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필로 쓰는 글씨야 지우고 다시 쓸 수 있지만 / 내 인생의 발자국은 다시는 고쳐 쓸 수 없어라"라는 문장에 살짝 서글퍼졌다가 "그래도 쓰고 지우고 다시 고쳐 쓰는 건 / 오늘 아침만은 곧은 걸음으로 걷고 싶기 때문"이라는 문장에 다시금 마음이 평평해졌어요.
눈 뜨고 조용히 시집을 들여다보다 필사를 하셨을 @거북별85 님을 가만히 상상해 봤어요. 여기서 말씀하시는 "눈 뜨고"가 자고 일어난 후라면 "이건 너무 낭만적인 거 아니십니까"라고 말씀드리고 싶어요(하하하). 이번 글씨는 유독 더 동글동글해 귀엽게 느껴집니다. 시 제목과도 잘 어울리는 것 같고요.
거북별85
<잎으로 살리라>는 주목받는 자리가 아닌 꽃을 묵묵히 받쳐주는 우리 사회의 잎들에게 보내는 고마움이 느껴집니다 그 분들이 계셔서 우리가 평안하고 안녕함에 감사드립니다
나는 꽃일까? 잎일까? 를 잠깐 고민해보면 꽃30%욕망과 잎70%의 사회적 역할을 수행하고 있지 않나 싶어지네요~^^;;
연해
으아, 이번 시는 읽으면서 괜스레 눈시울이 붉어집니다. 보이지 않는 곳에서 묵묵히 자신의 역할을 다하는 귀한 손길들이 느껴지는 시였어요.
"주목받는 자리가 아닌 꽃을 묵묵히 받쳐주는 우리 사회의 잎들"이라는 @거북별85 님 표현처럼, 저 또한 그분들에게 감사의 마음을 담고 싶어져요. 꽃일까, 잎일까를 솔직하게 나누어주신 것도 비율을 보면서 입가에 살짝 미소가 걸렸는데요. 저도 꽃과 잎 중에 어느 쪽일까를 곰곰이 생각해봤는데, 분야마다 다른 것 같습니다ㅋㅋㅋ(이렇게 피해 가기)
"눈부신 꽃들도 아름답지만 / 잎이어서 더 푸르른 삶이었다고"라는 마지막 문장이 너무 감동적입니다. 그리고 이 시는 시의 제목뿐만 아니라, 시집의 제목과도 연결되어 있는 것 같았어요.
'그러니 잎과 같은 그대들 사라지지 말아라' 같은 느낌이랄까요.
박노해 시인님의 시를 읽다 보니 서촌에 있는 <라 카페 갤러리>라는 곳도 생각납니다. 이곳에서는 박노해 시인님의 상설 사진전이 열리고 있는데, 현재는 <올리브나무 아래>라는 흑백사진전이 무료로 진행 중인 것 같더라고요.
GoHo
하늘은 파랗고 구름은 하얗고 실바람도 적당히 불어오는..
휴일에.. 왜 이걸 필사하고 있는지 저도 모르겠습니다~ㅎ
달빛한조각
아앗!! 이것은?!! ㅎㅎㅎㅎ
GoHo
헌법 전문이 딱! 한 문장으로 되어 있다는.. @,.@
연해
어멋, 대한민국헌법 전문이라니!
예측할 수 없는 필사의 장르입니다ㅋㅋ 이전에 올려주신 "네잎클로버"로 잔잔히 마음을 녹여주시더니, 날이 좋았던 주말에는 또 이렇게 반전:)
달빛한조각
오늘 필사한 시는 <멀리서 한국어를 배우려는 당신에게>라는 이병률 시인의 시입니다. 이 시 역시 [누군가를 이토록 사랑한적] 시집에 담겨있답니다. 이 시를 읽다보니 여기 함께 필사하고 계신 분들의 "최애" 단어가 무엇인지 궁금해요.ㅎㅎ 저는 오늘부터 한국어를 다시 공부하기 시작해야겠어요.🤣🤣
으른
너무 다정하고 사랑스러운 시네요...! 너무 좋아서 여러 번 읽고 또 읽었어요. 최애 단어를 생각해본 적은 따로 없는 것 같은데, 이 시를 읽고 나니 '웃음'이라는 단어가 너무 좋네요 ㅎㅎ
달빛한조각
웃음이란 단어 너무 좋지요~ㅎㅎ 남은 오늘 하루도 웃음 가득한 시간 보내시길 바라요~😀
연해
오, 저도 @으른 님의 글을 읽고 보니 '웃음'이라는 단어도 너무 좋은 것 같아요. 일상에서 웃을 일이 점점 더 많아졌으면 좋겠다는 바람도 담고 싶고요. 제 동료 중에도 이름이 '미소'라는 분이 계신데, 이름처럼 미소를 자주 지으시는 재미있는 분이랍니다:)
GoHo
최애 단어가 따로 있는 것 같지는 않고..
한결같음..을 좋아해서..
늘.. 결..
달빛한조각
ㅎㅎㅎ 단정지을 순 없지만, 우리가 습관적으로 자주 쓰는 단어들이 여러개 있을거라 생각해요. 오늘도 내일도 늘~ 행복하시길 바라요~😆
장맥주
음... 저의 최애 단어는 맥주 아닌가 싶습니다. ^^;;; 아유 부끄러워.
('책'이라는 단어, '의미'라는 단어도 좋아합니다.)
달빛한조각
내일이 월요일이 아니라면 저도 지금 당장 맥주캔 하나 가지고 와서 마시고 싶어요 ㅎㅎㅎ 6월 이 여름 더운 날씨 속에서도 생맥주가 목을 타고 넘어갈때의 시원함과 청량한 일들이 가득하기를~☆
장맥주
생맥주라는 단어도 참 좋네요!
달빛한조각님 아이디도 무척 좋아합니다. ^^
연해
저도 '책'이라는 단어와 '의미'라는 단어 좋아합니다(스리슬쩍 묻어가기).
연해
"언어는 행복을 구체적이게 해주네요"라는 문장과 "전할 수 없는 말들은 숨으로 가닿을 수 있습니다"라는 문장이 마음에 콕 들어옵니다.
크... 최애 단어라니, 저는 뭐든지 '가장'이나 '최고'라는 수식어가 달리면 고민이 깊어지곤 하는데요(좋아하는 게 많아 하나를 고르기가 어려워서요). 그렇지만! 그래도 하나를 골라보자면, 이 공간에서만큼은 "손글씨"가 아닐까 싶어요. 요즘 이 모임에 푹 빠져있는데, 올려주시는 손글씨들 보면서 마음이 몽글몽글 차오를 때 너무 좋더라고요.
그리고 @달빛한조각 님의 한국어 공부도 열렬히 응원합니다!
이 시에 담긴 "글자를 배우려는 당신은 아름답습니다"라는 문장을 살포시 전해드리고 싶어요:)
bookulove
오늘은 한 편 통필사 해보았어요. 안미옥 시인의 첫 시집 『온』에 수록된 「여름의 발원」입니다. 만년필을 간만에 잡았더니 어색하네요 😛
온창비시선 408권. 2012년 동아일보 신춘문예로 등단한 뒤 활발한 작품활동을 펼쳐온 안미옥 시인의 첫 시집이다. 시인은 등단 5년 만에 펴내는 이 시집에서 “타인의 고통과 슬픔을 맨살 같은 언어로 맞이하는 시적 환대”의 세계를 펼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