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렇게 읽힌다면 감사할 따름이죠. 취재는 잘 쓰일 때도 있고, 고스란히 버려야할 때도 있으니 이번 취재는 나름대로 성공한(?) 셈이네요.
[📕수북탐독] 1. 속도의 안내자⭐수림문학상 수상작 함께 읽어요
D-29

이정연
전청림
'유한한 삶에서 무엇이 진정으로 중요'한지.. 저도 고민하게 됩니다. 그런데 유한한 삶에서 무한한 난제가 끝도 없이 생성될 수 있다는 분열의 감각이야말로 이 소설이 전해준 멋진 결말인 것 같아요. 그런 점에서 이 씁쓸한 소설의 마무리가 저는 마음에 듭니다. :)

이정연
글의 결말은, 어떤 장르든 힘들 것 같아요.
저만 해도 단편소설이 짧아서 쉬운 게 이니고, 장편소설은 길이가 길어서 더 고된 건 아니었거든요. 다만 바라는 건 제가 쓴 글이, 결말을 비롯해서 독자에게 생각이 머무는 자리가 되었으면 해요.
씁쓸한 마무리도 그런 생각 중에 만들어진 자리가 아닐까요.
화제로 지정된 대화

이정연
<속도의 안내자> 모임이 끝을 향해 달려갑니다.
많은 분이 열심히 참여해주셔서 얼마나 고마운지 모르겠어요. 작가로서, 같이하는 모임지기로서 많은 것을 얻어갑니다. 얼마 안 남은 기간 동안에도 여러분의 많은 참여 부탁 드리며, 궁금하신 사항이나 제안할 내용이 있으면 가감 없이 올려주세요.
저도 마지막까지 여러분과 함께 최선을 다해 같이하겠습니다.

아린
“ 세계 곳곳에서 삶이 영원이 이어졌지만, 사람들은 전보다 더 행복하지 않았다. 사람들은 함께 나이들지 않았다. 함께 성숙하지도 않았다. 아내와 남편은 결혼식 때 한 선서를 지키지 않았고, 이제 그들을 갈라놓는 것은 죽음이 아니었다. 권태였다. ”
『어딘가 상상도 못 할 곳에, 수많은 순록 떼가』 p. 59, 켄 리우 지음, 장성주 옮김

어딘가 상상도 못 할 곳에, 수많은 순록 떼가『종이 동물원』의 작가 켄 리우의 한국판 오리지널 SF 단편선. 미출간 단편 중 12편을 엄선하여 엮었 다. 데뷔작인 「카르타고의 장미」를 필두로, 스페인 권위의 상 이그노투스 상 수상작 「사랑의 알고리즘」, 한글에서 영감을 얻은 「매듭 묶기」, 저자가 특별히 아끼는 시리즈인 '싱귤래리티 3부작' 등 총 12편의 작품으로 구성되었다.
책장 바로가기
문장모음 보기

이정연
북클럽을 진행하며 여러 좋은 점이 있지만, 그중 하나가 좋은 책을 추천해주신다는 것이에요.
@아린 님, <종이 동물원>을 추천해주셔서 감사합니다.

장맥주
그 유전자에 이름을 붙이면 복장폭발유전자라고 하면 어떨까 합니다. 근처 사람들 복장을 터뜨리는...

이정연
'복장 폭발 유전자'로 소설 한편 쓰시죠? 엄청 뜨거운 얘기가 될 것 같아요.

장맥주
그런데 정말 재미있는 우화를 쓸 수 있을 거 같습니다. 사람들로부터 이유 없이 혐오 받는 유전자를 대대로 물려 받는 가문의 이야기, 어떤가요?

이정연
상당히 재미 있을 것 같은데요. 이유 없는 혐오를 받는 유전자로 받는 질병을 가진 사람들, 한편의 알레고리처럼 읽히는 내용이 될 거예요.
전청림
저는 다른 이야기지만.. 8장 <한단지몽>에서 유튜브 라이브로 서사가 이끌어지는 점이 재밌더라구요. 혹시 여러분이 즐겨보시는 유튜브 컨텐츠나 라이브가 있다면 궁금합니다 :D 저는 한 때 추리 예능 <크라임씬>에 빠져서 JTBC 실시간 라이브를 즐겁게 시청했던 기억이 나네요

아린

어딘가 상상도 못 할 곳에, 수많은 순록 떼가『종이 동물원』의 작가 켄 리우의 한국판 오리지널 SF 단편선. 미출간 단편 중 12편을 엄선하여 엮었다. 데뷔작인 「카르타고의 장미」를 필두로, 스페인 권위의 상 이그노투스 상 수상작 「사랑의 알고리즘」, 한글에서 영감을 얻은 「매듭 묶기」, 저자가 특별히 아끼는 시리즈인 '싱귤래리티 3부작' 등 총 12편의 작품으로 구성되었다.
책장 바로가기

이정연
<종이 동물원> 구매해서 책장에 넣어두었어요. 잘 읽겠습니당.

아린
우아 너무 뿌듯하고 감사합니다-♡♡
사실 제가 문장 수집한 책은.
어딘가 상상도 못 할 곳에..라는 책인데요 ㅎㅎ
(제목을 다시 보시면요.ㅎㅎ)
이 책의 작가의 대표작은 종이 동물원이고 개인적으로 저는 종이 동물원이 더 좋았아요~
초딩 3학년 딸아이에게 간략히 책 내용 이야기 해 주었더니 살 짝 눈시울이 빨개지더라고요 ....

이정연
일단 <종이 동물원>을 보고 다른 책도 찾아보겠습니다.
저도 어쩐지 눈시울이 붉어질 것 같은 예감이에요. 그런 책을 본 지 한참 전이라 무척 기대하고 있어요.
화제로 지정된 대화
소설쓰는지영입니다
드디어, 또 아쉽게도 마지막 장에 이르렀습니다. 9장 '나이트 스피리트'를 읽는 동안 개인적으로 잔잔한데 폭풍우가 밀려오는 듯한 인상을 받았어요. '채윤'에게는 이제 '명은주'도, '한성태'도, '태경'도 없고 승원-그란셀-중국의 제약회사는 여전히 건제한데, 다만 후유증이 남은 신체-다리만 남았습니다. 권력과 자본에 맞서기에 '채윤'은 힘도, 의지도 없어 보입니다. 그러나 지키고 싶은 게 별로 없다는 '채윤'의 시선를 붙잡고 움직이게 하는 것이 있네요. 다리 부상으로 3년간 경주로를 떠났다가 돌아와 우승한 '나이트스피리트'와 '아이'입니다.
채윤 역시 1년 간의 치료 과정에서 약을 복용했죠. "겨우 넉 달 약을 먹고, 고작 3주 걸렀을 뿐인데"(268쪽), 알게 모르게 약에 의존했던 것도 같아요. 남은 약을 버리려다가 멈칫하기도 합니다. "딱 통증이 없어질 때까지만 복용하는 거다.(269쪽). 그러나 사라진 이들을 떠올리며 "두 알만 증거로"(268쪽) 챙깁니다. 그 두 알의 약이 과연 증거가 될 수 있을까, 잠시 생각하게 됩니다.
이정연 작가님의 말씀대로 <속도의 안내자>의 인물들은 절대 선이나 절대 악으로 분류할 수 없고, 그리하여, 또 그렇기에 우리는 '채윤'의 선택에 희망을 걸어 볼 수 있는 듯합니다. 경주마의 재활에 환호하는 대신 다시금 현실을 바라보고, "아주 멀리 좋은 데로"(273쪽) 간다는 '아이'의 전화에 절대 늦지 않겠다고 소리치며 뛰어가는 '채윤'을 놓치지 않으려 우리 역시 걸음을 빨리 하게 되니까요.
화제로 지정된 대화
소설쓰는지영입니다
오늘의 질문입니다. '채윤'과 '아이'는 어떤 내일을 맞이하게 될까요?, 또 "신기술을 믿는" '태경'은 또 어떤 삶을 살아가고 있을까요? 여러분이 쓰는 <속도의 안내자> 10장이 궁금합니다.

스펀지밥
채경은 아이를 구출하고 아이와 함께 살아갈 힘을 얻고 다시 삶을 이어나갈 것 같습니다. 또 신기술을 믿는 '태경'이는 이익집단에 의해 움직이고 기술을 개발하는 한 부와 명성을 얻고 남들이 부러워할 만한 삶을 살지만 가끔은 채경와의 보냈던 시간을 그리워 할 것 같고, 한성태가 걸어온 길처럼 뭔가 실수하지 않기 위해 경주마처럼 달려나가는 삶을 살지 않을까요.

이정연
다들 소설가이시네요. @스펀지밥 님의 상상에 '쓰지 않았으나' 저도 그렇게 마무리하려 했다는 말씀을 얹습니다.

꽃의요정
아마 같이 살아 가겠죠?
바라는 건 1) 고모와 채연이네 할아버지의 가족 2) 채연과 고모와의 관계처럼 되지 않았으면 합니다. 아이도 채연을 선택했고, 채연도 아이를 구하러 가기로 선택한 이상 서로의 선택에 후회 없는 인생이었으면 하네요.
작성
게시판
글타래
화제 모음
지정된 화제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