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외계인] 버지니아 울프, 《문학은 공유지입니다》 읽기

D-29
이 질문에 명확히 답을 제시한 소설을 읽어본 적이... 있었던가 싶다가, 답을 제시하는 소설이라면, 그게 좋은 소설일까? 라는 의문이.
웰스 씨에 대해서는, ... 넘쳐 나는 사상과 사실들 때문에 자신이 창조한 인간 존재들의 치졸함과 조잡함을 깨닫지 못하거나 그다지 중요하게 생각하지 않는 것이다.
문학은 공유지입니다 버지니아 울프 지음, 최애리 옮김
(웰스의 작품은 읽어보지 못해서) 치졸하고 조잡한 인간이라면 내가 읽어본 작품 중에서는 어떤 예가 있을까 생각해보는데 잘 떠오르지가 않네요.
우리 요구가 까다롭다는 것은 인정한다.
'우리'? 갑자기? 울프와 내가 우리? 독자를 자연스럽게 자신의 편으로 포섭하는 작가의 기술?
물론 그런 의도도 있겠지만, 영어권에서는 'I'를 쓰면 너무 개인적이고 주관적으로 느껴진다고, 객관적인 표현을 위해 'we'를 쓰는 관례가 있더라구요. 특히 논문, 에세이, 학술적인 글 등 많은 글에서 그렇더군요.
하지만 우리가 다 읽은 소설을 한숨 ㅜ시며 내려놓을 때 가장 끈질기게 떠오르는 질문은 <도대체 이럴 만한 가치가 있나?>, <요컨대 뭐가 어쨌다는 건가?> 하는 것이다.
문학은 공유지입니다 버지니아 울프 지음, 최애리 옮김
만약 내가 작가인데 독자가 내 책을 읽고 이런 말을 하면 엄청나게 상처받을 것 같아요.ㅋㅋ
작가가 애타게 찾은 '삶'이란 도대체 뭘까라는 질문이 새롭게 떠오르는.
울프는 그것을 "본질적인 것"으로 생각하는 것 같습니다. "우리가 그것을 삶이라 부르든 정신이라 부르든 진실 혹은 리얼리티라 부르든 간에, 이것은, 이 본질적인 것"(p.52) "본질"이라는 것이 있다고 믿고, 그것을 찾으려는 (계속 실패하는) 시도를 한다는 것이죠.
예시로 든 체호프의 <구세프>는 2024년의 독자인 제가 보기에는 너무나 너무나도 단편소설 그 자체같은데... 이 책이 쓰인 당시의 감각으로는 다르게 느껴졌나봐요.
영국 소설과 러시아 소설의 비교가 재미있었어요. 마침 지금 <죄와 벌>을 읽고 있어서 더 재밌네요. <죄와 벌>을 다 읽고 나면 영국 소설을 읽어보는 것도 재미있을 것 같아요.
버지니아 울프 관련 연표를 보니, 옥스퍼드 대학 출판사에서 ‘World's Classic series'를 출간하기 시작한 시기가 1901년이고, 1912년 경부터 체호프(1860-1904)나 도스토예프스키( 1821-1881) 같은 러시아 문학의 영어 번역본이 나오기 시작했다고 합니다. Gusev는 1918년에 콘스탄스 가넷(Constance Garnett, 1861-1946)이라는 작가의 영어 번역으로 출간되었다고 하네요. 고전 시대부터 영어권 근대 문학으로 이어지는 흐름만을 알고 있던 영국의 작가나 독자들에게, 다른 언어권의 동시대 문학을 처음 접하게 되는 새로운 기회가 이제 막 시작되던 때였던 듯 합니다.
만일 소설의 기법이라는 것이 살아서 우리 가운데 있다면, 분명 우리에게 자기를 사랑하고 영예롭게 할 뿐 아니라 파괴하고 괴롭혀 달라고 요구할 것이다. 그렇게 함으로써 그녀의 젊음은 새로워지고 그녀의 주권은 확립될 것이다.
문학은 공유지입니다 버지니아 울프 지음, 최애리 옮김
여기서 소설의 기법이 '그녀'로 지칭되는 이유가 궁금해요.
남녀 관계에서, 당시의 인식으로는 전형적이라 할 수 있는 "여자의 포지션"에 비유한 것이 아닐까요.
저는 '뮤즈(Muse)' 여신을 떠올리며 쓴 것 아닐까 (무책임하게) 추측해봅니다.
오후 외근이 야근으로 이어지는 일정이라 이동 중 밀리로 읽었습니다. 역시 종이책 집중도가.... 저한테 울프에 대한 선입견이 꽤 있었나 봐요. '아니, 이렇게 밀도 높게 소설을 바라본(쓴) 사람이었다고?, 의식의 흐름이란 건 대체 뭔데.' 했어요. 영국 소설과 러시아 소설의 비교가 흥미진진했고, 러시아 소설에 도전하고 싶다는 생각도(만...) 잠깐 들었네요. '정신'에 한없이 집중한 작가 같아요.
러시아 소설에 대해 좋은 말만 해서, 읽어보고 싶어지네요. 대부분 대작들이라 엄두는 잘 안나지만요.
어떤 장르의 문법으로서 '형식'이 현실을 그 '내용'으로 담을 그릇으로서 자리를 잡았다가, 그 '형식'이 현실을 제대로 담지 못하면 다양한 형식 실험을 통해 현실을 담기 위한 모색을 하고, 그를 통해 또다른 '형식'이 자리를 잡는 과정의 반복이 문예사조의 역사라고 한다면 너무 지나친 것일까요? 삶이란, "규칙적으로 배열된 일련의 마차 등이 아니라 빛무리이며, 의식의 처음부터 마지막까지 우리를 둘러싸고 있는 반투명한 외피"이기에, 소설이란 장르가 삶이라고 담아 온 것이 저급한 '유물론적' 현실임을 비판하고 삶의 정신적인 면, '의식'과 '심리적 현실'을 담아내야 함을 역설하는 글로 이해했습니다. 따라서, 당시 조이스의 시도가 '형식'과 '내용' 모두에서 혁명적일 수 밖에 없었을 것 같습니다.
작성
글타래
화제 모음
지정된 화제가 없습니다
[책나눔 이벤트] 지금 모집중!
[📚수북플러스] 3. 깊은숨_수림문학상 작가와 함께 읽어요[책 증정] <그 남자는 책을 읽었다> 편집자와 함께 읽기
💡독서모임에 관심있는 출판사들을 위한 안내
출판사 협업 문의 관련 안내
그믐 새내기를 위한 가이드
그믐에 처음 오셨나요?[메뉴]를 알려드릴게요. [그믐레터]로 그믐 소식 받으세요
[그믐클래식] 1월부터 꾸준히 진행중입니다. 함께 해요!
[그믐클래식 2025] 한해 동안 12권 고전 읽기에 도전해요! [그믐클래식 2025] 1월, 일리아스 [그믐클래식 2025] 2월, 소크라테스의 변명·크리톤·파이돈·향연[그믐클래식 2025] 3월, 군주론 [그믐클래식 2025] 4월, 프랑켄슈타인 [그믐클래식 2025] 5월, 월든[그믐클래식 2025] 6월, 마담 보바리 [그믐클래식 2025] 7월, 프로테스탄트 윤리와 자본주의 정신
7월 23일 그믐밤 낭독은 <리어 왕>
[그믐밤] 37. 달밤에 낭독, 셰익스피어 3탄 <리어 왕> [그믐연뮤클럽] 3. "리어왕" 읽고 "더 드레서" 같이 관람해요
수북탐독을 사랑하셨던 분들은 놓치지 마세요
[📚수북플러스] 2. 귀하의 노고에 감사드립니다_수림문학상 작가와 함께 읽어요[📚수북플러스] 1. 두리안의 맛_수림문학상 작가와 함께 읽어요
우리가 몰랐던 냉전의 시대
[책걸상 '벽돌 책' 함께 읽기] #24. <소련 붕괴의 순간>[책걸상 '벽돌 책' 함께 읽기] #23. <냉전>[책걸상 '벽돌 책' 함께 읽기] #16. <마오주의>
댓글로 쌓아올린 세포, 아니 서평들
작별하지 않는다도시의 마음불안세대
반가운 모임지기들, 라아비현과 꼬리별
[라비북클럽] 불편한 편의점 북투어 같이 한번 읽어봐요 우리[밀리의 서재로 📙 읽기] 22. 네버 라이
편집자와 함께 읽어요!
[김영사/책증정] ★편집자와 함께 읽기★ 《죽은 경제학자의 살아있는 아이디어: 개정증보판》[도서 증정] 내일의 고전 <불새> 편집자와 함께 읽어요!1인출판사 대표이자 편집자와 책읽기[도서 증정] <먼저 온 미래>(장강명) 저자, 편집자와 함께 읽어요!
제발디언들 여기 주목! 제발트 같이 읽어요.
[아티초크/책증정] 구병모 강력 추천! W.G. 제발트 『기억의 유령』 번역가와 함께해요.(8) [제발트 읽기] 『이민자들』 같이 읽어요(7) [제발트 읽기] 『토성의 고리』 같이 읽어요(6) [제발트 읽기] 『전원에서 머문 날들』 같이 읽어요
🎁 여러분의 활발한 독서 생활을 응원하며 그믐이 선물을 드려요.
[인생책 5문 5답] , [싱글 챌린지] 완수자에게 선물을 드립니다
서리북 아시나요?
<서리북 클럽> 두 번째_편집자와 함께 읽는 서리북 여름호(18호) 혼돈 그리고 그 너머서울리뷰오브북스 북클럽 파일럿 1_편집자와 함께 읽는 서리북 봄호(17호) 헌법의 시간 <서울리뷰오브북스> 7호 함께 읽기
문풍북클럽의 뒷북읽기
[문풍북클럽] 뒷BOOK읽기 : 7월의 책 <혼모노>, 성해나, 창비[문풍북클럽] 6월 : 한 달간 시집 한 권 읽기 [문풍북클럽] 뒷BOOK읽기 : 5월의 책 <죽이고 싶은 아이 1,2권>[문풍북클럽] 뒷BOOK읽기 : 4월의 책 <예술도둑>
모집중밤하늘
내 블로그
내 서재