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법서 읽기] Character : 로버트 맥키의 캐릭터 함께 읽기

D-29
<STORY 시나리오 어떻게 쓸 것인가>로 잘 알려진 로버트 맥키의 비교적 최신작(2021년)인 <로버트 맥키의 캐릭터>를 읽어봅니다. 원래 작법서나 기술서 등은 교재 같아서 읽기 싫어지기 마련인데 부담 없이 읽어볼 생각입니다. 완독하게 되면 2022년에 출간된 액션도 읽어볼 예정.
총 17장인데 1주에 4장씩 진도를 나가봅니다. 그럼 오늘부터 주말을 끼고 19일 일요일까지 4장 캐릭터에 대한 영감 : 밖에서 안으로까지 클리어하겠습니다.
화제로 지정된 대화
1장 캐릭터 vs 인간
우리는 현실의 사람들보다 캐릭터에게서 더 풍부한 통찰을 얻을 수 있다. 꼼꼼히 관찰할 수 있도록 캐릭터가 얌전히 기다려 주기 때문이다. 우리 눈앞에서 캐릭터가 말하고 움직일 때는 그 말과 행동 너머에 있는 말해지지 않은 생각과 욕망, 소리 없이 흐르는 궁극의 서브텍스트, 캐릭터의 잠재의식까지 꿰뚫는 투시력이 생기는 듯 하다.
Character : 로버트 맥키의 캐릭터 p19, 로버트 맥키 지음, 이승민 옮김
인간 본성의 단면은 엄혹한 모순을 담고 있다. 선과 악, 사랑과 잔학, 아량과 이기심, 지혜와 아둔함 등등 수많은 것들이 상충한다. 하지만 자기 내면의 역설을 극한까지 탐색하는 사람은 거의 없다. 우리 중 누가 감히 토니 모리슨의 빌러비드 속 세서처럼 분열된 자아의 어두운 심연까지 파고들겠는가?
Character : 로버트 맥키의 캐릭터 p20, 로버트 맥키 지음, 이승민 옮김
잘 못 쓴 글에는 상투적인 인물과 곧이곧대로 쓴 대사보다 더 통탄할 결함들이 득시글댄다. 허접한 잡문은 감상주의, 자기도취, 잔학성, 방종, 거짓말 따위의 윤리적인 결점들로 병들어있다. 마음을 독하게 먹어야 진실한 글을 쓸 뿐더러 진실한 삶을 살 용기가 생긴다.
Character : 로버트 맥키의 캐릭터 p26, 로버트 맥키 지음, 이승민 옮김
뭔가 색다른 걸 해 보려는 충동은 알고 보면 별로 대단치 않을 뿐더러 서사의 질까지 떨어뜨리는 '다름'으로 귀결될 때가 많다. 획기적인 시도가 거의 대부분 실패한느 이유는 사실상 이미 이전에 시도해 보고 진부하다고 판명이 났기 때문이다.
Character : 로버트 맥키의 캐릭터 p27, 로버트 맥키 지음, 이승민 옮김
세상에 가장 쓸모 없는 독서 가운데 하나가 작법서 읽기. 이건 마치 벌거벗은 트레이너 사진들이 실린 근육 키우는 방법 책을 읽거나 브런치 만들기 같은 요리책을 읽는 행위와 비슷하다. 이런 책을 읽는다고 해서 근육이 생기거나 내 배고픔이 채워지진 않는다. 그저 내 삶이 근육을 키우는 방향성을 갖고 있어 정도의 자기 암시 정도. 글쓰기 책을 읽어도 내 글이 개선되진 않는다. 어찌보면 상당히 무용한 독서지만 시간 보내기엔 좋다. 그럼에도 로버트 맥키는 직설적으로 내뱉는 남자라서 글 읽는 맛이 있음. 재혼한 와이프가 한국인이라서 처음이자 마지막으로 한국에서 스토리 세미나를 열었던 적이 있었는데 그때도 직설적이었고 다혈질이었고 카사블랑카 이야기를 하다가 울었다. 아니 대체 저런 노년의 강사가 어떻게 스스로의 감정을 컨트롤 못하고 강연장에서 울 수가 있지 싶었음.
화제로 지정된 대화
2장은 아리스토텔레스 논쟁은 스토리계의 오랜 다툼 가운데 하나인 캐릭터 중심이나 플롯 중심이냐에 관한 내용을 담고 있습니다. 개인적으로 최악의 국문 번역 작법서로 기억하는 앤드류 호튼의 캐릭터 중심의 시나리오가 떠오르는데 이것도 시간이 되면 다시 읽어보겠습니다.
캐릭터 중심의 시나리오 쓰기1994년 초판 발행 이래 수많은 작가들의 '필독서'가 되어 있는 〈Writing the Character - Centered Screenplay〉의 최근 개정판을 번역한 책. 작가 자신의 '캐릭터'를 중심에 둔 글쓰기에 대해 설명한다. '생성의 역동적 과정'으로서 캐릭터를 이해하고, 각 캐릭터의 역사, 욕구, 취향, 한계, 즐거움, 리듬 등을 살려야 한다는 것.
플롯과 캐릭터 중 어느 것이 더 창작하기 어렵고 미학적으로 중요한가하는 질물은 범주적 오류를 범한다. 둘의 우위를 따지는 것이 논리에 맞지 않는 건 그 둘이 본질적으로 같기 때문이다. 플롯이 캐릭터이고 캐릭터가 곧 플롯이다. 이 둘은 스토리라는 동전의 양면이다.
Character : 로버트 맥키의 캐릭터 p36, 로버트 맥키 지음, 이승민 옮김
사건과 캐릭터는 간단히 말해 각각 다른 각도에서 전환점을 바라보는 용어다. 밖에서 안으로 스토리를 바라볼 때 우리는 그것이 사건으로 이해하며, 안에서 밖으로 바라볼 때는 캐릭터로 경험한다. 사건이 없으면 캐릭터에게 아무 일도 일어나지 않고 캐릭터도 아무 일을 하지 않는다. 그리고 캐릭터가 없으면 아무도 사건을 야기하거나 사건에 반응하지 않는다.
Character : 로버트 맥키의 캐릭터 p39, 로버트 맥키 지음, 이승민 옮김
캐릭터는 자기 앞에 놓인 문제를 해결하거나 해결에 실패하도록 설계되며 스토리는 문제와 씨름하는 캐릭터의 특성과 자질을 표현하도록 설계된다.
Character : 로버트 맥키의 캐릭터 p43, 로버트 맥키 지음, 이승민 옮김
작성
글타래
화제 모음
지정된 화제가 없습니다
[책나눔 이벤트] 지금 모집중!
[김영사/책증정] 왜 협상 가능한 세계에서 총을 겨눌까? 《우리는 왜 싸우는가》 함께 읽기[도서 증정] 작지만 탄탄한 지식의 풍경, [출판인 연대 ‘녹색의 시간’] 독서 모임[그믐앤솔러지클럽] 2. [책증정] 6인 6색 신개념 고전 호러 『귀신새 우는 소리』[도서 증정] 《조선 궁궐 일본 요괴》읽고 책 속에 수록되지 않은 그림 함께 감상하기![책 증정] 호러✖️미스터리 <디스펠> 본격미스터리 작가 김영민과 함께 읽기
💡독서모임에 관심있는 출판사들을 위한 안내
출판사 협업 문의 관련 안내
그믐 새내기를 위한 가이드
그믐에 처음 오셨나요?[메뉴]를 알려드릴게요. [그믐레터]로 그믐 소식 받으세요
버지니아 울프의 네 가지 빛깔
[그믐밤] 28. 달밤에 낭독, <우리는 언제나 희망하고 있지 않나요>[서울외계인] 버지니아 울프, 《문학은 공유지입니다》 읽기<평론가의 인생책 > 전승민 평론가와 [댈러웨이 부인] 함께 읽기[그믐연뮤클럽] 7. 시대와 성별을 뛰어넘은 진정한 성장, 버지니아 울프의 "올랜도"
전쟁 속 여성의 삶
[도서 증정] <여성과 전쟁: 우크라이나 소설가의 전쟁일기> 번역가와 함께 읽어요.[책걸상 함께 읽기] #47. <전쟁은 여자의 얼굴을 하지 않았다>
밀리의 서재에 있는 좋은 책들
[밀리의 서재로 📙 읽기] 27. 데미안
좋은 스토리의 비밀을 밝혀냅니다
스토리 탐험단 8번째 여정 <살아남는 스토리는 무엇이 다른가>스토리탐험단 7번째 여정 <천만 코드>스토리탐험단 여섯 번째 여정 <숲속으로>
문화 좀 아는 건달의 단상들
설마 신이 이렇게 살라고 한거라고?그믐달자연의 일부일 뿐이라는 생각
믿고 읽는 작가, 김하율! 그믐에서 함께 한 모임들!
[📚수북플러스] 4. 나를 구독해줘_수림문학상 작가와 함께 읽어요[책증정 ]『어쩌다 노산』 그믐 북클럽(w/ 마케터)[그믐북클럽] 11. <이 별이 마음에 들어> 읽고 상상해요
현암사 80주년 축하해 주세요 🎉
[도서 증정] <이달의 심리학> 편집자와 함께 읽어요!![현암사/책증정] <코끼리는 암에 걸리지 않는다>를 편집자, 마케터와 함께 읽어요!
퇴근의 맛은 두리안 ?!
[도서 증정] 소설집『퇴근의 맛』작가와 함께 읽기[📚수북플러스] 1. 두리안의 맛_수림문학상 작가와 함께 읽어요
🎁 여러분의 활발한 독서 생활을 응원하며 그믐이 선물을 드려요.
[인생책 5문 5답] , [싱글 챌린지] 완수자에게 선물을 드립니다
이렇게 더워도 되는 건가요?
[책걸상 '벽돌 책' 함께 읽기] #25. <일인 분의 안락함>기후위기 얘기 좀 해요![책걸상 '벽돌 책' 함께 읽기] #11. <화석 자본>무룡,한여름의 책읽기ㅡ지구를 위한다는 착각
모집중밤하늘
내 블로그
내 서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