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열 손가락에 걸리는 존재의 쓸쓸함"이라는 문장이 유독 마음에 담깁니다. 왠지 모를 아련함이 느껴져요. 시의 제목과 살짝 모순적인 느낌이라 더 그런 것 같기도 하고요.
그리고 저도 이 모임 너무 좋아요. 작가님:)
혹시 필사 좋아하세요?
D-29

연해
뇽뇽02
오늘의 시는 ‘그리고 사람들은 집에 머물렀다’입니다.
이 시는 코로나19 를 배경으로, 팬데믹으로 인해 변화된 삶을 말한 시더라고요. 봉쇄로 타인과의 교류가 줄어들자 자기 자신에게 집중하는 삶을 가지게 되는, 시를 읽으며 팬데믹은 힘들고 답답했지만 내면을 단단하게 만들어 준 시간이기도 하다는 생각이 드네요.
오늘은 글씨를 흘리며 써보았어요ㅎㅎ 연해님 말씀을 듣고 제 글씨를 보니 뭔가 앙다문게(?) 느껴지더라고요ㅎㅎ 꾹꾹 눌어담는 것도 좋지만, 오늘처럼 힘을 빼고 술술 써내려가는 고 재미도 있네요 :) 굿밤되세요!


새벽서가
앙다문(?) 글씨체도 흘려(?)쓰신 글씨체도 둘 다 너무 좋은데요?
GoHo
'치유' 라는 말 참 좋습니다..
좋은 글을 만난 좋은 아침 입니다~^^bb

연해
으앗!! 저도 이 시 좋아합니다. 이 시집을 필사했던 시기가 마침 코로나가 한창 기승을 부릴 때라 더 와닿았던 기억이 나요(당시에 했던 저의 필사도 살포시 첨부해봅니다).
"시를 읽으며 팬데믹은 힘들고 답답했지만 내면을 단단하게 만들어 준 시간이기도 하다는 생각이 드네요."라는 @뇽뇽02 님의 문장에 저 또한 깊이 공감합니다. 새로운 삶의 방식을 발견했다는 시 속 문장처럼요.
근데 앙다문(?) 글씨라니 너무 귀엽습니다ㅋㅋ 힘을 빼고 술술 쓰셔도, 앙다물고 쓰셔도 가지런함은 베이스로 갖고 계시네요. 가독성이 좋은 글씨체라고 감히 말씀드려보고 싶어요.
평안한 밤 되세요:)


도리
계절 이야기 나누시는 걸 찬찬히 보다가 <겨울 해변>이라는 시를 필사했습니다.
'겨울 해변에 갔었다 파도가 밀려오고 밀려가는 것을 보았다 여기까진 안 오는 구나, 여기까진 안 와/생각하며//그러다 손발이 모두 젖는다', '싫은 것과 무서운 것은/ 어떻게 구분할까(…)처음엔 무서워서 싫었다가/지금은 아주 싫어하게 된 것들', '긴 겨울/겨울 해변에 가고 싶었다//서랍을 열면/모서리가 얼마나 많은지'
종종 제가 무서워하고 있는데 싫어하는 것처럼 보이겠다고 생각하는데요. 이 둘의 차이가 없는 것처럼 느껴질 때가 있어요.



GoHo
' 무서운 것을 싫은 것이라고 말할 때
어떤 사람은 해석된 채로
아무렇게나 놓여 있고 '
그렇네요.. 싫은 게 아니라 무서운 것일 수도 있는데..
사람은.. 함부로 해석할 존재가 아닌 것 같습니다..

연해
@도리 님과 같은 시집을 읽다 보니, 도리님께는 어떤 시가 닿았을까 궁금할 때가 있는데요. 이번 시도 그런 의미에서 너무 좋네요. 시집으로 읽고, 도리님이 직접 필사하신 글로 다시 읽으니 감상이 더 풍부해지는 느낌이에요. 제가 놓쳤던 부분들에 대해서도 다시금 생각해 보게 되고요.
무서워하는 것과 싫어하는 것의 차이가 없는 것처럼 느껴질 때가 있다는 말씀에도 고개가 끄덕여져요. 저도 그걸 뭐라고 딱 나누기 애매할 때가 있더라고요. 제가 얼마 전에 읽었던 『제15회 젊은작가상 수상작품집』에 "파주"라는 단편이 있는데요. 그 책에서도 비슷한 문장을 메모했던 기억이 떠올라서 살포시 옮겨봅니다.

2024 제15회 젊은작가상 수상작 품집2010년 제정된 이래 해를 거듭하며 독자들의 뜨거운 사랑을 받고 있는 젊은작가상이 어느덧 15회를 맞았다. 저만의 문제의식과 치열한 언어로 문학의 지평을 넓혀온 데뷔 십 년 이하 작가들의 눈부신 발돋움을 조명하고자 마련된 젊은작가상은 지난해까지 모두 62명에 이르는 새로운 얼굴을 소개하며 한국문학에 생기를 더했다.
책장 바로가기

연해
“ 그건 미워하는 것보다 무서워하는 것 같은데요. 근데...... 너무 무서워하다보면 미워지게 되거든요. 무서워하는 거랑 미워하는 마음이 나중에는 잘 구별이 안 가더라고요. 그게 그거 같고, 굳이 나눠야 하나 싶기도 하고...... ”
『2024 제15회 젊은작가상 수상작품집』 『파주』 김남숙, 김멜라 외 지음
문장모음 보기

도리
안 그래도 이 책 수요일날 도서관에서 들었다가 놨는데요! 관심책에 얼른 넣었습니다. 감사해요.

연해
저야말로 감사합니다. 그리고 도리님이 남겨주신 "특별히 쓸모는 없지만 여기 그런 내가 있다고."라는 문장도 정말 좋네요. 저도 비슷한 마음으로 기록을 하고, 일기를 쓰고, 저를 키워가는 것 같습니다:)

도리
이바라기 노리코 시도 필사했어요. 실제로 이런 조언을 들으면 흥! 하고 툴툴 거릴 거 같은데요. 마지막 행에 '바보야' 하나로 바로 마음이 사르르 풀렸습니다. 그래 내가 바보였지 싶어서요.



연해
으앗, 이 시는 읽으면서 뼈를 맞는듯한 기분이 들었습니다(허허허). 정신이 번쩍 드네요.
여기 바보 한 명 더 있습니다(저요, 저).

장맥주
이바라기 노리코 여사님 시 중에 제일 좋아하는 시입니다. ^^
(저도 바보...)

연해
오늘의 시는 <재구성>이라는 시입니다.
해본 적 없지만 말하고 나서 한번 해본다는 문장과 안내받지 못하며 자란 사람은 스스로 안내자가 되어야 한다는 문장이 유독 아프게 다가왔습니다. "나는 나에게 안내자가 되어준다"는 마지막 문장처럼, 누군가에게는 재구성의 시작이 온전히 자신의 몫이 아닐까 싶었어요.
"옛날 일기를 읽으면 다 생각이 나니까 / 읽기 싫었다"라는 문장을 읽으며 저는 오히려 반대라고 생각했습니다. 아무리 힘들었던 시기도, 지나고 나서 돌아보면 또 하나의 기억으로 자리하기도 하니까요. 그런 의미에서 일기는 좋은 것 같습니다. 가끔 '내가 이런 걸 썼다고?'싶어 오글거릴 때도 있지만, 가감 없이 써 내려가는 일기장 덕분에 상황과 감정을 온전히 들여다보기도 하니까요.
다들 일기를 쓰시는지도 문득 궁금해집니다:)
이렇게 또 시와 전혀 관련없는 마지막 질문을 드리면서 저는 이만 출근하러!



달빛한조각
저번에 이사 준비하다보니 초등학교때 썼던 일기가 빽빽하게 남아있더라구요. 다시 펴서 읽어보면서 그때의 간질거림을 느껴보는게 부끄러우면서도 재미있더라구요.ㅎㅎ

연해
으아, 부럽습니다! 저는 초등학교 때 썼던 일기장들을 다 버린 게 너무 아깝더라고요. 중학교 때 썼던 일기장들은 버리지 않아 부모님댁에 있지만요.
그때의 간질거림을 느껴보는 게 부끄러우면서도 재미있다는 말씀도 정말 공감합니다. 저는 몇 년 전에 썼던 일기만 다시 봐도 오글오글하더라고요. 그래도 그때의 제가 떠올라서 좋고, 괜히 짠하기도 하고 그래서 결론은 재미있습니다:)

도리
작은 사람에게 말했다
안내받지 못하며 자란 사람은
스스로 안내자가 되어야 한다고
해본 적 없어요
말하고 나서
한번 해본다
곁에 아무도 없는
작은 사람이 보였다
『저는 많이 보고 있어요』 재구성, 안미옥 지음
문장모음 보기

도리
저도 이 부분이 아프네요. '해본 적 없어요'랑 '곁에 아무도 없는/ 작은 사람이 보였다'까지요..

연해
저도요, 도리님ㅠㅠ
해본 적 없다고 말하고, 한번 해봤는데, 곁에 아무도 없어 작아지고 마는 느낌. 하지만 그 작은 사람은 다시금 일어날 수 있을 거라고 조심스럽게 희망하고 싶어집니다.
"나는 나에게 안내자가 되어준다"는 마지막 문장처럼요.
그 작은 사람이 옆에 있었다면 말없이 토닥토닥해주고 싶었어요.
작성
게시판
글타래
화제 모음
지정된 화제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