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필사의 기초』라는 책에 이런 문장이 있습니다.
"필사는 곧 삶의 성찰이라고 봅니다. 좋은 문장을 옮길 때 잠시 나와 그 글을 쓴 이의 삶을 나란히 놓을 수 있습니다."
꽤나 거창한 문장이죠?
저는 이렇게 거창한 이유로 해보려는 건 아니고요. 원체 손글씨 자체를 좋아하는 사람입니다. 디지털 시대에 아날로그 감성을 듬뿍 담아보려니 퇴보하는 느낌도 살짝 있지만, 읽는 것과는 또 다른 재미가 있거든요.
지금은 손을 놓은지(?) 꽤 오래됐지만 매일 한 편의 시를 필사했던 적이 있었어요. 1년이 넘는 기간 동안 혼자 시를 필사하면서 보냈던 기억이 좋아 이번에는 다른 분들과 함께 이 기억을 이어가고 싶었답니다. <그믐>이 점점 더 다채로운 모임들로 활짝 열리는 것 같아 혼자 행복해하다가 조금 용기를 내보았어요.
처음에는 한 권의 책을 지정해서 다 같이 필사하는 모임을 열어볼까 하다가, 그러면 또 괜히 숙제처럼 하기 싫어질 것 같더라고요. 그래서 방향을 바꿔 필사라는 행위 자체에 초점을 맞춰보고 싶었어요. 각자가 읽고 좋았던 책들을 자유롭게 필사하고 나누는 시간을 가져보려 합니다. 저는 '안미옥' 시인의 『저는 많이 보고 있어요』라는 시집을 필사할 예정입니다.
왠지 인기가 없어 저 혼자 쓰고 있을 것 같기도 한데, 참여자가 저뿐이라도 혼자서 열심히 인증하면서 진행해 보겠습니다.
(이 공간에 기록한다는 것 자체만으로 충분히 즐거울 것 같아서요)
1. 모집 기간 : 2024.05.07 ~ 2024.05.20
(중간에 참여하셔도 좋아요)
2. 모임 기간 : 2024.05.21~ (29일 동안)
3. 각자 필사하고 싶은 책 한 권을 골라 자유롭게 인증해 주시면 됩니다. 매일 해주셔도 좋고, 이틀에 한 번도 좋습니다. 모임이 열리는 기간 동안 단 한 번만 해주셔도 괜찮아요.
바쁜 일상에서 잠깐 벗어나 책 속의 좋은 문장을 직접 손으로 쓰고 마음에 담으면 우리의 삶이 조금 더 따뜻해지지 않을까 하는 바람도 살짝 담아봅니다.
봄인 듯 봄이 아닌 봄 같은, 결국은 봄이에요. 여러분:)
혹시 필사 좋아하세요?
D-29

연해모임지기의 말

도리
너무 좋습니다!!!! 저도 손글씨 좋아해요. 사람 같다고 할까요. 그런 거 있잖아요. 반듯한 글씨보다 삐뚤빼뚤한 각자의 특성이 남긴 글씨의 매력! 누구는 이 자음을 이렇게 쓰고 누구는 요 모음을 요렇게 쓰고. 그런 거 구경하는 재미가 있더라고요. 안 그래도 안미옥 시인의 <저는 많이 보고 있어요>를 전에 도서관에서 빌렸다가 제대로 못 읽었었는데... 이 기회에 같은 시집으로 참여하겠습니다. 기대되네요.^^

연해
으아, 도리님!
신청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함께해 주셔서 기뻐요:)
손글씨가 사람 같다는 말씀, 너무 좋은데요. 각자의 특성이 담긴 손글씨의 매력! 정말 그렇더라고요. 타이핑하는 글자는 딱딱 정해져있지만, 손글씨는 저마다의 손맛(?)이 담겨있어 매력적이죠.
도리님도 이 시집을 알고 계시는군요. 저는 동료가 안미옥 시인님의 <힌트 없음>이라는 책의 한 구절을 전해준 적이 있는데, 그때 이분을 처음 알고 관심이 생겼답니다. <저는 많이 보고 있어요>라는 시집도 그러다 알게 되었어요. 참여해 주시는 것도 기쁜데, 저와 같은 시집으로 하신다니 더더 기쁩니다!

모모나나
워낙 악필이라 인증하는 게 부담스럽긴 하지만, 저도 꼭 해 보고 싶어요.
나와 글쓴이의 삶을 나란히 놓아볼 수 있다는 표현이 멋지네요.

도리
악필도 좋지 말이죠... ! 개인적인 경험으론, 악필이라고 걱정하시는 분들이 실제론 글씨도 사람도 귀여우시더라고 요(?)

연해
안녕하세요. 모모나나님(닉네임도 귀여우시네요).
환영합니다:)
"악필이라고 걱정하시는 분들이 실제론 글씨도 사람도 귀여우시더라고요"라는 도리님의 댓글처럼, 이 공간에서는 부담 갖지 마시고 자유롭게 마음 편히 표현해 주세요.
쓰는 것 자체만으로 충분히 즐거운 시간이 되실 수 있기를 바라고 있답니다.
작성
게시판
글타래
화제 모음
지정된 화제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