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들 미래를 생각하느라, 대비하느라 오늘을, 현재를 즐기는 사람리 몇이나 될까 싶어서 올려주신 글에 많에 공감이 되네요.
[📕수북탐독] 1. 속도의 안내자⭐수림문학상 수상작 함께 읽어요
D-29

새벽서가

이정연
@아린 님.
가끔 독자들과 말씀을 나누다 보면 작가인 저보다 제 작품을 더 잘 보실 때가 있기도 해요.
경마장과 경주마는 제가 12년 넘게 다니던 직장에서 봤던 것이고, 생명이라는 소설에서 다룬 주제를 잘 살릴 수 있을 것 같아서 선택했어요.
경마는 말과 인간이 같이 하는 스포츠이자 도박이라는 속성이 있어서 인간의 욕망 이 투영될 수 있는 특이점이 있어요.
끝까지 소설을 끝까지 보시면 알겠지만 소설은 인간의 '삶의' 경주를 그렸습니다. 올바른 선택이 아니라, 그렇게 할 수밖에 없거나 자신이 주체적으로 선택한 삶을 그리려고 했어요. 미래를 위해 현실을 포기하는 것도 삶이 끝날 때까지 잘한 것인지 모르니 정말 어려운 결정이 될 수밖에 없겠네요.

연약마녀
저는 이제야 읽기 시작했어요. 그래서 뒷쪽 내용을 전혀 모르는 상태에서 이 글을 보면서 다시 생각해보게 되네요. 저는 고모도 이 질문과 연결되는 사람 같아요. 좀 더 읽어보면 알겠죠. 아무 생각 없이 읽다가, 질문 글을 보니 좀 더 정독하면서 읽을 거 같네요.

나르시스
얼마전 디즈니 플러스에서 방영된 '지배종'이라는 드라마가 많이 생각나는 것 같아요. 처음 이 책의 전반적인 내용을 알았을 때 바로 떠오르더라구요. 제목인 '속도의 안내자'라는 것이 경주마들의 속도를 책임지는 기수들처럼 인간의 노화 속도를 조절하는 신약과 연결지으려고 했던 것은 아닐까 하는 생각을 해 보게 되네요. 저도 아직 1장만 읽어서 어떻게 전개될 지 너무 궁금하네요. 인간의 욕심은 참 엄청난 것 같아요.

프렐류드
경주마로서의 시간이 정해진 말들과 은퇴후 어둠속에 스스로를 가둔 고모의 상황이 대조적인라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꽃의요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