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깨뜨리며 나간다'는 말과 '낡아져서 좋다'는 마지막 행을 읽으면서 왠지 기운이 나서 좋네요. 6월 첫 월요일(저도 의미부여 좋아해요...!!)에 딱 어울리는 시인 것 같아요 ㅎㅎ
혹시 필사 좋아하세요?
D-29

밍구

연해
밍구님에게도 두 문장이 마음에 드셨다니 기뻐요. 왠지 비장한 느낌도 살짝 나는데, 더 단단하게 성장하는 것 같아 좋더라고요. 강해질 테다! 약간 요런 느낌?ㅋㅋㅋ
의미 부여를 좋아하신다는 말씀에도 살포시 웃었습니다. 작은 것 하나도 의미를 담으면 더 소중해지고, 더 즐거워지고 저는 그렇더라고요. 밍구님의 6월도 더욱 밀도 있게 가꿔가시길 바라요:)

하뭇
다시 돌아왔습니다~
정지용 시인의 산문 <꾀꼬리와 국화>인데요. 쓰면서 생각해보니 요즘의 우리는 자연의 다른 생물에 대해 모르는 게 참 많은 거 같아요. 꾀꼬리도 이름만 알지 무슨 색인지 어떻게 우는지 꾀꼬리 우는 제철이 언제인지도 모르겠더라고요. 검색을 해서 사진을 봤는데도 여전히 모르겠고요.
저희집은 아파트입니다만 이런 새는 시끄럽도록 많은데 집 주변 새도 까치, 참새, 제비, 비둘기, 산비둘기 말고는 모르겠어요.



연해
우왓! @하뭇 님 다시 돌아오신 것을 (격하게) 환영합니다:)
저도 하뭇님이 필사하신 시를 읽으면서 곰곰이 생각해 보니, 그동안 새들에게 별로 관심이 없었던 것 같아요. 꾀꼬리도 마찬가지고요. 그나마 관심이라기보다는 도망치기 바빴던 게 비둘기였죠(허허허). 출근길에 비둘기 떼를 만나면 호들갑 떨면서 피해 다니던 기억이 나네요(요즘도 여전히). 내일은 길에서 만나는 새들에게 조금 더 점잖게 관심을 가져보고 싶어졌습니다.
그리고 이 시를 읽다가 '산국화'가 눈에 들어왔는데요. 찾아보니 국화를 감국과 산국으로 나눈다고 나와있네요. 이걸 몰랐다는 사실이 부끄럽습니다. 제가 가장 좋아하는 꽃이 국화인데, 좋아하는 걸 제대로 모른다는 게 새삼 참ㅠㅠ

하뭇
저도 비둘기 넘 싫어요. 쳐다보는 것도 싫어서 길에서 보면 손바닥으로 슬쩍 눈 가리고 지나가요.
저 근데....
아주 옛날에 중국에서 비둘기 요리를 먹은 적이 있....-_-;;;
아마 한국 길거리의 비둘기랑은 다를 텐데 암튼 비둘기인지 모르고 먹었는데
음식 이름 적어와서 집에 돌아와 사전 찾아보니 비둘기 창자 요리라고..ㅠㅜ

장맥주
컥... 맛은... 어땠나요...?

하뭇
먹을 때는 이상한 걸 느끼지 못했고 딱히 맛이 기억나지 않는 걸 보면, 무난했던 모양이에요.ㅎㅎㅎㅎ
나름 잘 먹었으니 궁금해서 이름을 적어왔던 것 같고요. 근데 집에 와서 사전 찾아보고 뜻을 알았을 때의 충격이란......

장맥주
저 어렸을 때만 해도 참새구이를 파는 대폿집들이 서울 시내에 좀 있었거든요. 아이들끼리 저게 진짜 참새 맞느냐, 병아리 아니냐, 이런 말들을 하곤 했습니다. 2000년대에 종로구에 있는 직장을 다니게 된 저는 대폿집에서 드디어 참새구이를 먹게 되었는데 살이 전혀 없어서 어떻게 먹어야 할지 모르겠더라고요. 익숙한 식재료가 아니다 보니 거부감도 있었고요. 문득 그때 생각이 나네요. ^^

장맥주
필사와 전혀 상관없는 안주들 이야기입니다만, 최근에는 먹태를 먹지 않게 되었습니다. 얼마 전에 먹태를 먹다가 혀를 베여서 고생했거든요. ^^;;; 먹태 가시... 날카롭더군요.

도리
먹태깡은 어떠신가요? 핫했던 과자래요. 최근에야 제가 가는 마트에도 풀려 있길래 사먹었는데 진짜 잘 만든 과자더라고요. 알싸한 청양고추맛에 마요네즈맛에 먹태맛까지...!

장맥주
도리님 추천 믿고 사먹겠습니다! 군침 당기네요. ㅎㅎㅎ (필사 모임이 먹부림 모임으로...)

연해
으아아아, 비둘기 창자 요리라니요...노우!ㅠㅠ
저도 어릴 때 필리핀에 갔던 적이 있는데요. 그곳 전통시장에서 상인분의 능수능란한 말솜씨 덕분에 지렁이를 먹고(지렁이인지 몰랐어요), 그자리에서 뱉었던 기억이 나네요.
아, 저 말고 제 친구가요(허허허). 저는 음식은 모험을 싫어합니다(헷).

장맥주
으헉!! 지렁이...
제 비위는 평균 정도인 거 같은데 메뚜기 튀김이나 번데기, 삭힌 홍어까지는 OK이고 그 너머에 있는 녀석들은 무리입니다.

도리
메..메뚜기...

장맥주
바삭바삭하니 맛있습니다. ^^

도리
먹태깡 인증 답글인 줄 알고 오 벌써 드셨다고? 하고 쫓아왔는데 메뚜기군요. 알겠습니다..

도리
지..지렁이...
GoHo
최근 최애 영화 보고 또 보고 또 보고.. '노매드랜드'


연해
세상에나, 여기서 「노매드랜드」를 다 만나는군요!
저 이 영화 정말 좋아해요. 심지어 @GoHo 님이 필사해 주신 대사를 가장 좋아했습니다.
"이 생활을 하면서 가장 좋은 건 영원한 이별이 없다는 거예요. 늘 ‘언젠가 다시 만나자’라고 하죠. 그리곤 만나요."
저는 이 대사 덕분인지 주인공 펀과 함께 유목생활을 이어가는 공동체의 모습도 좋았어요. 모닥불을 피워놓고 자유롭게 헤쳐 모여하는 그들의 관계가 건강해 보였는데, 느슨한 연대에서 오는 안온함을 제가 꽤 좋아하기 때문인 것 같기도 합니다. 그런 의미로 이 필사 모임의 관계성도 좋아합니다. 소중한데 느슨하죠(궤변인가요ㅋㅋㅋ).

노매드랜드경제적 붕괴로 도시 전체가 무너진 후 홀로 남겨진 펀. 추억이 깃든 도시를 떠나 작은 밴과 함께 한 번도 가보지 않은 낯선 길 위의 세상으로 떠난다. 그곳에서 펀은 각자의 사연을 가진 노매드들을 만나게 되고, 광활한 자연과 길 위에서의 삶을 스스로 선택한 그들과 만나고 헤어지며 다시 살아가기 위한 여정을 시작하는데…
책장 바로가기
작성
게시판
글타래
화제 모음
지정된 화제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