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주문고 서점친구들] 문학 독서모임 <철도원 삼대> 함께 읽기

D-29
진주문고 서점원과 함께하는 문학 독서모임입니다. 매달 두 번째 수요일 저녁 7시 반에 책을 읽고 만나 이야기 나눕니다. 간단한 소감, 인상 깊었던 부분을 공유해주세요. 함께 이야기하고 싶은 주제를 공유해주시는 것도 좋습니다. 진주문고 매장에서 독서모임 참가자 도서 구매 시 10%할인, 5% 적립 혜택을 드려요. 카운터에 문의해주세요. 다음 모임에 함께 읽을 책은 참가자 추천과 투표를 통해 진행됩니다. 참여 시 함께 읽고 싶은 책을 골라와 주세요. 진주문고 블로그 포스팅 보기 https://blog.naver.com/jinjumoongo/223423185608 5/8(수) 저녁 7시 반 문학 독서모임 <철도원 삼대> 5/22(수) 저녁 7시 반 비문학 독서모임 <520번의 금요일> *6/14(금) 저녁 7시 세월호 유가족, 작가기록단과 함께하는 <520번의 금요일> 북토크
우리나라 근대사의 아픔이 느껴져 읽는 동안 먹먹한 가슴을 부여잡았네요 감히 그 시대의 아픔을 온전히 이해할 수가 있을지... 소금꽃나무 와 전태일평전을 한번더 뒤적여 보았어요 시간의 흐름과 노동자의 아픔을 연결지어 보았어요 "철도는 조선 백성들의 피와 눈물로 맹글어진 거다" 우리가 누리는 혜택이 편리함이 현장에서 몸으로 움직이는 모든이들의 노력으로 완성되지요 시대의 아픔속에 삶을 영위하기 위한 행보들은 여러가지 어느것은 맞고 어느것은 틀리다고 할 수 있을까? 자식을 위해 가족을 위해 살아야하는 처절한 현실앞에서 좀더 큰 것을 위해 움직일 수 있는 선택을 쉽게 하기 힘들것이다. 이백만에서 이진오로 이어진 노동자의 삶 "그래두 오늘 살아 있으니 할 건 해야지" 이렇게 살아갈 힘의 원천이 삼대로 이어져 온 끈질긴 노동자의 모습에서 나온 것이리라 5월 1일 근로자의 날에 참인간의 모습을 생각해본다 사람사는 세상! 누구나 원하지만 먼저 행동하기는 쉽지않다 각자의 자리에서 각자의 방법으로 각자의 몫을 다한다면 더디지만 올 것이다 그날을 위해서... 5월은 아픔이 스미는 달이다 그분을 한번더 생각하며 노동자의 길을 조용히 읊조려본다
아마도 삶은 지루하고 힘들지만 그래도 지속된다는 믿음일지도 모른다.그렇게 오늘을 살아낸다.
철도원 삼대 황석영 지음
의견이 있는 노동자는 이땅에서는 언제나 빨갱이가 된다. 수걱수걱주는대로 몇푼받고 일만 직사하게 하면 착한백성이라고 한다.노예라고 절대로 말하지 않는다.
철도원 삼대 황석영 지음
생계에만 열중한 식민지의 무의식 소시민이지요
철도원 삼대 황석영 지음
노동사보다는 운동사로 읽히는 것 같은데 원래 두 역사가 따로가 아니라는 생각도 들어요. 그래도 굵직한 역사적 사건에 비해 노동을 묘사하는 분량이 작은 것 같아서 조금 아쉽기도 했어요.
압도적인 노동 소설로 [게공선]이 생각나기도 했네요. 노동이 삶을 어떻게 소외시키는지 잘 보여줬던. 비슷한 시기를 그린 [체공녀 강주룡]의 생생함도 생각나구요.
게공선
체공녀 강주룡 - 제23회 한겨레문학상 수상작꾸준히 독자들의 관심과 사랑을 받아온 한겨레문학상의 스물세 번째 수상작. 1931년 평양 평원 고무 공장 파업을 주동하며 을밀대 지붕에 올라 우리나라 최초로 '고공 농성'을 벌였던 여성 노동자 강주룡의 일생을 그린 전기 소설이다.
사회주의 운동과 남한의 운동권 조직을 묘사하는 부분에선 김연수의 [네가 누구든 얼마나 외롭든]이 생각났어요. 프락치가 교육을 통해 위장해서 현장으로 들어가는 부분이랄까.
네가 누구든 얼마나 외롭든작가 김연수에게 1991년은 '세계관의 원점'이었다. 역사를 회의하고 진실을 열망하게 된 분기점이었다. 장편소설 <네가 누구든 얼마나 외롭든>은 몇 겹의 눈으로 들여다본 그 시절의 이야기이다. 작중화자는 1991년 여름 이른바 '5월투쟁'이 끝난 후 정체성의 혼란을 겪고 있던 대학생 '나'. 하지만 '나'는 어쩐지, 1990년대의 굵직한 사건들을 마치 다큐멘터리라도 감상하듯 한 발짝 물러나 있다.
황석영의 [수인]도 읽어봐야지 싶었어요. 이만치 근현대사를 담아낼 수 있는 작가가 있나 싶고. 첫 직장이 영등포 문래동이었는데 철제단지며 시장, 뒷골목 풍경과 역사가 떠올라서 재밌었습니다. 지역사, 문화사로 들여볼 만한 지점이 있는 것 같아요.
수인 1: 경계를 넘다(양장본 HardCover)작가 황석영이 몸으로 써내려간 『수인』은 한 작가의 자전적 기록인 동시에 개인의 역사를 뛰어넘는 작품이다. 이 안에서 우리는 한반도를 둘러싼 현대사의 도도한 물결과, 그 속에서 일어서고 또 스러져간 숱한 인간 군상, 그리고 그 모두와 함께하고자 했던 한 작가의 치열한 고민과 결단을 만날 수 있다. 이 책에는《입석 부근》을 시작으로 《객지》 《한씨연대기》 《삼포 가는 길》 《장길산》 《무기의 그늘》 《오래된 정원》 《손님》 등 수많은 걸작들의 바탕이
수인 2 - 불꽃 속으로우리 시대의 거장 황석영이 몸으로 써내려간 자전(自傳). 현대사의 굴곡과 파란을 고스란히 겪어온 그가 자신이 지나온 삶을 생생한 필치로 증언한다. 숨가쁘게 흘러온 작가 황석영의 생애가 이 책에 고스란히 담겼다.
수인 진정 스며들듯해요 마치 신영복선생님의저서처럼 저도 종이책 주문하려고 해요
주안댁—막음이 고모—신금이—주인공으로 이어지는 환상, 의식의 설정도 인상적이었는데 철탑 위의 환상들의 내력, 의미를 생각하게 하는 지점이 있다고 생각랬습니다.
삼대로 이어지는 연결성이 곳곳에서 보여요 모든 것이 이어져내려오는 것 역사!의 중요성을 말해주는듯도 햇어요
작성
글타래
화제 모음
지정된 화제가 없습니다
[책나눔 이벤트] 지금 모집중!
[도서증정][작가와 함께]그리하여 사람은 사랑에 이르다-춤.명상.섹스를 통한 몸의 깨달음 [도서증정][김세진 일러스트레이터+박숭현 과학자와 함께 읽는]<극지로 온 엉뚱한 질문들> [📚수북플러스] 3. 깊은숨_수림문학상 작가와 함께 읽어요
💡독서모임에 관심있는 출판사들을 위한 안내
출판사 협업 문의 관련 안내
그믐 새내기를 위한 가이드
그믐에 처음 오셨나요?[메뉴]를 알려드릴게요. [그믐레터]로 그믐 소식 받으세요
[그믐클래식] 1월부터 꾸준히 진행중입니다. 함께 해요!
[그믐클래식 2025] 한해 동안 12권 고전 읽기에 도전해요! [그믐클래식 2025] 1월, 일리아스 [그믐클래식 2025] 2월, 소크라테스의 변명·크리톤·파이돈·향연[그믐클래식 2025] 3월, 군주론 [그믐클래식 2025] 4월, 프랑켄슈타인 [그믐클래식 2025] 5월, 월든[그믐클래식 2025] 6월, 마담 보바리 [그믐클래식 2025] 7월, 프로테스탄트 윤리와 자본주의 정신
7월 23일 그믐밤 낭독은 <리어 왕>
[그믐밤] 37. 달밤에 낭독, 셰익스피어 3탄 <리어 왕> [그믐연뮤클럽] 3. "리어왕" 읽고 "더 드레서" 같이 관람해요
수북탐독의 재미, 다시 한 번 더!
[📚수북플러스] 3. 깊은숨_수림문학상 작가와 함께 읽어요[📚수북플러스] 2. 귀하의 노고에 감사드립니다_수림문학상 작가와 함께 읽어요[📚수북플러스] 1. 두리안의 맛_수림문학상 작가와 함께 읽어요
우리가 몰랐던 냉전의 시대
[책걸상 '벽돌 책' 함께 읽기] #24. <소련 붕괴의 순간>[책걸상 '벽돌 책' 함께 읽기] #23. <냉전>[책걸상 '벽돌 책' 함께 읽기] #16. <마오주의>
편집자와 함께 읽어요!
[김영사/책증정] ★편집자와 함께 읽기★ 《죽은 경제학자의 살아있는 아이디어: 개정증보판》[도서 증정] 내일의 고전 <불새> 편집자와 함께 읽어요!1인출판사 대표이자 편집자와 책읽기[도서 증정] <먼저 온 미래>(장강명) 저자, 편집자와 함께 읽어요!
바쁘지만 책은 읽고 싶어 by Oncoazim
올해 가을엔 산에 가야지 머리는 차갑게 좋아하는 것들을 찾기
극과 극은 통한다!
[도서증정][김세진 일러스트레이터+박숭현 과학자와 함께 읽는]<극지로 온 엉뚱한 질문들> [책걸상 '벽돌 책' 함께 읽기] #19. <호라이즌>
🎁 여러분의 활발한 독서 생활을 응원하며 그믐이 선물을 드려요.
[인생책 5문 5답] , [싱글 챌린지] 완수자에게 선물을 드립니다
서리북 아시나요?
<서리북 클럽> 두 번째_편집자와 함께 읽는 서리북 여름호(18호) 혼돈 그리고 그 너머서울리뷰오브북스 북클럽 파일럿 1_편집자와 함께 읽는 서리북 봄호(17호) 헌법의 시간 <서울리뷰오브북스> 7호 함께 읽기
문풍북클럽의 뒷북읽기
[문풍북클럽] 뒷BOOK읽기 : 7월의 책 <혼모노>, 성해나, 창비[문풍북클럽] 6월 : 한 달간 시집 한 권 읽기 [문풍북클럽] 뒷BOOK읽기 : 5월의 책 <죽이고 싶은 아이 1,2권>[문풍북클럽] 뒷BOOK읽기 : 4월의 책 <예술도둑>
모집중밤하늘
내 블로그
내 서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