잘 모르겠네요 경찰에 신고한다 해도 도움 받을 상황도 아닌 거 같고...
약간 엉뚱한 이야기인데 일단 기록들을 만들어놓겠습니다. 만약에 뭔가 잘못되어 수사 대상이 된다거나 실종된다 해도 다른 사람이 제가 왜 그런 행동을 했는지 알 수 있게요
채연의 처지가 보이스피싱 조직에 고용된 운반책 같다는 생각이 들어요. 그런 경우 공범으로 처벌받는 걸로 압니다
[📕수북탐독] 1. 속도의 안내자⭐수림문학상 수상작 함께 읽어요
D-29

jegomoth

메이플레이
실재라면 목숨이 두려워 발뺄게 뻔하지만 소설이라는 것을 조금은 깔아놓고 채윤처럼 계속 알아볼 것같습니다. 주변에서 벌 어지는 일들의 원인이 무엇인지 정말 궁금합니다. 채윤이 승원의 내막을 폭로하기를 바라며 꽃까지 책을 읽어나갑니다.

새벽서가
잃을게 없는 사람들처럼 무서운 사람이 없죠. 저라면 처음에 그런 찝찝한 마음을 안고 시작도 안했을거 같긴 한데, 이야기속 채윤은 돌아나오기엔 너무 멀리 간듯해 보이고, 더 이상 잃을 것이 없는 사람이라고 불러도 되지 않을까요? 채윤에게는 진정한 의미의 가족도 없고 (명은주와 함께 살 때도 그녀가 가족이었다고 보긴 힘들게 느껴집니다), 사랑하는 사람을 걱정해야할 처지도 아니고, 오히려 끝까지 싸워보겠다는 마음을 먹은 이상 최선을 다해서 맞서는 방법밖에 없으니 하던 일을 계속 하면서 증거수집이라도 해야하는게 맞다고 봐요.

장맥주
저는 굉장히 겁이 많고 다치는 걸 싫어하는 성격이라... 주저 없이 도망치겠습니다. 잠적하거나 해외로 도피하겠습니다.

이정연
그러면 소설이 너무 빨리 끝나서요. 채윤은 무엇이라도 해야 했습니다.

장맥주
그래서 저한테는 소설 같은 일이 안 일어나는 모양이에요. ^^;;;

이정연
행복하셔야죠. 채윤의 삶은 너무 고단해요. @장맥주님은 소설과 영화, 드라마로 간접 경험하세요.

김혜나
저라면 무조건 멈추고 두 번 다시 이 일을 하지 않을 것 같아요. 선이든 악이든 정의든 불의든 뭔가 스트레스 받는 일에 엮인다는 게 상상만으로도 괴롭네요...ㅠㅠ

로미
저도 너무 위험한 상황까지 가기 전에 멈출 것 같아요. 겁이 많기도 하고, 소설 속에서 채윤이 칼 맞은 후로 당하는 일들도 보고 있으면 안타까운데 실제로 일어난다고 생각하면 끔찍하네요.
무언가를 선택해야 해서 고민한 결과-야식의 유혹이 뿌리치기 힘들어 그 결과 몸무게를 갱신하고 있다는 슬픈 현실이... ㅜㅜ

이정연
실제라면 칼 맞은 채윤의 상황이 당연히 더 무섭지만, 밤에 야식이 당긴다는 것도 무섭네요.

jegomoth
무서운 질문이었군요 ㄷㄷㄷ

꽃의요정
이게 답이 될지는 모르겠는데, 전 아예 제안 자체를 처음부터 받아들이지 않았을 겁니다.
그래도 혹시 받아들였다면, 이 시점이 딱 접으라는 하늘의 계시로 받아들이고, 접었을 것 같습니다.
종이에 손만 베어도 아픈데, 스치긴 했어도 타인에 의해 칼에 찔린? 거잖아요. 무섭습니다.

장맥주
길이 아닌 곳은 가지 마라. - 공자.
그런데 저는 저 말을 들으면 자동적으로 "함께 가면 길이 된다"는 말이 떠올라요. ^^;;;

나르시스
저는 포기할 것 같아요. 용기가 나지 않을 것 같아요.

최영장군
재미있는 질문에 대한 답변이에요
마구마구 말씀해 달라시니까 마구잡이로 일단 채윤과 태경에 대한 생각이에요 (심각한 생각은 아니고 어울리는 배우 생각)
태경이 차량인가 시계인가 아무튼 부유한/고급스러(?) 느낌이 든다는 구절이 생각나서... 또 적당히 젊은 선배 느낌의 '박보검 배우'가 떠올랐고요
채윤은 또 직장 상급자 비슷한 분이 채윤과 태경이 외형상 비슷한 스타일이라고 말했던 것 같아 '혜리 배우' 떠올렸어요
(아르바이트도 성실히 잘 할 것 같 아요 ㅎㅎ)

김의경
남녀 주인공만 생각해봤는데요, 요즘 '졸업'을 재밌게 보고 있는지라 위하준에게 태경 역을 맡기겠습니다. 그리고 채윤은 김혜윤이 했으면 좋겠네요^^ (소설쓰는 지영입니다 님의 질문에 드리는 답변입니다)

안슈씨
“ 채윤은 다리가 흔들리지 않게 꽉 붙들고, 몸이 회복될지 모른다는 사실에 희망을 걸어도 되는지 고민했다. 며칠 꿈이 없는 잠을 잔 덕분일까. 나는 과연 일어설 수 있을까. 이런 상황에도 희망이란 걸 품어도 될지. 한꺼번에 일어나는 부조화가 혼란스러워 사람들의 얘기에도, 자신의 몸에도 집중할 수 없었다. ”
『속도의 안내자』 p.239, 이정연
문장모음 보기

작가와책읽기
@이정연 작가님께 질문합니다. 작가님은 소설 작품을 쓸 때 그 시점을 어떻게 구분하여 구사합니까? 1인칭이나 3인칭을 어떤 경우에 쓰는지요? 정연작가님은 1인칭과 3인칭 중에 어떤 시점을 선호 하는지, 개인적인 취향과 이유가 궁금하군요. 『속도의 안내자』 같은 경우는 3인칭을 쓰고 있는데 왜 3인칭을 썼는지요? 본 소설에서 주말에 경마장 도핑검사소에서 아르바이트하는 주인공 채윤을 등장시키어 불로장생과 그 비밀을 푸는 열쇠인 불로초는 오늘날 급격히 발전한 바이오 기술에 걸맞게 생명 연장 연구라는 의·과학적 설정으로 등장하고 있는데 차리리, 1인칭으로 채윤을 등장시켰더라면 심리묘사가 더욱 적나라 하지 않았을 까 상상합니다. 항노화 연구를 다루는 첨단 바이오 테크놀로지와 거대 자본이 나오고 인간의 욕망이 교묘한 사슬로 얽히면서 현실성과 흥미를 보태는 측면에서 보면 3인칭이 맞을 것 같기도 하고요. 테리 이글턴(Terry Eagleton)의 『문학을 읽는다는 것은:How to Read Literature』(2013)과 샌드라 거스(Sandra Gerth)가 쓴 『시점의 힘』 을 읽고 이정연 작가님의 『속도의 안내자』 를 읽으니 작가는 독자가 되고, 독자는 또 작가가 되어 보는 상호작용이 필요하다는 생각이 들어, 본 소설 작품 세계를 매개로 질문을 드려 봅니다. 문학은 그 자체로 언어적 폐쇄 상태에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작가 ↔ 작품 ↔ 독자’의 유기적인 연결구도 속에서 ‘현실 세계’에 역동적으로 구체화하는 현상입니다. 그러므로, 문학의 참된 의미는 ‘작가 ↔ 독자 ↔ 세계’ 와의 관계 속에서 상호작용으로 파악되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이러한 역동적 상호작용 속에서 어디에다 중점을 두고 문학을 바라보느냐에 따라 다양한 해석의 관점이 나온다고 봅니다. 이러한 맥락에서 시점은 독자를 무의식에서부터 잡아두는, 작가의 가장 강력한 도구이니, 제대로 활용한다면 독자가 주인공과 완전히 동일시하게 만들거나, 정교한 타이밍의 시점 전환으로 마지막 페이지까지 서스펜스와 긴장을 유지할 수 있다고 합니다. 하지만 시점이 잘못되어 있다면 어떨까 싶어요? 독자는 모르는 작가의 비밀 도구를 상세히 알려 주시고 복 받으십시오.
전청림
와- 저도 궁금했던 세심한 질문이네요 :D
생각해보니 작가님 소설에서 1인칭 주인공은 잘 나오지 않았던 것 같아요!

이정연
시점에 관한 문제를 며칠 전 심각하게 받았습니다. 그때 그 질문을 받은 소설은 현재 발간을 앞둔 소설이고요. 질문을 주신 분이 장편소설은 거의 3인칭으로 서술되어야 한다고 해서 조금 '발끈'했었습니다.
시점에 관한 것은 답은 없다고 봅니다. 소설에 따라, 화자에 따라, 주제에 따라 어떤 것이 보다 효율적(표현이 애매합니다만)이느냐에 따라 선택하고 있어요. <속도의 안내자>의 경우는 화자인 채윤은 처음에는 사건에 거리를 두고 있다가 점차 그 안으로 들어갑니다. 그런 이유로 거리감을 만들 수 있는 3인칭으로 썼고요.
반면 명은주의 서술은 보다 내밀한 자신만의 세계(주관)를 보여줘야 해서 1인칭에 적합하다고 생각해 그렇게 선택했고요.
독자와의 상호작 용은 작가가 결정할 부분은 아니지만 길잡이로 안내는 할 수 있지 않을까 하고 보다 나은 쪽으로 생각을 돌렸습니다. 거리감 조정을 통해 독자가 어떤 부분은 '마치 직접 일에 뛰어든 듯' 가깝게 느끼고, 어떤 부분은 멀리서 생각할 수 있게 전개했지요.
시점 선택이 작가의 비밀도구는 아니며, 그에 맞는 시점을 선택했다고 보는 게 이 소설을 쓴 제가 드릴 수 있는 말씀일 것 같네요.
작성
게시판
글타래
화제 모음
지정된 화제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