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금 떠나온 세계

D-29
@닻별 처음엔 좀 외롭고 공허할것도 같은데, 다시 내가 살던 시대로 돌아갈 방법을 찾거나 그사람들의 말을 배워서 그사람들에게 내가 살던 시대를 설명하고 살아있는 역사책같은걸로 남을것같아요
마리의 춤 에서 나온 부분처럼 머리에 칩을 심어 사용할수 있다면 다들 칩을 심으실건가요? 전 안할것같아요. 하면 편할수도 있겠지만 살짝 징그러울것도 같아서요. 여러분의 생각은 어떠신가요?
마리는 보고 인지하는 기능에 장애가 있죠. 일상을 영위하기 위해서 감각보조장치로써 플루이드를 이용하고 있어요. 그걸 먼저 고려해야 할 것 같아요.
징그러울지 안 징그러울지 그것은 단정지을 수 없을 것 같아요. 책에서 칩이 어떻게 생겼는지에 대한 묘사는 없었으니까요. 하지만 저도 칩을 머리에 심고 싶지는 않네요. 책에서는 칩을 심으면 인터넷에 접속도 할 수 있고 남과 대화도 할 수 있다고 했는데 생각해보면 아주 유용한 기능이지만 머리가 계속 시끄러우니 두통이나 멀미 등의 증상이 올 것 같아요. 이런 생각을 할 수 있게 한 이 질문은 정말 좋은 것 같아요! :)
꼭 칩을 사용해야 한다 해도 안 할 것 같아요.굳이 그걸 넣어서 이득도 없고 어떤 도움이 된다면 망설이겠지만 지금의 상황으로는 안 할 것 같아요 하지만 이 책에 나온 주인공은 세상을 인지하는 것에 장애가 있기 때문에 그런 상태에서 도움이 된다면 사용할 것 같기도 해요
"평생을 살아갈 집의 설계자가 네게 도면을 내밀었어. '이게 당신의 집이에요.' 분명히 도면에는 커다란 방이 하나 있어. 창문이 커서 햇볕이 잘 들고, 방 한쪽에 책장을 들여 서재로도 쓸 수 있을 만큼 멋진 방이야. 그런데 아무리 찾아봐도 실제로는 그 방이 없는 거지. 내 현실은 작고 비좁은 거실뿐이야. 도면을 준 설계자가 나를 비웃어. '잘 찾아보세요. 방이 분명 거기에 있다니까요.' 나를 놀리는 걸까? 내가 환각을 보는 걸까? 살아갈수록 그 가상의 방이 더 절실해지는데, 무언가가 내 눈을 가려서 문을 찾을 수 없는 걸까? 잘못된 건 나일까, 아니면 이 집일까, 애초에 내가 받은 도면일까?"
방금 떠나온 세계 (2주년 기념 리커버) pp. 121~122, 김초엽 지음
<마리의 춤>을 읽고, 청각장애인이 인공와우 수술로 소리를 듣게 되는 경우가 많지만 갑자기 접한 소리라는 낯선 세계에 작응하지 못하고 다시 제거 수술을 받는 경우도 있다고 들은 게 생각났어요.
그런 이유로 다시 수술을 받아야 한다면 두려울 것 같아요.수술을 할때는 대붖분 마취를 사용하고 그 과정에서 의식이 없으니 수술을 받는 입장에서는 수술을 받는다 그래도 어떤일이 일어나는지도 모르고 살을 수술용 칼로 짤라서 수술하는것이니 무서울 것 같기도 해요
로라에게 세 번째 팔은 증강도 향상도 아니었다. 그것은 몸에 대한 훼손이었고, 차라리 결함을 갖기로 선택하는 것이었다. 진이 그렇게 긴 여정을 떠났다는 것은, 어떤 사람들이 스스로 결함을 갖는 결정을 내리는 이유를 조금이라도 이해하고 싶었기 때문이다.
방금 떠나온 세계 (2주년 기념 리커버) 김초엽 지음
으앗~저도 이 문장 마음에 남았어요.👍
문장 수집에 페이지 수를 입력할 수 있다는 걸 지금 알게되었어요! 근데 수정이 불가능하네요ㅠ 이 문장은 P.125입니다!
^_____^
<로라>에서는 환상통에 대해서 생각해볼 수 있었어요. 사고나 질병으로 팔다리를 잃은 사람들이 겪는 통증이요. 그런데 로라는 있지도 않은 세 번째 팔에 통증을 느끼고 급기야는 세 번째 팔을 달기로 결정하죠. 괴기스러운 결정이지만 당사자가 아닌 사람이 옳고 그름을 논할 수는 없는 것 같아요. 그리고 김초엽 작가님의 상상력은 정말 넘사벽이구나, 생각했어요.
저도 이 부분을 읽고 환상통을 활용한게 인상깊었어요. 읽으면서 정말 세번째 팔을 다는게 놀랍기도 하고 이 책의 분위기와도 맞아떨어진다는 생각이 들었어요.
환상통이나 저기서 나온 잘못된 지도는 실제로도 있는 정신병 중 하나인데 보통 있는 걸 없다고 느끼고 심하면 나는 죽어있다고 생각하는 정신질환인데 오히려 반대로 없는 게 있다고 생각하는 로라를 보며 그래도 팔이 없다고 느껴서 잘라버리는 사람들보다는 낫지 않을까 생각했어요.
저도 이 책을 읽으면서 환산통이라는 것을 알게 되었어요. 자신이 있지도 않은 신체에 대한 아픔을 느끼는 것이 정말 신기하면서 이상하더라고요. 환산통과 비슷한 증상이 하나 있는데 자신이 죽었다고 생각하는 사람도 있더라고요. 처음에 이 증상을 알게 되었을 때도 환산통과 비슷한 의야함을 가졌어요. 자신이 살아있는데 죽었다니.. 말도 안 된다고 생각했죠. 하지만 이 책을 읽으면서 그 사람들에 대해 조금 더 알게 되고 이해한 것 같아요.
로라에게 세 번째 팔은 증강도 향상도 아니었다. 그것은 몸에 대한 훼손이었고, 차라리 결함을 갖기로 선택하는 것이었다. 진이 그렇게 긴 여정을 떠났던 것은, 어떤 사람들이 스스로 결함을 갖는 결정을 내리는 이유를 조금이라도 이해하고 싶었기 때문이다.
방금 떠나온 세계 (2주년 기념 리커버) p.125, 김초엽 지음
헉! 지금 보니까 숭어님과 저의 문장 수집이 같군요? 로라 파트를 읽으면서 이 문장이 가장 기억에 남았는데 혹시 저와 똑같이 이 문장이 기억에 남는 분이 있을실까 했는데 있으셨군요 ㅎㅎ 뭔가 저의 생각을 공감받고 이해해주는 것 같아서 기분이 좋네요~
통했네요. 이런 거 은근 기분 좋지 않아요?
긍까요.. 완전 공감! 역시 숭어님께선 저와 잘 맞으시군요 ㅋㅋㅋ
작성
글타래
화제 모음
지정된 화제가 없습니다
[책나눔 이벤트] 지금 모집중!
[도서증정] <도서관과 리터러시 파워> 저자와 함께 읽기[도서 증정] 순수이성비판 길잡이 <괘씸한 철학 번역> 함께 읽어요![도서 증정] 퇴근의 맛 작가와 함께 읽기
💡독서모임에 관심있는 출판사들을 위한 안내
출판사 협업 문의 관련 안내
그믐 새내기를 위한 가이드
그믐에 처음 오셨나요?[메뉴]를 알려드릴게요. [그믐레터]로 그믐 소식 받으세요
커리어와 나 사이 중심잡기 [김영사] 북클럽
[김영사/책증정] 일과 나 사이에 바로 서는 법 《그대, 스스로를 고용하라》 함께 읽기[김영사/책증정] 천만 직장인의 멘토 신수정의 <커넥팅> 함께 읽어요![김영사/책증정] 구글은 어떻게 월드 클래스 조직을 만들었는가? <모닥불 타임> [김영사/책증정] 《직장인에서 직업인으로》 편집자와 함께 읽기
같이 연극 보고 원작 읽고
[그믐연뮤클럽] 7. 시대와 성별을 뛰어넘은 진정한 성장, 버지니아 울프의 "올랜도"[그믐연뮤클럽] 6. 우리 소중한 기억 속에 간직할 아름다운 청년, "태일"[그믐연뮤클럽] 5. 의심, 균열, 파국 x 추리소설과 연극무대가 함께 하는 "붉은 낙엽"[그믐연뮤클럽] 4. 다시 찾아온 도박사의 세계 x 진실한 사랑과 구원의 "백치"
같이 그믐달 찾아요 🌜
자 다시 그믐달 사냥을 시작해 볼까? <오징어 게임> x <그믐달 사냥 게임> o <전생에 그믐달>
[그믐클래식] 1월부터 꾸준히 진행중입니다. 함께 해요!
[그믐클래식 2025] 한해 동안 12권 고전 읽기에 도전해요! [그믐클래식 2025] 1월, 일리아스 [그믐클래식 2025] 2월, 소크라테스의 변명·크리톤·파이돈·향연[그믐클래식 2025] 3월, 군주론 [그믐클래식 2025] 4월, 프랑켄슈타인 [그믐클래식 2025] 5월, 월든[그믐클래식 2025] 6월, 마담 보바리 [그믐클래식 2025] 7월, 프로테스탄트 윤리와 자본주의 정신
8월에도 셰익스피어의 작품 이어 낭독합니다
[그믐밤] 38. 달밤에 낭독, 셰익스피어 4탄 <오셀로>[그믐밤] 37. 달밤에 낭독, 셰익스피어 3탄 <리어 왕> [그믐밤] 36. 달밤에 낭독, 셰익스피어 2탄 <맥베스> [그믐밤] 35. 달밤에 낭독, 셰익스피어 1탄 <햄릿>
🐷 꿀돼지님의 꿀같은 독서 기록들
은모든 장편소설 『애주가의 결심』(은행나무)최현숙 『할매의 탄생』(글항아리)조영주 소설·윤남윤 그림 『조선 궁궐 일본 요괴』(공출판사)서동원 장편소설 『눈물토끼가 떨어진 날』(한끼)
공 출판사의 '어떤' 시리즈
[도서 증정] 응원이 필요한 분들 모이세요. <어떤, 응원> 함께 읽어요.[꿈꾸는 책들의 특급변소] 차무진 작가와 <어떤, 클래식>을 읽어 보아요.
🎁 여러분의 활발한 독서 생활을 응원하며 그믐이 선물을 드려요.
[인생책 5문 5답] , [싱글 챌린지] 완수자에게 선물을 드립니다
이렇게 더워도 되는 건가요?
[책걸상 '벽돌 책' 함께 읽기] #25. <일인 분의 안락함>기후위기 얘기 좀 해요![책걸상 '벽돌 책' 함께 읽기] #11. <화석 자본>무룡,한여름의 책읽기ㅡ지구를 위한다는 착각
모집중밤하늘
내 블로그
내 서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