이야기를 청한다: 1928, 부산』 잘 읽겠습니다, 작가님! ^^

마담 흑조는 곤란한 이야기를 청한다 - 1928, 부산한국 미스터리계에 등장한 악마 같은 작가, 무경의 장편소설이 출간되었다. 화마로 치명적인 병마와 싸우는 마담 흑조와 그를 보살피는 2인조가 부산에서 마주친 사건들을 해결해 나가는 미스터리다.
책장 바로가기

무경
어이쿠, 갑자기 제 책이 툭 튀어나오다니...! 재미있게 읽어주시길 바랍니다^^

장맥주
목차부터 신선하고 재미있는데요! ^^

거북별85
“ 괴물과 싸우는 사람은 그 싸움 속에서 스스로 괴물이 되지 않도록 조심해야 한다. 그리고 괴물의 심연을 오랫동안 들여다보면 그 심연 또한 우리를 들여다 보게 될 것이다
프리드리히 니체<선악을 넘어서> 중에서- ”
『아폴론 저축은행 - 라이프 앤드 데스 단편집』 차무진 지음
문장모음 보기

거북별85
<스토리 창작자를 위한 빌런 작법서>의 프롤로그에서 '빌런'이라는 단어의 어원이 나오는데 처음 듣는 이야기라 무척 재미있고 신기했습니다.
빌런이라는 단어는 라틴어 빌라누스에서 유래하는데 마을에 사는 농민을 뜻한다. 농장에서 일하는 노동자가 빌런이다. 중세 봉건 사회의 주축은 왕과 성직 자, 귀족이었다. 그들은 문화를 장악하고 자본과 문물을 차지했다. 그들은 자신의 영지에 사는 농민들을 어떻게 바라볼까? 농민들은 그들에게 굽실거리며 비루하게 흙을 파먹고 살지만, 실상은 무서운 존재다. 그들이 한번 봉기하면 걷잡을 수 없을 재앙이 일어난다. 몇 차례의 농민 봉기는 유럽을 뒤흔들었고 사회 구조를 바꿔버렸다. 또 이들은 단발적으로 무서운 존재가 되기도 한다. 가뭄이 들거나 세금을 낼 수 없게 되면 땅을 버리고 사라졌다. 그렇게 사라진 자들은 도적이 되고 해적이 되었다. 약하지만 뭐운 존재가 바로 농민, 서민이다. 봉건 영토를 가진 귀족, 성직자는 농민을 적당히 먹고 입히며 사나운 짐승이 되지 않도록 관리해야 했다.

조영주
저도 이 책이 나올 당시부터 사람들이 빌런 빌런~ 쓰기 시작해서 "빌런이 뭐지?" 하다가 이 책을 보고 나서 "아 악역이 빌런인가보다" 하던 막연한 수준의 의미에서 벗어났던 것 같심다.

여름섬
저도 빌런의 어원부터 설명해주셔서 재미있었어요
제 기준 어느날 갑자기 사람들이 빌런이라는 단어를 쓰길래 그게 뭐지? 했었는데 이제야 확실히 알았네요

거북별85
<스토리 창작자를 위한 빌런 작법서>는 방대한 여러 작품들과 차작가님의 해석능력에 고개를 끄덕끄덕하며 읽게 하는 힘이 있더라구요 그리고 인문교양서라고 하기에는 또 글이 쉽고 가독성이 참 좋아요~~ 또 이와 비슷한 책을 내주셔도 감사하겠어요^^ 작법서 2탄 같은~!! 힘든 시기에 쓰신 책이라기에 가독성이 넘 좋아요~ 왠지 힘들때는 심연에 빠져서 가라앉는 어려운 작품들을 쓰시지 않을까 예상했는데 아닌가봐요^^;;

나르시스
글을 쓴다는 것은 너무 힘이 드는 일인 것 같아요. 여기에는 작가님들이 너무 많이 계셔서 조금 부끄럽지만 서평올립니다. 인스타에는 조금 축약해서 올렸어요.
https://blog.naver.com/ayhj/223441569137

차무진
정말, 감동 감동. ㅠㅠ [인더백]을 이렇게 자세하게 서평해주신 분은 없었습니다. 머리 숙여 감사합니다. 저는 힘들때 마다 @나르시스 님의 이 글을 보고 힘을 낼게요. 고맙습니다.

거북별85
-빌런은 주인공을 투영한다-에서 <양들의 침묵>속 어린시절의 렉터와 동생 미샤의 이야기는 너무 마음이 아팠다
p21 그때부터 식인 행위는 렉터에게 평온한 잠과 같았고 사랑하는 동생을 지키지 못했다는 그 널뛰는 자의식을 완화하는 씻김굿같은 역할을 했다

차무진
미샤, 어린 미샤를 지키지 못한 상처때문에 무서운 인물이 만들어졌어요!!

거북별85
“ 매력적인 적을 창조하기 위해서는 주인공과 빌런의 정서적 수준을 높이자. 그리고 서로 교감시키자. 빌런은 주인공과 동일해여 한다 같은 상처를 공유하고 있다면, 그 둘은 가장 치열한 대적자가 된다 ”
『아폴론 저축은행 - 라이프 앤드 데스 단편집』 차무진 지음
문장모음 보기

조영주
교감을 시켜서 정서적 수준을 높인 후에... ... 죽이는 거군요!

거북별85
-주인공을 각성시키는 빌런-
악당의 변론은 하나이다 너라면? 그것은 나(빌런)는 너(주인공)과 다르지 않다는 의미다 주인공은 잠시 측은해 하는 눈으로 그를 바라본다 옳은 말이다 주인공이라면 더 심했을 것이다 아니 우리였다면 더더욱 잔인했을지도. 결과는? 당연하다 주인공은 빌런을 응징하고 빌런은 장엄하게 패배한다 빌런이 주인공에게 응징당하는 이유는 철학이 잘못되었다기보다 철학의 실행방법이 부조리했기 때문이다 주인공은 그것을 내세우며 칼을 휘두른다 "너는 그런 행동이 잘못된 거야! 나는 너처럼 생각해도 그렇게 행동하지 않아! 그게 너와 나의 차이야" 빌런은 쓰러지고 정의가 실현된다
: 작품 속 악당들이 등장해 소곤거린다 "너도 그를 죽이고 싶었잖아? 잔인하게" 그리고 같은 생각을 했다고 같은 부류 취급을 한다 이런 악당들은 가끔 현실 속에서도 등장한다 "너도 나랑 생각이 같잖아"그리고 불의를 행하도록 부추긴다
뭐 생각으로 몆백번쯤 죽이고 사회적으로는 같이 평화롭게 사는게 낫지 않은가?? 가스라이팅하는 악당들에게 정의의 칼을 휘두르며 말한다
"너는 그런 행동이 잘못된 거야! 나는 너처럼 생각해도 그렇게 행동하지 않아! 그게 너와 나의 차이야!"
작성
게시판
글타래
화제 모음
지정된 화제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